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테마 한국불교 4

테마 한국불교 4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엮음)
  • |
  • 동국대학교출판부
  • |
  • 2016-06-30 출간
  • |
  • 388페이지
  • |
  • 160 X 234 X 34 mm /850g
  • |
  • ISBN 978897801489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인도에서 탄생한 불교는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1,700년 전에 한반도에 들어왔다. 인도불교는 지난한 수행의 과정을 거쳐 세상의 이치(Dharma)에 대한 깨달음을 얻으면서 생사윤회의 길을 벗어남을 추구했다. 이런 인도불교의 지향점은 이질적 문명을 누려 온 중국인들에 의해 변용, 수용되었다. 붓다와 그 시대에서 시간·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던 중국인들이 스스로 붓다가 되기 위해서는, 누구나 붓다가 될 수 있는 성품을 본래부터 가지고 태어난다고 믿는 것이 중요했다. 그 결과 중국 불교에서는 깨달음(覺)이 ‘본래 깨달아 있음(本覺)’으로, 붓다(佛)가 ‘붓다의 성품(佛性)’으로 변형되어 이해되었고, 세상의 이치인 다르마도 ‘조건들의 일어남(緣起)’에서 ‘본성의 일어남(性起)’으로 다르게 인식되었다. 이는 중국 특유의 본성론적 사고에 기인한 것으로, 중국불교에서는 이론 분야의 천태종과 화엄종, 실천 영역의 정토종과 선종이 독자적으로 발생하였다.이처럼 본성론에 바탕을 두고 성립된 중국불교의 교리와 사상은 같은 한자문화권인 한국과 일본 등에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에는 그 수용 방식에서 조금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것은 여러 학파 및 종파의 이론과 각각의 대립적 주장들을 종합하여 조화를 이루려는 통섭적 경향의 출현이었다. 한국불교의 독창적 이론을 제시한 원효는 여러 학설의 화쟁을 주창하였고, 한국 선불교의 대표자인 지눌은 간화선과 화엄으로 상징되는 선교일치를 추구하였다. 조선 후기 불교 강학 전통에서 나타난 화엄과 선의 결합 시도 또한 한국불교 특유의 통섭적 경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본성론에 기초하여 여러 학파와 종파가 성립된 것은 중국에서였지만, 통섭을 통한 창조적 종합의 시도는 한국에서 보다 분명히 나타난 한국불교의 고유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동국대학교 인문한국(HK) 연구단은 한국불교의 로컬의 특성을 글로벌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글로컬리티의 확장성을 구현하려는 방향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본 연구단의 아젠다는 ‘글로컬리티의 한국성: 불교학의 문화확장 담론’으로서, 2011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총 10년간 HK사업을 수행 중이며, 현재 2단계 2년차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1단계에서는 한국불교의 ‘원형의 고유성’을 탐색하여 매년 9개씩 3년간 총 27개의 테마를 다룬 바 있다. 그 성과물인 『테마한국불교』 1-3은 이미 간행 되어 나왔고, 본서 『테마한국불교』 4는 2단계 1년차 아젠다 연구결과를 수록하였다

목차

머리말_ 김종욱·5
총 설_ 김용태·15

제1부 문헌과 사상

텍스트
기신론소起信論疏 _ 이수미 ● 35
Ⅰ. 『대승기신론』의 성립과 초기 주석들 … 36
『기신론』의 등장과 초기 수용 36/ 『기신론』의 저자와 성립 문제 37/ 『기신론』의 사상적 중요성 40/ 남북조와 수대 논사들의 『기신론』 해석 42
Ⅱ. 한국 논사들의 『기신론』 수용과 이해 … 46
삼국 및 통일신라 시대의 『기신론』 수용 46/ 원효의 『기신론』 이해 48/ 원효 이후의 『기신론』 해석의 전개 52
Ⅲ. 『기신론』 해석의 교류와 확대 … 56
법장과 종밀의 『기신론』 주석과 원효 56/ 고대 일본 화엄학의『기신론』 수용 60/ 근현대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기신론』 연구 63
■ 동아시아 『기신론』 해석의 전개와 원효 ·68

삼미륵경소三彌勒經疏 _ 박광연 ● 75
Ⅰ. 마이뜨레야와 미륵경 … 76
불전佛典 속의 마이뜨레야 76/ 미륵경의 번역과 주석 78/ 유가조瑜伽祖 미륵과 현장 83
Ⅱ. 한국 미륵경 연구의 흐름 … 85
혜균의 『미륵경유의』 85/ 원효의 『미륵상생경종요』 88/ 경흥의『미륵경술찬』과 『삼미륵경소』 90
Ⅲ. 『삼미륵경소』의 내용적 특징 … 92
상생경, 하생경, 성불경의 합본 92/ 도솔천 왕생의 용이성 95/규기 『관미륵상생경찬』과의 동이同異 98
Ⅳ. 『삼미륵경소』의 동아시아적 영향력 … 101
고려시대 유식학과 미륵신앙 101/ 일본 법상종과 나라 사경 102/ 온죠지(園城寺) 미륵신앙 105
■ 동아시아 미륵 교학의 보고寶庫 ·107

