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의민 이두현 저작집

의민 이두현 저작집

  • 의민 이두현 저작집 간행위원회
  • |
  • 민속원
  • |
  • 2013-01-31 출간
  • |
  • 430페이지
  • |
  • 180 X 235 X 30 mm
  • |
  • ISBN 9788928504053
판매가

37,000원

즉시할인가

35,1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1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하나의 이정표里程標로 여기 『한국신극사연구韓國新劇史硏究』를 내놓는다. 이제 십리만큼 왔다는 표지標識이다.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을 새긴 「장승」은 해마다 마을에서 장승제를 지내고 새로 세우는 법이다. 그러면 10년이 못 가서 나무로 된 장승은 썩고 새로 세운 장승들이 뒤를 잇는다. 나로서는 이제 해마다 장승제를 지낼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이 연구에서 종래從來에 한국문학사韓國文學史에서 홀대忽待되어 오던 희곡문학戱曲文學을 위하여 좀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싶었으나, 이번은 한국연극학수립韓國演劇學樹立을 위한 첫 단계로 연극단체演劇團體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신극사新劇史를 거의 자료집에 가까운 체제로 요약하였다. 희곡사연구戱曲史硏究는 다음 기회에 따로 다루고저 한다. 원래 본 연구는 한국연극사연구韓國演劇史硏究의 제2부 현대편現代篇을 완성하고 이어 한국연극전사韓國演劇全史를 상재上梓코저 한다.

목차

간행사-의민 이두현 선생의 저작집을 내면서
의민宜民 이두현李杜鉉 선생先生 연보年譜
자서自序
三阪에 즈음하여

서장 한국연극韓國演劇의 분류分類와 시대구분時代區分

제1장 협률사協律社와 원각사圓覺社(1902~1910)
1. 협률사協律社 이전以煎
2. 협률사協律社
3. 원각사圓覺社

제2장 신연극초기新演劇初期의 연극관演劇觀

제3장 혁신단革新團과 문수성文秀星(1911~1920)

1. 신파新派와 구파舊派
2. 혁신단革新團 전기前期 공연公演
3. 신파극新派劇의 눈물
4. 혁신단革新團 후기後期 공연公演
5. 문수성文秀星과 유일단唯一團
6. 잔여신파극단殘餘新派劇團

제4장 토월회土月會와 잔여극단殘餘劇團(1921~1930)
1. 토월회土月會 이전以前
2. 토월회土月會 이후以後

제5장 극예술연구회劇藝術硏究會와 동양극장東洋劇場(1931~1939)
1. 극예술연구회劇藝術硏究會
2. 상업극단商業劇團 화려華麗하던 시절時節
3. 경향극傾向劇
4. 학생극學生劇

제6장 조선연극문화협회朝鮮演劇文化協會(1940~1945)
1. 조선연극협회결성朝鮮演劇協會結成
2. 소위所謂 연극신체제演劇新體制의 강화
3. 조선연극문화협회朝鮮演劇文化協會 활동

