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밀교점성술과 수요경

밀교점성술과 수요경

  • 야노 미치오
  • |
  • 동국대학교출판부
  • |
  • 2010-01-15 출간
  • |
  • 322페이지
  • |
  • 153 X 224 X 30 mm /488g
  • |
  • ISBN 9788978012621
판매가

13,000원

즉시할인가

12,61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2,61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인도에서 부터 중국-한국-일본에 이르기까지, 불교가 점성술을 수용하고 해석해 온 흐름을 불교경전인 「수요경」을 통해 해설한다!

「수요경」은 서기 764년에 인도계 승려 불공(不空)이 한역하고, 속인 제자 양경풍(楊景風)이 다듬고 주를 붙인 경전이다. 고려대장경에는 「문수사리보살급제선소설길흉시일선악수요경(文殊師利菩薩及諸仙所說吉凶時日善惡宿曜經)」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는데, 긴 제목의 끝부분만을 따서 「수요경」이라고 한다. 불경에는 부처님이 직접 설법하신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데, 「수요경」의 경우는 문수보살과 지혜로운 여러 선인들의 말씀을 전하는 형식으로 인도 점성술의 내용을 담고 있는 특이한 경전이다.

「수요경」에 바탕을 둔 일본의 ‘수요도(宿曜道)’를 연구하고 이 책을 집필한 야노 미치오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 책은 밀교점성술 또는 수요도(宿曜道)의 전모를 보여주려는 목적으로 쓴 것은 아니다. 또 그 원류가 되는 인도 점성술의 구조를 소개하려는 것도 아니다. 고대문화의 한 요소인 점성술이 한 문명으로부터 다른 문명으로, 어느 때는 변모하고 어느 때는 옛 모습을 유지하면서 퍼져나간 모습을 역사적으로 조망하여, 점성술이 문화교섭사 속에서 수행했던 역할이 지대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헬레니즘의 천문학이 인도로 건너가 인도 점성술에 수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로마 제정 시대에 그리스 과학을 잘 계승하고 있던 나일강 하구의 알렉산드리아는 헬레니즘 문화의 수출항이었는데, 이곳을 통해 그리스 천문학과 점성술이 인도에 전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는 그 이후 나온 인도의 천문학과 점성술서에 그리스 천문학 특유의 계산기술과 차용어가 많이 발견되고, 서방에서 빌려온 것임을 말해 주는 고유명사가 그대로 남아 있음을 통해서도 증명된다고 한다.
이 책은 이렇듯 인도에 전해진 그리스 천문학이 교묘하게 인도 고유의 요소와 공존하면서 인도화되고, 인도에서 중국-한국-일본에 이르는 과정에서 불교가 점성술을 수용하고 해석해 온 흐름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의 필자는 또한 점성술의 위상이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낮아져 왔음을 지적한다.

점성술은 현대에는 ‘사이비 과학’이라 불리면서 정당한 학문의 대상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근대과학이 일어날 때까지는 천문학과 표리일체의 관계였다. 천문학이 천상의 규칙성을 추구해 가는 데 반해, 점성술은 천상과 인간의 관계를 알아내 미래를 알고 싶어 하는 인간의 원망(願望)에 부응하려고 한다. 점성술은 하늘의 학문을 인간의 학문으로 근접시키려는 시도로, 그 때문에 수리천문학보다 훨씬 넓은 계층으로부터 지지를 받아 왔다.

「밀교점성술과 수요경」은 불교경전으로서의 「수요경」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이 경전이 인도 점성술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한편, 나아가 다른 밀교점성술 책들과는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자세히 서술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 「수요경」(宿曜經)이란
1. 문수보살이 설했다는 경전 -「수요경」
2. 불공(不空)의 인도 점성술

제2장 | 「수요경」의 원류
1. 인도의 점성술
2. 새로운 점성술의 요소 - 행성과 요일의 관계
3. 호로스코프 점성술의 성립

제3장 | 「수요경」의 내용
1. 27수(宿)와 12궁의 관계〔제1품〕
2. 28수의 내용〔제2품〕
3. 명수(命宿)에 기초한 28수의 분류〔제3품〕
4. 칠요(七曜)의 지배〔제4품〕
5. 그 외의 점법〔제5품〕
6. 매일의 길흉〔제6품〕
7. 요일의 계산〔제7장〕

제4장 | 일본본 「수요경」의 자리매김
1. 향보(享保) 16년 2월 삭일(朔日)의 요일
2. 「수요경」상·하권의 역할
3.「수요경」의 위치 - 「수요경」에서 ‘수요도’로

제5장 | 수요도(宿曜道)의 완성
1. 슈에이(宗叡)가 구해 온 「도리율사경」(都利聿斯經)과 프톨레마이오스
2. 행성의 위치추산력 - 「칠요양재결」(七曜攘災決)의 역할
3. 라후(후와 계도(計都)
4. 계도의 해석과 그 천문학적 의미
5. 일본의 호로스코프

제6장 | 살아 있는 인도 점성술
1) 불공(不空)의 인도 방문으로부터 1200년
2) 인도의 민간력

후기

부록
문수사리보살급제선소설길흉시일선악수요경 상·하권
(文殊師利菩薩及諸仙所說吉凶時日善惡宿曜經)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 야노 미치오(矢野道雄)는 1944년 교토부 출생으로 교토대학 문학부(인도철학사 전공)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3년 일본 학술진흥회의 지원을 받아 미국 브라운 대학에서 공부했다. 1973년부터 교토 산교대학에 재직, 문화학부 교수, 국제언어과학연구소장, 문화학부 학부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인도 천문학·수학집」, 「인도 의학 개론」, 「점성술사들의 인도: 역과 점의 문화」, 「별점(星占)의 문화교류사」 등이 있고, 공저로 「중세의 수학」, 「인도 수학 연구」 등이 있다. 노이게바우어의 「고대의 정밀과학」, 바라하미히라의 「점술대집성」을 일본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도서소개

『밀교점성술과 수요경』은 고대문화의 한 요소인 점성술이 한 문명으로부터 다른 문명으로, 어느 때는 변모하고 어느 때는 옛 모습을 유지하면서 퍼져나간 모습을 역사적으로 조망하여, 점성술이 문화교섭사 속에서 수행했던 역할이 지대했음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상세이미지

밀교점성술과 수요경 도서 상세이미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