콘텍스트
불교사본佛敎寫本 _ 김천학 ● 111
Ⅰ. 불교사본의 발생 … 112
불교사본의 정의 112/ 사본 연구의 서막 113/ 인도의 패엽경과한역경전 115
Ⅱ. 동아시아의 주요 불교사본 … 118
중국의 돈황 사본 118/ 일본의 동대사와 성어장 121/ 신라의 사본 125
Ⅲ.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불서 유통 … 128
신라 사본의 일본 전래 128/ 의천과 송·요의 불서 유통 135/원간섭기의 사경 143
Ⅳ. 조선시대의 사본 … 144
사본의 쇠퇴 144/ 복장물 속의 사본 145/ 사기의 찬술 147
■ 한국 불교사본의 동아시아적 확산과 융성 ·151

교판敎判 _ 장규언 ● 155
Ⅰ. 교판의 인도불교적 배경 … 156
교판이란 무엇인가 156/ 교판의 경전적 근거 158/ 인도불교사 인식 관련 중요 전승 160
Ⅱ. 중국불교 교판의 전개 양상과 그 특징 … 162
교판 발생의 역경사적 배경 162/ 특정 경전 지상주의 1: 『열반경』과 『해심밀경』 중심주의 163/ 특정 경전 지상주의 2: 『법화경』과 『화엄경』 지상주의 165/ 불경의 주제와 학파의 종지에 대한인식 심화 168
Ⅲ. 한국불교 교판의 주요 양상 … 172
원측의 『해심밀경』 중심주의 172/ 원효의 『화엄경』·『기신론』 중시 173/ 의상과 균여의 상이한 『화엄경』 인식 175/ 의천의 포괄 주의적 경향 177
Ⅵ. 한국불교 교판의 두 측면 … 178
수당 불교의 종파적 구심력 178/ 개별 사상가의 역사성 181
■ 종파적 구심력과 사상가의 역사성 사이에서 ·184

제2부 종교와 문화

권력과 종교

승역僧役·승군僧軍 _ 박서연 ● 193
Ⅰ. 출가 승려와 노동 … 194

승역·승군·승병 194/ 붓다의 노동관 197/ 불교교단과 아라미까 199
Ⅱ. 동아시아 불교의 승역 사례와 노동관 … 202
북조北朝·당唐의 폐불과 승역 202/ 삼계교와 선종의 노동관 205/ 일본불교와 승병 208
Ⅲ. 삼국·고려시대 국가불교적 전개와 승역 … 210
불교의 국가적 수용 210/ 나말여초의 사원 수호 승군 212/ 수원승도隨院僧徒와 승군 214/ 거란·몽고의 침입과 승병 216
Ⅳ. 조선시대 불교정책과 승역 양상 … 218
유교국가 조선과 도승度僧 218/ 성종대의 억불정책과 승역 220/임진왜란과 의승군 222/ 조선 후기 승군과 승역 225
■ 승려의 사원 수호와 국가 외호 ·228

정토淨土 _ 김호귀 ● 233
Ⅰ. 정토불교의 세계 … 234
정토란 무엇인가 234/ 정토경전의 출현 235/ 극락과 도솔천 239
Ⅱ. 정토신앙과 사상의 성립과 전개 … 243
용수와 세친의 정토관념 243/ 칭명염불稱名念佛과 선정융합禪淨融合 246/ 호넨의 전수염불專修念佛과 신란의 정토진종 252
Ⅲ. 신라 정토신앙의 확산과 왕생관념 … 254
원효와 나무아미타불 254/ 정토교학의 전개 256/ 『삼국유사』속의 정토관념 259
Ⅳ. 고려·조선의 정토신앙의 확장 … 262
염불결사의 전개 262/ 염불의 노래 <서왕가>와 <승원가> 264/정토왕생과 『염불보권문』 266
■ 정토의 길 : 현세와 내세의 통로 ·269

문화와 의례

불교설화佛敎說話 _ 김기종 ● 275
Ⅰ. 불교설화의 개념과 유형 … 276
신화·전설·민담 276/ 불전佛典설화와 불교설화 277/ 한국 불교설화의 유형 분류 279
Ⅱ. 불전설화와 중국·일본의 불교설화 … 282
인도 불전설화의 동아시아적 전개 282/ 중국의 불교설화 284/일본의 불교설화 286
Ⅲ. 신라·고려시대의 불교설화 … 287
고려시대 문헌의 불교설화 287/ 승려의 신이한 행적 290/ 불·보살상과 경전의 영험 294/ 불연국토佛緣國土와 불·보살의 상주常住 297/ 정토왕생과 현신성불現身成佛 300
Ⅳ. 조선시대의 불교설화 … 304
『석가여래십지수행기』·『월인석보』의 본생담 304/ 사지寺志와 사찰연기설화 308/ 『진묵조사유적고』의 진묵설화 312
■ ‘불국佛國’과 ‘성불成佛’의 염원 ·317