제7장 해방후解放後의 연극演劇
1. 광복기光復期의 신극新劇
2. 동란動亂과 재건기再建期의 신극新劇

결론

대표 참고문헌
韓國 新劇史 略年表
MODERN HISTORY OF KOREAN DRAMA
찾아보기

저자소개

의민宜民 이두현李杜鉉 선생先生 연보年譜

1924. 4.2. 함경북도 회령읍에서 전주全州 이씨李氏 윤섭倫燮공과 청주淸州 한씨韓氏 학선學善의 일남일녀 중 장남으로 출생(음, 계해癸亥년 11월 11일 생)
1938. 3. 회령공립 보통학교 졸업
1942. 12. 회령공립 상업학교 졸업
1943. 2. 식산殖産은행 입사, 청진지점 근무
1944. 4. 관립 청진사범학교 본과 입학
1944. 10. 일본군에 징집
1945. 8.15. 광복 후 회령남국민학교 교사
1946. 2. 월남 상경
1946. 7.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전문부 수료
1950. 5.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문과 졸업 (문학사)
1950. 5. 한성고등학교 교사
1952. 3. 마산공립상업고등학교 교사
1953. 5.9. 양주楊洲 황씨黃氏 성진聖鎭공의 차녀 계봉桂峯 여사와 결혼
1953. 6.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강사
1954. 4. 근화여자대학 부교수
1954.이래. 숙명여대, 서강대, 이화여대, 중앙대 강사 역임
1957-60. 국어국문학회 상임이사
1958. 4.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전임강사
1960. 9-1961. 8. 교육과정기술방법연구 차 도미 (피버디대학 및 카톨릭대학에서 연극학 및 인류학 청강)
1962. 9.-1989. 8.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조교수, 부교수, 교수
1963. 이래. 국제극예술협회(I.T.I.) 한국본부 상임위원 역임
1963. 4.-5. 일본공연예술 시찰 (I.T.I. 후원)
1966. 3.-1968. 3.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교육도서관장
1966. 4.-5. 미국 스미드소니언 연구소 주최 인류학 구제회의 참석 후 도미와인도 및 대만 학계 시찰
1966. 12. 『한국신극사연구』로 한국일보사 제정 한국출판문화상 저작부분 수상
1967. 4. 한국연극연구소 제정 제5회 연극상 수상
1968. 7.-1969. 4. 일본 동경대학 문화인류학과 객원교수
1968. 8. 서울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 수여.
1968. 9. 제 8차 국제인류학 및 민족학회의 참석 (일본)
1969. 3. 사단법인 한국가면극연구소 이사장 취임
1971. 1. 문화공보부 문화재위원회 위원
1971. 8.-1972. 3. 록펠러 3세 재단 연구기금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연극사 및 인류학 연구
1972. 5.-1974. 11. 사단법인 한국문화인류학회 이사장
1973. 1.-3. 일본 민속 조사 (웨너그랜 재단 후원)
1973. 8.-9. 제9차 국제인류학 및 민속학회의 참석 (미국)
1974. 1.-1981. 12. 국립극장운영위원
1975.-1976. 한국연극학회 회장
1975. 2.-3. 일본 수몰지구 및 민속박물관 시찰
1975. 10.-1976. 4. 서독 보쿰대학교 객원교수
1977. 3. 봉산탈춤 미국 공연 인솔 및 강연
1978. 6.-9. 봉산탈춤 유럽 7개국 순회공연단 인솔
1978. 9. 유네스코 동아시아문화연구센터 주최 아시아제국의세시풍속과 평생행사에 관한 국제회의 참석 (동경)
1979. 4. 제15회 특별상 수상 (한국일보 주최)
1979. 가을학기 국내 교류교수로 제주대학에서 강의와 민속 조사
1979. 9.-10. 봉산탈춤 동남아공연단 인솔 (홍콩과 대만)
1980. 1. 한일 공동 고대사 심포지움 참석 (동경)
1980. 11-12. 아스팍 주최 문화재보존회의 참석 (대만)
1981. 1.-3. 일본 국립민속학 박물관 객원교수 (大阪)
1981. 6.-7. 국제민속축전 조직위원회(CIOFF) 총회에 한국대표로 참석 (동경)
1981. 10. 제3회 天城 심포지움 “일본문화의 명암” 참석
1981. 10.20.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수여
1982. 6. 10. 학술원 정회원 피선
1982. 8.-9. 웨너그랜 재단 후원 연극과 제의 국제회의 참석 (뉴욕)
1982. 10. 제7차 문화의 고 에 관한 학술회의 참석 (동경)
1983. 6. 프랑스 세계문화원 주최 연극과 샤머니즘 국제회의 참석 및 브레타뉴 지방의 거석문화 시찰

저서
1966. 5.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12. 『한국가면극』,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3. 3. 『한국생활사』(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1983, 개정판 『한국가정생활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73. 12. 『한국연극사』, 민중서관
1974. 7. 『한국민속학개설』(공저), 민중서관(1983, 개정판 학연사)
1977. 4. 『한국민속학개설』(공저), 일본 學生社(최길성 일역)
1979. 2.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1981. 2. 『한국의 탈춤』, 일지사
1996. 3. 『한국무속과 연희』, 서울대학교출판부
2012. 1. 『이두현, 민속축제와 만나다』, 민속원
2011-12. 『이두현 기증 무가연구』 1-8권, 국립문화재연구소

