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무경실중어록

무경실중어록

  • 무경 자수
  • |
  • 동국대학교출판부
  • |
  • 2013-06-25 출간
  • |
  • 336페이지
  • |
  • 158 X 230 X 30 mm /732g
  • |
  • ISBN 9788978013857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서릿발 같은 기상으로 선문禪門의 방편을 자유자재로 구사

?무경실중어록無竟室中語錄?은 추계 유문秋溪有文(1614~1689)의 법계를 이은 무경 자수無竟子秀 선사의 법어와 게송을 엮은 어록이다.
젊어서 불교 외에도 유교와 도교의 전적을 두루 섭렵한 스님은 이 모두를 일심一心의 이치로 회통시켜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런 스님의 적극적 행보는 사회적 주도권뿐만 아니라 사상적 주도권마저 빼앗겼던 조선 중후기 불교계의 상황을 고려할 때 매우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무경실중어록?은 제자들에게 내린 법어, 대중법회에서의 법어, 납자들과의 거량, 깨달음의 경지에 대한 표명, 수행 과정에서의 지침, 선과 교의 차이에 대한 논설 등 기존 선종禪宗 어록의 양식과 성격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어, 유학자들과의 인간적 교류에 치중하던 동시대 승려들의 문집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선종이 표방하는 바를 평범한 언어로 표현하고 기술하던 당시 선승들과 달리 여래선과 조사선을 구분하고, 일심一心을 성품 · 본체 · 작용 · 다스림으로 구분해 세밀히 설명하고, 횡대橫對 · 직대直對 · 겸대兼對 · 융대融對 등 선종의 다양한 방편을 소개하고, 향배向背 · 정편正偏 · 명암明暗 · 일색一色 · 사빈주四?主 · 말후구末後句 · 사문의 눈(沙門眼) · 주장자 등 기존 선종의 주요 논제와 화두를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매우 주목된다.
쇠락해 가던 조선 불교계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본연의 성품에 안주해 살활殺活 자재한 방편을 구가하는 선사禪師의 모습은 조선 선종사禪宗史에 매우 우뚝하게 자리매김되어 있다.

