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의 말 7
1부 2000~2004
한국 사회의 정치 현실과 이성적 질서를 향한 모색 김우창, 최장집, 홍윤기 17
21세기 한국 대학 교육의 방향과 좌표 김광억, 안병영, 이현청, 김우창 49
인문주의가 필요한 시기 왔다 인터뷰 강근주 60
세계화는 나쁜 얼굴의 국제주의 피에르 부르디외, 김우창 65
지성의 독립성과 성찰의 근거에 대하여 김우창, 고지마 기요시 70
오렌지 주스에 대한 명상 김우창, 김상환 94
문학적인 문화를 위하여 리처드 로티, 김우창 131
비평은 진리 추구 위한 방편 인터뷰 손창훈 151
우리는 어디에 있으며, 무엇을 할 것인가 김우창, 최장집, 여건종 156
한국의 정치 문화를 말한다 박충석, 김우창, 김홍우 196
뭍과 물, 자연과 사람을 잇는 삶의 쉼터로 강홍빈, 김우창 207
우리 시는 어디로 가나 김우창, 최승호, 유종호 212
문학과 철학 박이문, 김우창, 유종호 243
우리 사회는 이성의 원리가 탄생해 가는 과도기다 인터뷰 송복남 272
격변기, 지성의 의미와 역할 인터뷰 방민호 285
민족 이산, 정체성 그리고 한국문학 김우창, 이회성, 최원식 292
지적 작업은 사회에 기여해야 인터뷰 이병혜 297
2부 행동과 사유-김우창과의 대화 권혁범, 윤평중, 고종석, 여건종
성장과 지적 편력 321 | 문학과 윤리 355 | 구체적 보편, 그리고 언어 367 | 심미적 이성과 사회적 이성 382 | 유희와 쾌락에 대하여 416 | 정치적인 것과 내면적인 것 433 | 겹눈의 사유와 담론적 실천의 문제 458 |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481 | 한국 현대사에서의 문학 지식인의 역할 491 | 동양과 서양의 학문, 그리고 외국 문학을 한다는 것 502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515 | 문자 매체와 영상 매체 529 | 언론, 공적 담론, 권력 537 | 세계화, 내면성, 그리고 행복한 삶 550
3부 2005~2009
출판을 화두 삼은 문화 입국의 길 김우창, 도정일, 박광성 563
가장 사람다운 삶은 즐거운 금욕주의 김우창, 여건종 577
현지에서 본 2005 프랑크푸르트도서전 주빈국의 의미 인터뷰 신동섭 596
김우창 교수에게 들어 본 요즘 한국 사회 인터뷰 배문성 601
동아시아 평화 비전을 향하여 오에 겐자부로, 김우창, 윤상인 606
오늘의 한국 사회와 비평 담론 김우창, 장회익, 도정일, 최장집, 여건종 616
아시아의 주체성과 문화의 혼성화-리처드 로티 교수와의 서신 교환 640
『자유와 인간적인 삶』 펴낸 김우창 교수 인터뷰 강성만 799
경계를 넘어선 대화의 열림 미셸 콜로, 김우창 803
더 많은 혹은 더 작은 민주주의를 찾아서 김우창, 최장집 824
학문은 선입견 없이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다 인터뷰 김경필, 유세원 855
민주화를 넘어서 어디로 안병직, 김우창, 이영성 867
한국 인문 사회 과학의 한 패러다임 박명림, 김우창 877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김우창, 김종철 948
위기의 한국 언론, 가장 필요한 것은 객관성 인터뷰 이대근 987
서구화로 무너진 독서 공동체 재구성 디딤돌 될 것 김우창, 김언호 996
한일 개인적 교류가 평화 문제 해결에 도움 김우창, 시마다 마사히코 1000
공간의 유기성이 존중되는 발전이라야 한다 김우창, 조판기 1005
대한민국 건국의 역사적 의의 김우창, 노재봉, 신복룡, 이인호, 안병직 1012
제1회 한ㆍ일ㆍ중 동아시아문학포럼 3국 대표 대담 김우창, 시마다 마사히코, 티에닝 1067
2009 한국의 모색 좌우를 뛰어넘다 인터뷰 김기철 1071
창간 55주년 기념 김우창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최윤필 1078
대한민국은 지금 어디로 가나 김우창, 도정일 1085
좌우 극한 대결 해법을 묻다 인터뷰 김종혁 1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