논문
1957. 12. 「산대도감극의 성립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제18호, 국어국문학회
1958. 10. 「한국의 가면」, 『사조』 10월호, 사조사
1959. 12. 「신라오기고」, 『서울대인문사회과학논문집』 제9집
1964. 6. , 국립무용단 제4회 공연 대본
1964. 10. 「양태 및 갓 공예」(공저), 『고문화』 제3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65. 4. 「나운규전·박승희전」, 『한국의 인물상』(5) 문학·예술가편, 신구문화사
1965. 10 「한국연극 기원에 대한 몇 가지 고찰」, 『예술논문집』 제4집, 대한민국예술원
1966. 5. 「한국민속지:오광대」, 『연포蓮圃 이하윤선생회갑기념 논문집』
1966. 7. 「문화인류학과 교육」, 『교육과 관련과학』,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6. 12. 「신라고악재고」, 『신라가야문화』 제1집, 영남대학교 신라가야문화연구소
1966. 12. 「한국민속지:봉산탈춤」, 『진단震檀학보』 제29·30 합병호, 진단학회
1966. 12. 「양주소놀이굿」, 『국어국문학』 제39·40 합병호, 국어국문학회
1968. 6. 「완도음 장좌리당제」, 『이숭녕박사송수기념논총』
1968. 6. 「양주별산대놀이 연구 및 대사」, 『아세아연구』 제11권 2호, 고려대학교
1968. 7. 「사자기고獅子技攷」, 『동서문화』 제2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68. 8. 「고폐高?읍 오거리당산」, 『문화인류학』 창간호, 한국문화인류학회
1968. 8. 「Folk-Beliefs of Sacred Poles in Korea」, International Congress of Anthropological Ethnological Sciences VIIIth, Tokyo, Japan
1969. 1. 「韓國假面と假面劇」, 『文學』(37), 東京:岩波書店
1969. 2. 「韓國の民家」, 『都市住宅』, 東京:?島出版社
1969. 3. 「楊洲巫堂」, 『東洋文化』 제46·47 합병호, 동경대학 동양문화연구소
1969. 3. 「북청사자놀음」, 『김재원박사회갑논문집총』
1970. 2. 「한국연극사」, 『한국문화사대계』 IV,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0. 「강령탈춤」, 『연극평론』 제3호, 연극평론사
1971. 2. 「수영야류」, 『문화재』 제5호, 문화재관리국
1971. 7. 「한국세시풍속의 연구」, 『문교부학술연구논문집』(1982, 국민속연구논문선 II 再收, 일조각)
1971. 11. 「벽사진경?邪進慶의 세시풍속」, 『김형규박사송축기념논총』
1971. 12. 「세시풍속」,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북편)』, 문화재관리국
1972. 12. 「김해 삼정동 걸립치기」, 『?軒 손낙범선생 회갑논문집』
1972. 12. 「송파산대놀이」, 『문화인류학』 제5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72. 12. 「연희」,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남편)』, 문화재관리국
1973. 10. 「옥산궁묘제玉山宮廟祭」, 『南日本文化』 제6집(?兒島短期大學, 南日本文化硏究所 1973.10).
「초분草墳」, 『韓國農村の家族と祭儀』(동경문학출판회, 1979, 『葬送制硏究集成』 제5권, 墓の歷史 再收, 명저출판)
1974. 4. , 국립발레단 제14회 공연 대본
1974. 8. 「장제와 과련된 무속연구」, 『문화인류학』 제6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74. 12. 「민속극」, 『한국의 민속문화』, 국제문화재단
1975. 3. 「김수산전」, 『음악연예의 명인 8인』, 신구문화사
1975. 11. 「韓國民俗學の現況」, 『韓』 제14권 11호, 동경 한국연구원
1975. 12. 「강령탈춤」, 『국어교육』 제26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5. 12. 「Mask Dance Drama」,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f Korea, Korea UNESCO
1976. 3. 「陜川地方の歲時風俗」, 『移民と文化變容』, 日本學術振興會
1976. 3. 「Burial Customs of Korea: Ch’obun」, The Realm of the Extra-Human Idea and Actions, The Hague:Mouton Publisher.
1976. 12. 「한국희곡문학대계 I 해제解題」, 『한국희곡문학대계』 I, 한국연극사
1979. 12. 「세시풍속」,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북편)』, 문화재관리국
1979. 12. 「민속놀이」,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북편)』, 문화재관리국