목차

무경실중어록無竟室中語錄 해제 / 5
일러두기 / 27

무경실중어록 권1

오언내편게시五言內篇偈詩-6편
도량道? ......... 31
돌아가신 어머니께 示薦母檀信法 ......... 31
참다운 설법 眞說 ......... 35
방에서 室中 ......... 36
대중에게 보이다 示衆 ......... 37
문인에게 보이다 示門人 ......... 38
칠언고시七言古詩-7편
원융문圓融門 ......... 40
항포문行布門 ......... 42
융통문融通門 ......... 43
삿됨과 바름 邪正 ......... 44
돌아가신 아버지께 示薦父檀信 ......... 45
신비한 작용 神用 ......... 46
도道 ......... 47
오언절구五言絶句-74편
본 암자 本庵 ......... 48
일색一色 ......... 49
머묾 없음 無住 ......... 50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51
한산寒山 ......... 52
망종芒種 ......... 53
무심無心 ......... 54
공을 보호하라 保空 ......... 55
원융으로 대함 融對 ......... 56
사람들에게 권하다 勸人 ......... 57
제야除夜 ......... 58
문인에게 보이다 示門人 ......... 59
도道 ......... 60
돌아갈 곳을 가리킴 指歸 ......... 61
자기 집안의 일용 自家日用 ......... 62
선의 채찍 禪鞭 ......... 63
불자拂子 ......... 64
마음가짐 持心 ......... 65
문하의 학생들에게 보이다 示門生 ......... 66
두타에서 보이다 贈示頭陀 ......... 67
도장의 광명 印光 ......... 68
일용日用 ......... 69
일착자一著子 ......... 70
보이다 示 ......... 71
별봉別峯 ......... 72
보이다 示 ......... 73
보이다 示 ......... 74
보이다 示 ......... 75
일용日用 ......... 76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77
또 다시 보임 又 ......... 78
보이다 示 ......... 79
일색一色 ......... 80
본래 타고난 얼굴 本生? ......... 81
끝없는 왕복 ?復無際 ......... 82
12칙十二則 ......... 83
일용日用 ......... 87
목암牧庵 ......... 88
현곡玄谷 ......... 89
쾌암快庵 ......... 90
양성養性 ......... 91
고경古鏡 ......... 92
고송古松 ......... 93
선월船月 ......... 94
고암古庵 ......... 95
양심養心 ......... 96
사곡沙谷 ......... 97
백호白灝 ......... 98
백파白波 ......... 99
목암牧巖 ......... 100
낙암樂庵 ......... 101
효암曉庵 ......... 102
송곡松谷 ......... 103
허암虛庵 ......... 104
대양大陽 ......... 105
서계西溪 ......... 106
설봉雪峯 ......... 107
한암寒巖 ......... 108
한매寒梅 ......... 109
함월涵月 ......... 110
진공震空 ......... 111
고암古巖 ......... 112
평암平庵 ......... 113
월계月溪 ......... 114
주계周溪 ......... 115
허곡虛谷 ......... 116
춘곡春谷 ......... 117
설담雪潭 ......... 118
제양霽陽 ......... 119
몽암夢庵 ......... 120
설암雪庵 ......... 121
벽하碧霞 ......... 122
석계石溪 ......... 123
벽봉碧峯 ......... 124
백담白潭 ......... 125
칠언절구七言絶句-99편
무경자찬無竟自? ......... 126
이 일 箇事 ......... 127
중봉으로 유람을 떠나는 사람을 보내며 送人遊中峯 ......... 128
바라봄 望 ......... 129
불법佛法 ......... 130
사문의 눈 沙門眼 ......... 131
보이다 示 ......... 132
사빈주四?主 ......... 133
사문의 눈을 보이다 示沙門眼 ......... 134
본가本家 ......... 135
겨울날 冬日 ......... 136
본래 공함 本空 ......... 137
스스로 읊다 自吟 ......... 138
그림 속 매화 ?梅 ......... 139
육 년 고행六年苦行 ......... 140
움직이지 않음 不動 ......... 141
거울과 빛깔 鏡色 ......... 142
권하다 勸 ......... 143
잠자는 호랑이 睡虎 ......... 144
보이다 示 ......... 145
적멸한 대도를 보이다 示寂滅大道 ......... 146
네 가지로 상대하는 선 四對禪 ......... 147
일용日用 ......... 149
깨달음과 닦음과 증득 悟修證 ......... 150
보이다 示 ......... 152
조사선祖師禪 ......... 153
여래선如來禪 ......... 158
불조선佛祖禪 ......... 162
사문의 눈 沙門眼 ......... 163
일용日用 ......... 164
선재와 용녀의 질문에 답하다 答善財龍女問 ......... 165
신언 두타에게 보이다 示信彦頭陀 ......... 166
반야지 가운데 다섯 가지 뜻을 밝힘 般若智中五意明 ......... 167
문인들에게 최후의 게송 한 수를 보이다 示門人末後一偈 ......... 168
보이다 示 ......... 169
무를 참구함 ?無 ......... 170
부용당 진영찬 芙蓉堂眞? ......... 171
정관당 진영찬 靜觀堂眞? ......... 172
임성당 진영찬 任性堂眞? ......... 173
원응당 진영찬 圓應堂?象? ......... 174
추계 대화상 진영찬 秋溪大和尙?象? ......... 175
화엄 강도에게 드림 贈華嚴講徒 ......... 176
일용日用 ......... 177
사람들에게 이 일을 보이다 示人此事 ......... 178
일용의 삼신 日用三身 ......... 179
스스로 읊다 自吟 ......... 180
스스로 수긍하다 自? ......... 181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182
사람들에게 권하다 侑人 ......... 183
사빈주四?主 ......... 184
자기 집 문호 自家門戶 ......... 185
불상佛象 ......... 186
조사선祖師禪 ......... 187
오묘한 마음의 바른 눈 妙心正眼 ......... 188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189
경계 그대로 ?境 ......... 190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191
주장자?杖子 ......... 192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193
동지冬至 ......... 194
큰 작용 大用 ......... 195
사람들에게 권면하다 勉人 ......... 196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197
스스로 읊다 自吟 ......... 198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199
일용日用 ......... 200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人 ......... 201
납승衲僧 ......... 202
참사람 眞人 ......... 203
납승의 코 잡기 衲僧巴鼻 ......... 204
방장方丈 ......... 205
개당開堂 ......... 206
본문本門 ......... 207
납승衲僧 ......... 208
흐름을 따르다 隨流 ......... 209
바른 눈 正眼 ......... 210
납승衲僧 ......... 211
본분本分 ......... 212
평상平常 ......... 213
형계荊溪 ......... 214
백담白潭 ......... 215
인안 장실께 드립니다 贈印眼丈室 ......... 216
치숙 상인께 드립니다 贈致肅上人 ......... 217
도화 장실께 드립니다 贈道華丈室 ......... 218
포일 상인께 드립니다 贈抱一上人 ......... 219
환적 장실께 드립니다 贈幻寂丈室 ......... 220
해정 장실께 드립니다 贈海淨丈室 ......... 221
도엄 상인께 드립니다 贈道嚴上人 ......... 222
신총 상인께 드립니다 贈信摠上人 ......... 223
진현 상인께 드립니다 贈震玄上人 ......... 224
성일 장실께 보냅니다 寄性一丈室 ......... 225
스스로 수긍하다 自? ......... 226
경을 보는 사람들에게 드립니다 贈看經人 ......... 227
일용의 세 가지 경전 日用三經 ......... 228
월명암에 제하다 題月明庵 ......... 229
환성 대사에게 寄喚醒大師 ......... 230
임종게臨終偈 ......... 231
쌍으로 부정함 雙遮 ......... 232
쌍으로 관조함 雙照 ......... 233
오언율시五言律詩-7편
오래된 솥 古鼎 ......... 234
오래된 터 古居 ......... 235
동짓날 밤 至夜 ......... 236
공부를 권하다 勸做工 ......... 237
참선을 권면하다 勉?禪 ......... 238
참선하는 사람들에게 보이다 示?禪人 ......... 239
설봉이라는 호를 주다 授號雪峯 ......... 240
칠언율시七言律詩-15편
공이란 空頭 ......... 241
자기 집 自家 ......... 242
도道 ......... 243
새해 新歲 ......... 244
일용日用 ......... 245
몸을 숨김 藏身 ......... 246
화장계花藏界 ......... 247
기세계器世界 ......... 248
주인공主人公 ......... 249
보경실寶鏡室 ......... 250
환성 대사에게 寄喚醒大師 ......... 251
본종本宗 ......... 252
행각승에게 보이다 示行脚僧 ......... 253
참사람 眞人 ......... 254
청량 국사 진영찬 淸凉國師?像? ......... 255
게찬偈?-7편
신통神通 ......... 256
본래 근원 本源 ......... 257
세 개의 탑 三塔 ......... 258
정식을 버려라 遣情 ......... 259
초상화 影像 ......... 260
곧은 길 直道 ......... 261
현묘함에 동참하다 ?玄 ......... 262
고사古詞-2편
밝음과 어둠 明暗 ......... 263
무경실無竟室 ......... 265
고어古語-9편
고기를 잡았으면 통발을 잊음에 대해 지시하다 示得魚忘筌 ......... 267
무사지無師智 ......... 268
적멸寂滅 ......... 269
영험靈驗 ......... 270
원종圓宗 ......... 271
도와 성인 道聖 ......... 272
일체지一切知 ......... 273
마음과 입 心口 ......... 274
미륵의 몽환삼매 彌勒夢幻三昧 ......... 275