불탑佛塔 _ 이자랑 ● 321

Ⅰ. 불탑의 탄생과 신앙의 확산 … 322
사리팔분 전설과 불탑의 탄생 322/ 스뚜빠와 짜이뜨야 324/ 발조탑과 과거불탑 326/ 아쇼까왕과 불탑 신앙의 확산 328
Ⅱ. 확대되어 간 불사리 신앙 … 330
붓다의 현존과 불탑 순례 330/ 중국의 불사리 신앙 333/ 진신사리와 아육왕탑 335/ 일본의 불사리 신앙 337
Ⅲ. 삼국·통일신라시대의 불탑 … 339
고구려·백제의 불탑 339/ 사리의 전래 342/ 불탑과 국가 진호 344/ 석탑, 영원성의 상징 347/ 이형탑異形塔과 불국의 세계 349
Ⅳ. 고려·조선시대의 불탑 … 351
복고적 양식의 등장 351/ 변신사리와 불아佛牙사리 353/ 부도와 탑비 356/ 탑과 팔상도의 결합 358
■ 불탑, 영원한 불국토의 상징 ·360

찾아보기 _ 365
저자 소개 _ 383

저자소개

저자 김용태는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사 전공,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 『Glocal History of Korean Buddhism』(Dongguk Univ. Press, 2014),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임제법통과 교학전통』(신구문화사, 2010), 「역사학에서 본 한국불교사 연구 100년」, 「동아시아의 징관 화엄 계승과 그 역사적 전개」, 「동아시아 근대 불교연구의 특성과 오리엔탈리즘의 투영」, 「CHANGES IN SEVENTEENTH-CENTURY KOREAN BUDDHIS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UDDHIST TRADITION IN THE LATE CHOSoN DYNASTY」

저자 김호귀는 동국대 HK연구교수, 선학 전공, 동국대 선학과 박사,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역임. 『묵조선연구』(민족사, 2001), 『선과 수행』(석란, 2008), 『금강선론』(한국학술정보, 2010), 「청허휴정의 오가법맥의 인식 배경에 대한 고찰」,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저자 박광연은 동국대 HK연구교수, 한국불교사 전공, 이화여대 사학과 박사,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박사후과정(post-doc.) 이수. 『신라 법화사상사 연구』(혜안, 2013), 「眞表의 점찰법회와 밀교 수용」, 「신라 義寂의 『법화경』 이해-『法華經論述記』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전기 불교 교단의 전개 양상-‘業’과 ‘宗’의 용례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미륵경 연구사에서 憬興의 위상」, 「한국 五臺山信仰 자료의 재검토」

저자 이자랑은 동국대 HK연구교수,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 전공, 일본 東京대학 인도철학·불교학과 박사, 일본 東京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나를 일깨우는 계율 이야기』(불교시대사, 2009), 「율장에 나타난 ‘不同住(n?n?sa?v?saka)’에 관하여」, 「승단 추방에 관하여-멸빈(n?sana)을 중심으로」, 「승가화합의 판단기준에 관하여」, 「「멸쟁건도」의 다수결 원칙(yebhuyyasik?)을 통해 본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저자 김기종은 동국대 HK연구교수, 고전시가 전공, 동국대 국어국문학과 박사, 고려대 BK21 한국어문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 역임. 『불교와 한글』(동국대출판부, 2015), 『한국 불교시가의 구도와 전개』(보고사, 2014),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보고사, 2010), 『동아시아 불교의 근대적 변용』(공저, 동국대출판부, 2010), 『불가의 글쓰기와 불교문학의 가능성』(공저, 동국대출판부, 2010)

저자 박서연은 동국대 HK연구교수, 한국불교 및 화엄학 전공,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 동국대 한의학연구소 연구교수 역임. 『정선 화엄 Ⅰ』(공역, 대한불교조계종 한국전통사상서 간행위원회 출판부, 2010), 「수행불교로서의 염불결사에 관한 연구」, 「의상의 오척신사상 연구」, 「한국불교사와 동양의학사에서의 인간론 변용 고찰-의상과 이제마를 중심으로」, 「『화엄경』 「여래광명각품」의 주석학적 이해」

저자 이수미는 동국대 HK연구교수 , 동아시아 유식불교 전공 미국 UCLA 박사

저자 김천학은 동국대 HK교수, 화엄학 전공 일본 東京대학 인도철학·불교학과 박사

저자 장규언은 동국대HK연구교수, 동아시아 유식학 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

도서소개

동국대학교 인문한국(HK)연구단은 한국불교의 특징과 로컬의 고유성을 글로벌한 수준에서 통섭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2011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총 10년간 ‘글로컬리티의 한국성: 불교학의 문화확장 담론’이라는 아젠다로 HK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중 1단계에서는 한국불교의 고유성을 다각적, 심층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매년 9개씩, 3년간 모두 27개의 주제를 다루었고, 그 주제별 연구 성과를 대중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것이 ‘테마 한국불교’ 시리즈이다. 본서는 2단계 1년차 아젠다 연구결과를 수록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