1977. 1. 「가산오광대」, 『한국연극』 1월호, 한국연극협회
1977. 8. 「Korean Mask Dance Drama」, Asian Culture (17), Asian Cultural Center for UNESCO, Tokyo, Japan
1978. 5. 「안동 수몰지구의 세시풍속지」, 『신라가야문화』 제9·10 합병호, 영남대학교 신라가야문화연구소
1978. 6. 「동제와 당굿」, 『사대논총』 제17집,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978. 9. 「한국민속예술의 본질과 그 사회적 기능?특히 민간연희를 중심으로」, 『동북아민속학 비교연구』 제1집, 명지대학 동북아시아민속학연구소
1978. 12. 「A Brief History of Ethnographic Films in Korea」, Presented to Pre-Congress Symposium on Visual Anthropology, Xth International Congress of Anthropological and Ethnological Sciences, New Delhi, India
1979. 5.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ir Transmission to Future Generations in Korea」, in Proceedings of The 2nd Asian-Pacific Conference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radition, Cultural and Social Center for the Asian and Pacific Region, Seoul, Korea
1979. 12. 「무형민속문화재의 보존과 전승방안」, 『문화예술논문선집』(1), 서울:한국문화예술진흥원(1969년 稿)
1980. 9. 「선묘善妙와 광청아기 설화」, 『연암延岩 현평효玄平孝 박사회갑기념논총』
1980. 11. 「假面とツャマニズム」 『假面と宗敎』 京都 佛敎美術硏究上野紀念財團
1980. 11. 「Drama and Dance」, Sutides on Korea: A Scholar’s Guide, Honolulu:The University Press
1980. 11. 「The promotion and Enhancement of Folk Music and Folk Drama in Korea」, The 3rd Asian-Pacific Conference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radition, Cultural & Social Center for the Asian Pacific Region, Seoul, Korea
1980. 12. 「제주도 민속조사」, 『한국문화』(I),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0. 12. 「세시풍속」,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황해, 평남·북 편)』 문화재관리국
1981. 1. 「韓國の野外假面劇」, 『季刊民俗學』(15), 大阪:民俗學振興會
1981. 12. 「세시풍속」,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함남·북 편)』 문화재관리국
1981. 12. 「동해안별신굿」, 『한국문화인류학』 제13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81. 12. 「韓國の村際りと假面」, 『藝能史 硏究』(74), 藝能史硏究會
1982. 3. 「韓國假面の歷史」, 『古面』, 京都國立博物館
1982. 4. 「신극의 태동」,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8. 「Role Playing through Trance Possession」, Presented to Theatre and Ritual International Symposium, New York, Wenner-Gren Foundation for Anthropological Research
1982. 8. 「Entertaining the Gods?Korean Village Festival」, Asian Culture (33), Japan
1982. 10. 「韓國古代の喪葬儀禮」, 『東京アヅアにおけゐ儀禮と國家』, 日本學生社(1974年稿)
1982. 10. 「朝鮮朝 전기의 연희」, 『동양학』 제13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2. 12. 「하회별신굿 탈놀이」, 『한국문화인류학』 제14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83. 12. 「한국의 민속학연구」, 『한국학입문』, 대한민국학술원

도서소개

『의민 이두현 저작집』 제1권 《한국 신극사 연구》는 한국연극학수립을 위한 첫 단계로 연극단체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신극사를 거의 자료집에 가까운 체제로 요약한 책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