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동아시아 기관인형 연구

동아시아 기관인형 연구

  • 박세연
  • |
  • 민속원
  • |
  • 2015-08-25 출간
  • |
  • 280페이지
  • |
  • 180 X 233 X 20 mm /638g
  • |
  • ISBN 9788928507733
판매가

26,000원

즉시할인가

24,7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동아시아 기관인형의 역사와 그 신비한 비밀을 풀어보다
기관인형은 이미 조선전기 나식羅湜(1498~1546)이나 박승임朴承任(1517~1586)의 시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나식의 「괴뢰부」에는 ‘이윽고 기관인 스스로 작동하니’, 박승임의 「괴뢰붕」에는 ‘기관도 갖가지’라고 하여 기관으로 인형이 움직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1998년에 중국민족대학교 도서관에서 발견된 『봉사도』의 오산 역시 기관인형을 놀리던 산대였다. 『봉사도』는 청나라에서 조선사신으로 파견된 아극돈이 당시 받았던 사행 행사를 그림으로 엮은 것으로, 그 안에는 조선의 기관인형 산대가 그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기관인형이란 단어가 생소하지만,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다. 중국에서 기관인형은 인형의 기원에서부터 거론되고 있는데 한나라 때의 고분에서 발견된 대도인 유물을 통해 기관인형이 이미 기원전부터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일본에서 산대는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에도시대에 나타난 기관인형 산대는 조선통신사가 사용했던 지남거와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또한‘ 동아시아 박물관’이라는 명칭답게 일본에는 한국에서 건너간 유물이 지금도 남아있어 한국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한, 중, 일 동아시아 삼국은 지정학적 위치상 서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했기 때문에 각 나라의 기관인형의 역사를 직소퍼즐처럼 공시적, 통시적으로 맞추어보면 그 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다양한 사실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아르케 북스

민속원民俗苑에서는 본격적인 학술총서를 표방하여, 2013년부터 새로 『아르케 북스』를 기획하였다. ‘아르케’는 만물의 ‘근원’·‘시원’을 뜻한다. 폐사는 한국 인문사회과학 연구의 기반 구축과 활성화라는 본래의 창사 목적으로 돌아가, 한국 인문학의 발전에 미력이나마 이바지하기 위해 『아르케 북스』를 세상에 선보이고자 한다.

민속원의 『아르케 북스』는 다양한 인문학 분야의 연구 동향과 이론을 소개하는 심층연구서와 국내 학술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는 번역서, 그리고 인문사회과학의 학제적·통섭적 연구인 공동저서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기획서로 『한국 마을신앙의 탄생』을 내놓았고, 이번에 마흔 두 번째 『동아시아 기관인형 연구』를 내놓았다. 앞으로 민속원의 『아르케 북스』는 우리 학문의 발전을 위해 인문사회과학 분야 전반의 이론적 쟁점과 동향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인문학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계속해서 담고자 한다.

001|한국 마을신앙의 탄생_ 박호원 2014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002|제복의 탄생_ 이경미 2013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003|베트남의 소수민족_ 당 응이엠 반?쭈 타이 선?르우 홍 지음/ 조승연 옮김
004|문명과 기후_ 엘스워스 헌팅턴 지음/ 한국지역지리학회 옮김
005|권번과 기생으로 본 식민지 근대성_ 황미연
006|종교민속학_ 미야케 히토시 지음/ 김용의?김희영?이은경?조아라?최가진 옮김
007|조선시대 김치의 탄생_ 박채린 2014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008|중국의 삼백신_ 마서전 지음/ 윤천근 옮김
009|조선 유교건축의 풍수 미학_ 박정해
010|구전이야기 연행과 공동체_ 김영희 2014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011|제국일본과 인류학자(1884~1952)_ 사카노 토오루 지음/ 박호원 옮김
012|기의분류로 본 한국의 동물상징_ 엄소연
013|연행주체란 누구인가_ 김영희 2014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014|한국 전통 인형극의 공연학적 연구_ 최락용
015|일본 음악의 역사_ 킷카와 에이시 지음/ 조선우?강태구 옮김
016|진도 축제식 상장례 민속의 연희성과 스토리텔링_ 김미경
017|북촌 한옥마을의 서울학적 연구_ 이에나가 유코
018|조선신대 산송자료와 산도를 통해 본 풍수운용의 실제_ 이화
019|연등회의 종합적 고찰_ 한국불교민속학회·연등회보존위원회
020|조선 왕실의 궁릉 의물_ 장경희
021|일본의 스모_ 김용의
022|석조전-잊혀진 대한제국의 황궁_ 김은주
023|제국의 시선_ 마츠다 쿄코 지음/ 최석영?권혁희 옮김
024|동중국해 문화권_ 노무라 신이치 지음/ 김용의 외 옮김
025|연등회의 역사와 문화콘텐츠_ 이윤수
026|에너지를 생각한다_ 박미정 옮김
027|문화유산의 보존_ 노먼 타일러 외 지음 / 강경환 옮김
028|양반고을 양반 굿_ 박혜정
029|신라 기와연구_ 김유식
030|국역 악서고존_ 다산 정약용 지음 / 권태욱·박정련 역주
031|근대식 연회의 탄생_ 이정희
032|조선의 장시연구_ 무라야마 지쥰 지음 / 최순애·요시무라 미카 옮김
033|궁중연향도의 탄생_ 안태욱
034|한국 불교민속문화의 현장론적 고찰_ 김용덕
035|국역 동경잡기_ 민주면·이채·김건준 지음/ 조철제 옮김
036|빅터 너너의 제의에서 연극으로_ 빅터 터너 지음 / 김익두·이기우 옮김
037|중국음악에서 중국문화를 보다_ 왕야오화·궈샤오리·왕즈어·리우부린 지음
장현미·중팡팡·양쉬안·최옥란 옮김
038|연행론의 학문적 연행에 대한 반성론적 고찰_ 허용호
039|러시아문화와 우주철학_ 박영은
040|아트센터와 공연예술_ 박민호
041|식민지조선과 근대설화_ 김광식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과 연구한계