무경실중어록 권2

문文-8편
결제에 향을 들고 結制拈香 ......... 279
학인에게 횡수법을 지시하다 示學人橫竪法 ......... 280
원돈관심법을 지시하다 示圓頓觀心法 ......... 281
격외 참선을 지시하다 示格外?禪 ......... 284
선가의 정편설 禪家正偏說 ......... 285
자기 집안의 세 왕이 세 개의 구슬을 길이 연마한다 自家三王長鍊三珠 ......... 288
세 지위가 서로 응하고 서로를 비춤 三位互應互照 ......... 292
세 지위의 융통 三位融通 ......... 295
선가의 일용 禪家日用-3편
순당純堂 ......... 298
향벽向壁 ......... 299
문답을 통해 의심을 해결하다 問答決疑 ......... 301

개간 동문록開刊同門錄 ......... 305

부록
선과 교를 비교해 변별하다 禪敎對辨 ......... 307

주 / 315
찾아보기 / 334

저자소개

저자 무경 자수無竟子秀 (1664∼1737)는 자는 고송孤松, 속성은 남양 홍씨南陽洪氏로 전주 태생이다. 송광사 문식文式 장로에게 축발하고, 운문사 추계 유문秋溪有文을 찾아가 10여 년의 정진 끝에 선과 교를 두루 통하고 인가를 받아 임제종의 정맥을 계승하였다. 30세가 될 무렵 사방에서 문도가 모이기 시작해 내원암에서 강석을 열었다. 1722년 전북 임실 사자산 신흥사 적조암寂照庵 근처에 어버이를 이장하고 나서는 강석 초청을 모두 거절하고, 적조암 서북쪽에 보경당寶鏡堂을 지어 머물면서 법계관法界觀을 닦았다. ?불조선격佛祖禪格?, ?자기삼궁보경삼매自己三宮寶鏡三昧?, ?이학류편理學類篇?, ?하락주설河洛註說?을 찬집하였다.

도서소개

『무경실중어록』은 조선시대 스님인 무경 자수의 문집이다. 이 책에 실린 시문들은 대부분 임제종의 정맥을 계승한 선사의 입장에서 쓴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불교계의 사정을 고려할 때, 불교의 선법은 이렇게 적극적으로 표명하고 또 그 가르침을 어록이란 이름을 붙여 따로 편집한 경우는 매우 이례적인 일로, 기존 선종 어록의 양식과 성격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