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교육의 기초
제1절 교육의 정의방식
제2절 Peters의 교육의 성립조건(준거)과 훈련
제3절 성장의 기준에 따른 성장관
제4절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자연숙성론과 환경 경험론
제5절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제6절 인성교육
제7절 영재교육
02 한국교육사
제1절 전통유가사상과 제도교육의 발달
제2절 주자의 철학관과 교육관
제3절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교육의 특징
제4절 고려와 조선시대 교육의 비교
제5절 조선시대 서당교육
제6절 권근, 이황과 이이의 철학 및 교육관
제7절 실학의 특징과 정약용, 최한기의 교육관
제8절 개화기의 철학사상과 교육입국조서
제9절 일제 강점기 교육의 특징
제10절 해빙이후의 교육
03 서양교육사
제1절 그리스 교육과 자유교육의 발전과정
제2절 소피스트와 그리스 사상과이 특징
제3절 중세교육의 특징과 교육에 미친영향
제4절 인문주의 교육의 특징과 유형
제5절 실학주의 교육의 대두배경과 특징과 유형
제6절 로크와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제7절 자연주의 교육의 대두배경과 특징과 유형
제8절 공교육제도, 국민교육체제의 성립과 발달
제9절 신인문주의 교육사상가
제10절 프뢰벨과 몬테소리의 교육사상
제11절 듀이의 철학사상과 교육의 원리
제12절 신교육운동과 신교육시상가
04 교육철학
제1절 교육철학의 성격과 방법론
제2절 형이상학과 그리스 철학자
제3절 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
제4절 인식론과 지식의 종류
제5절 실증주의, 분석철학, 현상학과 해석학
제6절 실존주의(Existentialism)
제7절 비판이론
제8절 구조주의
제9절 포스트모더니즘
제10절 P-M의 교육적 적용으로의 구성주의
제11절 생태주의와 홀리스틱
제12절 아동중심과 수요자중심 교육, 신자유주의 교육철학
제13절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05 교육사회학
제1절 사회변화의 관점과 교육에 대한 기본관점
제2절 기능론과 교육
제3절 교육과 문화
제4절 갈등론과 기능론 비교
제5절 갈등이론
제6절 신교육사회학
제7절 해석적 관점과 상징적 상호작용론
제8절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제9절 학력경쟁
제10절 교육격차론과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
제11절 교육의 기회균등과 평등
제12절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
제13절 공교육의 이념과 구현방안
제14절 공교육 위기와 교육개혁 방안
제15절 홈스쿨링과 대안학교
제16절 평생교육과 지역사회학교
제17절 성인교육론
06 교육과정
제1절 교육과정의 의미와 개발
제2절 교육과정의 유형
제3절 교육과정의 유형(공식성의 정도에 따라)
제4절 교육과정 개발모형
제5절 통합교육과정
제6절 교육과정의 구성절차
제7절 교육과정의 평가모형
제8절 중앙과 지방 분권적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재구성
제9절 2015개정 교육과정
07 교육심리학
제1절 인간발달의 기제와 발달과업
제2절 가드너의 다지능이론
제3절 성공지능이론
제4절 감성(정서)지능과 분산지능
제5절 창의성
제6절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제7절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제8절 도덕성 발달이론
제9절 에릭슨의 성격발달이론
제10절 동기이론
제11절 동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과 동기유발전략
제12절 자아개념과 자성예언
제13절 학습이론 개관
제14절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제15절 스키너(Skinner)의 작동적 조건화이론
제16절 행동수정이론과 행동수정기법
제17절 반두라의 사회인지학습이론
제18절 인지적 학습이론 개관
제19절 정보처리이론
제20절 Thomdike의 연합주의 이론과 연습
제21절 학습의 전이이론
제22절 욕구와 갈등관리 전락
08 교수-학습이론
제1절 교수-학습(수업)의 원리
제2절 교수의 3대변인
제3절 캐롤(J.B.Carroil)의 학교학습 모형
제4절 스키너의 프로그램 학습이론
제5절 브루너의 발견수업이론
제6절 오스벨의 유의미 수용학습
제7절 가네의 학습조건이론
제8절 Merrill의 내용요소이론
제9절 Reigeluih의 교수정교화이론
제10절 Keiler의 학습동기 설계모형
제11절 적성,처치 상호작용 모형(ATI)
제12절 글레이져의 수업과정 모형과 수업셜계요소
제13절 수업목표 진술
제14절 수업형태(전략)
제15절 학습자 주도적 학습과 개별화 수업
제16절 구성주의 학습이론
제17절 구성주의 교육적 작용과 교수설계에 주는 시사점
제18절 협동학습
09 교육공학
제1절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제2절 교육공학의 의미와 접근
제3절 교수설계모형
제4절 교육공학이론
제5절 교수매체의 효과적 활용 모형(ASSURE)
제6절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제7절 웹기반 교육(WBI)과 플립드 러닝
제8절 멀티미디어의 특징과 교육적 활용방안
제9절 원격교육의 특성과 장·단점
10 교육평가
제1절 평가시기에 따른 교육평가 유형
제2절 교육평가의 의미와 교육평가관
제3절 참조준거에 의한 교육평가 유형
제4절 수행평가와 메타평가
제5절 교육평가의 절차
제6절 정의적 영역의 평가와 평정오류
제7절 평가도구의 양호도
제8절 평가도구의 신뢰도
제9절 평가문항의 제작과 형식
제10절 고전적 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
11 교육통계 및 교육연구
제1절 교육통계의 의미와 종류 및 집중경향치
제2절 변산도, 정상분포곡선과 표준편차의 관계
제3절 검사점수의 형태
제4절 교육연구의 목적, 특징 및 교육연구의 절차
제5절 표집절차와 표집오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6절 연구문제, 가설 설정과 검증방법
제7절 교육연구의 종류
제8절 연구방법의 종류
12 생활지도
제1절 생활지도의 의의,영역,상담관계의 조건
제2절 비행이론
제3절 상담이론
제4절 해결중심 단기상담(SFBC)
제5절 진로교육과 진로발달이론
13 교육행정학
제1절 교육행정의 의의와 특성, 원리
제2절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과정
제3절 정책결정 의의와 이론모형
제4절 조직이론
제5절 동기이론
제6절 교육적 지도성이론
제7절 교육조직의 성격
제8절 교내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
제9절 장학행정
제10절 교육재정과 교육예산
제11절 학교경영
제12절 교직의 특수성과 학급경영의 방침
제13절 교직관, 교사의 권리와 의무
부록 중등교육학 기출문제 연습(2013-2016년)
2013년 5월30일 추시문제
2013년 12월 정시문제
2014년 6월 추시문제
2014년 12월 6일 정시문제
2015년 6월 추시문제
2015년 12월 정시문제
2016년 12월 3일 정시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