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5
제1부 식민/피식민 사이의 문화 번역
식민지 ‘학지’의 경합과 형성 양상 - 식민지 조선에서의 ‘제국대학’설립 과정을 중심으로
●박광현
1. ‘경합’하는 조선의 ‘제국대학’ 담론의 장
2. 『조선사강좌』 동인 그룹과 ‘경성제대’ 담론
3. 경성제대와 새로운 분과 학문의 이식
4. 초기 경성제대 교수진의 유형화
5. 식민지 공공성의 확대와 조선인 지식사회의 주변화
재조선이라는 시좌와 여행철학 - 도한 일본인의 조선상과 아베 요시시게의 한일비교문화론
●나카네 다카유키(中根隆行)
1. 여행의 어지와 요청되는‘외지’여행
2. 도한 일본인의 제국주의적 욕망과 조선 표상
3. 경성제대 시절의 아베 요시시게
4. 아베 요시시게의 여행철학과 한일비교문화론
‘식민지 이주자’의 목소리, ‘이민자’의 목소리 - 일본 초기 식민지 여행담과 안내서에 나타난‘조선’ 1894~1914
●이헬렌(Helen J. S. Lee)
1. “식민지 이주자들”의 목소리, “이민자들”의 목소리
2. 『조선잡기』
3. 『최신의 한반도』
4. 1900년대 정부의 이민정책 선전
5. 어느 일본 이민자의 증언: 『조선에 가려는 이들에게』
6. 결 론
‘외지문학’에 나타난 타자의 형상과 제국 ●신승모
1. 1940년대 전반기의 ‘외지문학’에 관한 단상
2. 제19회 아쿠타가와 수상작의 문제
3. 제국에 회수되는 ‘만주인’의 성성―야기 요시노리의 「류꽝후」
4. ‘인간’을 ‘황민’으로 치환한 잘못된 구원―오비 주조의 「등반」
5. 1940년대 전반기 ‘외지문학’의 오류
공간 치환과 고향 상실의 근대적 경험 - 식민통치시기의 타이완소설에 나타나는 객지와 고향
●주후이주(朱惠足)
1. 공간 전위의 근대성 경험: 나카무라 지헤이의 「여행지에서」
2. 의사가족에서 좌익운동의 실패까지: 장원환의 「아버지의 요구」
3. ‘일본’공간의 이식과 치환: 마스기 시즈에의 「오추」
4. 안식처의 상실: 조우진보의 「향수」
제2부 식민지 조선의 공간과 장소 표상
일본의 식민지 철도여행과 창가 - 『만한철도창가』(1906)를 중심으로 ●구인모
1. 서 론
2. 과거를 향한 여정, 전쟁의 자취를 더듬는 여정
3. 식민주의 욕망이 그려 낸 상상의 여정
4. 다른 식민지 철도창가의 사례
5. 국민국가, 제국의 심상지리와 철도창가
6. 결 론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이철호
1. 근대적 갱생을 위한 공간
2. 대동강 혹은 모더니티의 이율배반
3. 자연, 청년, 창가의 세계
4. 결론을 대신하여
장소로서의 동경 - 1930년대 식민지 조선작가의 동경 표상 ●허병식
1. 동경, 제국의 공간과 장소
2. 문명화과정과 산보의 감각
3. 이상의 동경, 모더니티의 장소
4. 박태원의 만보와 거주, 자기 테크놀로지의 장소
5. 장혁주와 식민지적 주체성의 구축
6. 장소의 균질화와 제국/식민지의 욕망 구조
경성지리지, 이중언어의 장소론 - 채만식의 「종로의 주민」과 식민도시의 (언어) 감각
●황호덕
1. 그리니치빌리지의 전설 ― 명동 문학의 신화와 그 심리
2. 식민 도시의 산책자 ― 내적 국경을 월경하는 신체
3. 장소적 육체와 그 경계 ― 국어 공간과 조선어 공간
4. 哀悼京城, 好喪京城 ― 공간에서 장소로
장혁주의 장편소설 『개간』에 대해서 ●와타나베 나오키(渡?直紀)
1. 조선인 ‘황도작가’의 만주 관련 작품
2. 사건취재의 흔적(1) ― 실재인물의 등장 등
3. 사건취재의 흔적(2) ― 「리턴보고서」
4. 사건취재의 흔적(3) ― 복잡한 인간관계, 재만 조선인의 법적 지위 등의 제시
5. 후경화하는 농민들의 애환
6. 소 결
저자 소개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