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Ⅰ. 시대 구조, 그리고 인문 구조의 틈과 바깥
1. 시대론
고슴도치의 구조 vs 여우의 틈과 바깥
유래 없는 고슴도치 시대로의 표류
2. 인문학
구조론에서 탈구조론으로
“아니면 말고”ㅡ인문학 사용 설명서
탈위로의 인문학
Ⅱ. 부유기표-탈구조의 논리
1. 실존에서 구조의 공간으로
2. 문화의 틀
틀 하나ㅡ근친상간 금기의 집
틀 둘ㅡ기호와 언어의 집
틀 셋ㅡ이항대립
3. 틀의 바깥
기표의 우위
기표의 과잉
기표의 부유, 혹은 닻 없는 기표
4. 부유기표들
예술ㅡ기표계의 경계 지점
인류학ㅡ엔트로피학으로의 여정
근친상간 금기ㅡ기피와 혐오 사이
5. 부유기표의 동역학
기표의 부유에서 과잉 그리고 폭발로
기표론에서 포괄적 일반 경제론으로
6. 탈구조의 부표
포박되지 않는 암초 혹은 기점ㅡ죽음, 유혹, 침묵
기표계의 클리나멘이라는 전망
인문학이라는 부유기표ㅡ잠정성 혹은 잠재성
Ⅲ. 자가면역-자기전복의 논리
1. 면역학적 모델
정치적 면책에서 의학적 면역으로
면역학의 공동체론
2. 자가면역
개념의 자기 전복
면역, 또 하나의 부유기표
3. 면역학의 조언
생물학적 차원의 정치 공간과 자기 윤리 혹은 미학
자아와 타자의 구도
주체 해체 혹은 탈개인
4. 탈개인의 전략
정의(正義), 글쓰기, 그리고 동물되기
면역학적 관용ㅡ존재의 목자
Ⅳ. 거울 단계-오인과 사랑
1. 거울 앞의 나
자아 인식 구조의 한계
형태(게슈탈트)적 사유의 능력 혹은 한계
거울에 비친 나의 잔해와 잉여
2. 실제 너머의 실재
주체 오인 혹은 왜곡의 공식
‘실재에의 열정’의 시대
실재라는 모비딕ㅡ인문학이라는 에이합
3. 거울 앞에 선 인문학
거울 단계론 vs 거울 신경체계론
자기 완결성에서 상호 가소성으로
4. 인문학의 욕망
자기계발 독재 사회의 자아ㅡ보편이라는 거울 앞의 나
오인 혹은 타자와의 공감ㅡ사랑
Ⅴ. 인문학-인간 개념 사용설명서
1. 세계, 인간, 인문학ㅡ비극적 동역학
2. 모비딕과 에이합, 그리고 이슈마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