제2장 기관인형의 원리

1. 기관인형이란

2. 동력전달장치
1) 물시계
2) 지남거
3) 헤론의 장치

3. 인형의 내부구조
1) 신체분절
2) 어깨판 혹은 허리판 인형
3) 어깨판이 변형된 인형극

제3장 동아시아 기관인형의 역사

1. 중국의 기관목인
1) 주대周代~한대漢代(기원전 1046~220)
2) 위진남북조시대魏晉南北朝~당대唐代(221~907)
3) 송대宋代~청대淸代(960~1912)

2. 일본의 가라쿠리
1) 야마토시대大和~나라시대奈良(3세기 말~784)
2) 헤이안시대平安~무로마치시대室町(794~1573)
3) 아즈치모모야마시대安土桃山~에도시대江?(1568~1867)

3. 한국의 기관인형
1) 삼국시대三國(기원전 1세기~7세기)
2)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676~918)
3) 고려시대高麗(918~1392)
4) 조선시대朝鮮(1392~1910)

제4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박세연 朴世然 Park, Seiyeun 은

서울 출생
덕성여대 일문과(일본문화여대 교환유학)
중앙대 대학원 연극과 석사
중앙대 대학원 연극과 박사(중국 희곡학원 단기코스 이수)

주요논문
「쓰키지소극장 연구」(2002, 중앙대 석사논문)
「조선시대 산대 기관인형 연구」(2014, 중앙대 박사논문)
「일본 夢幻能의 형성 과정과 특징」 (『한국희곡』9, 2002)
「일본 쓰키지 소극장의 설립과 공연활동」 (『아시아의 현대연극』, 2003)
「Comparison of Osanai Kaoru and Hong Hae-sung」(51st IFTR/FIRT, 2008)
「오사나이 가오루와 홍해성의 비교연구」 (『중앙우수논문』10, 2008)
「동아시아 기관괴뢰의 구조분석을 통한 『봉사도』 윤거잡상의 재연」 (『민속학연구』26, 2010) 등

번역
「소녀가면」 (『아시아의 현대연극』, 2003)
「원점으로서의 이시이바쿠」 (『아시아 춤의 근대화와 한국의 근대춤』, 2005)
『쓰키지소극장의 탄생』(현대미학사, 2005)
「배우와 역할의 관계에 대한 고찰」 (『연기예술연구』, 2009) 등

도서소개

한국에서는 기관인형이란 단어가 생소하지만,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어이다. 중국에서 기관인형은 인형의 기원에서부터 거론되고 있는데 한나라 때의 고분에서 발견된 대도인 유물을 통해 기관인형이 이미 기원전부터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일본에서 산대는 삼국시대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 되고 있으며, 에도시대에 나타난 기관인형 산대는 조선통신사가 사용했던 지남거와도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또한‘ 동아시아 박물관’이라는 명칭답게 일본에는 한국에서 건너간 유물이 지금도 남아있어 한국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한, 중, 일 동아시아 삼국은 지정학적 위치상 서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했기 때문에 각 나라의 기관인형의 역사를 직소퍼즐처럼 공시적, 통시적으로 맞추어보면 그 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다양한 사실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