제1장 근대 광주의 풍경과 광주문학의 태동
근대 광주의 풍경
춘원 이광수와 겨룬, 최원순
제2장 광주의 민족운동과 광주문학
광주의 소년운동
광주 청년운동과 신간회
광주기독교 청년운동
조선 동요운동
광주의 첫 시인, 김태오
제3장 광주문학의 지형, '시문학파'
시인 박용철, 문화인 박용철
다형(茶兄) 김현승의 등장
여명을 밝히는 문학가들
한시적 전통의 계승
제4장 해방기, 침묵의 문학
제5장 한국전쟁, 광주문학의 역동
광주문학의 교두보, 『신문학』
'시문학파'의 계승, 『시정신』
지역 언론의 노력들
광주고등학교 문예부와 『상록집』
시인을 키운 시인, 박흡
서정주의 추천, 등단한 시인
제6장 광주, 시인들의 요람
새로운 세대의 언어, 시동인지 『영도』
또 다른 작가들, 화려해진 광주문학
광주고 문예부 2세대와 『광고시집』
광주의 아동문학
『초점』시 동인회와 시화전
중앙문인과 광주문인, 문학좌담회
광주문학, 소설가의 등단
광주문학과 『학생문예』
제7장 1960년, 눈부신 비약
광주문학을 위한 좌담회
1960년대, 등단한 작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