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십 원짜리 분노

십 원짜리 분노

  • 김희정
  • |
  • 삶이보이는창
  • |
  • 2015-11-30 출간
  • |
  • 240페이지
  • |
  • ISBN 978896655058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1,000원

즉시할인가

9,9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9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부

십 원짜리 분노_14
너에게 소중한 것_17
추석 연가_21
안녕하세요_24
맹물_28
고개를 들어요_32
사람은 왜 사는가_36
잘못 건 전화_40
까치밥_44
잘난 척_48
풀꽃 같은 문화 지킴이들_52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이 종북단체인가_57
육우_61
인연_65

2부

시 한 편에 130원_70
임을 위한 행진곡_74
분식집_78
대자보에 대한 추억_82
김남주 문학제_86
아버지_90
내 이름 뒤에 붙은 시인이라는 단어_94
원도심 활성화_97
기우제_102
시인들이여, 부활하라_106
말의 뿌리_110
박 대통령은 주교단 목소리를 경청하라_114
국상이다_118

3부

그림일기_124
방목과 방치 그리고 관리_127
온기_131
시온학교 생생 시낭송 축제_135
한국작가회의 40년_138
미쳤다_142
밥줄_146
문화가 사람을 만든다_151
임원선거_155
공동체로 한 발짝_159
용산참사_163
가면_167
5,580원_171

4부

‘아고라’에 가면 시대의 자화상이 있다_178
누리그물 세상에서 만난 문학_182
문득,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보다가_186
<미디어 다음>에 조중동의 뉴스 제공 중지를 바라보며_190
지나친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부담을 준다_194
네티즌과 포탈 사이트 그리고 선거법 위반 93조_199
<다음> ‘아고라-청원란’의 의미를 새겨보며_203
한국작가회의에 올 것이 왔다_208
대한민국_212
‘평화 릴레이’로 강정을 지켜내자_216
우리 동료들과 벗들은 시대정신을 대변했다_219
대전문화재단_222
논술의 기본은 글쓰기와 독서다_226
육지것의 고백_230
작가_23

도서소개

김희정 시인의 첫 번째 산문집 [십 원짜리 분노]. 저자의 시선은 이 땅의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에게 한결같이 닿아 있으며 자신의 가려는 문학의 길도 그것과 같다. 김희정의 글들이 매우 절실하게 다가오는 것은 그의 비판이 내부를 향해서도 번득인다는 점일 것이다.
미래의 주인세대는 지금의 청년들이다. 이 청년들이 우리나라 의 미래를 이끌어 간다는 사실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청년들에게 시련을 줄지언정 싹을 잘라서야 되겠는가. 소도 언덕이 있어야 비빌 수 있다. 소를 방치하면 소는 일할 수 없다. 일할 수 없는 소는 훗날 자신에게 주어진 땅을 갈아엎고 쟁기질을 할 수가 없다. 일하지 못하는 소는 육우일 뿐이다.
우리 청년들을 육우로 만들겠다는 생각이 아니라면, 미래에 도 청년들에게 논밭을 주지 않겠다는 생각이 아니라면, 더 이상 청년들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육우는 밭갈이를 하지 않는다. 육우는 들판을 모른다. 황금들녘에서 지는 노을을 볼 수 없는 소가 어찌 밭을 알 것이며 희망의 이름을 부를 수 있겠는가. 청년들을 방치하면 가정도, 사회도, 국가도 동력을 잃고 만다.
청년들을 불판에 올리면 그 후 대한민국은 어떻게 되겠는가.

책 소개

문학의 길

대전에 사는 김희정 시인이 첫 산문집을 냈다. 그는 문단의 반항아이기도 한데 그의 비판은 편이 따로 없다. 모든 반항은 야성을 갖기 마련이다. 그리고 그 야성이 반항의 힘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그 반항이 어디에 서 있느냐는 것이다. 그동안 김희정 시인이 이런저런 기회로 써 왔던 글을 묶은 이 책은 저자의 그런 반항이 어디에 서 있는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일단 그의 시선은 이 땅의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에게 한결같이 닿아 있으며 자신의 가려는 문학의 길도 그것과 같다. 다음은 김남주 시인을 회상하며 저자가 자신에게 하는 채찍질이다.

김남주 시인이 생존에 있다면 작금의 세상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다른 것은 모르겠고 시인이라 불리어지는 사람들에게는 크게 호통을 쳤을 것 같다. “시인이 대체 뭐하고 사냐. 시인이라는 것들이 세상에 대해 이렇게 무관심할 수 있는 것인가.” 19년 전에 세상을 떠난 그의 쩌렁쩌렁한 육성이 금방이라도 내 귓전을 때릴 것만 같다.
김남주문학제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 시인의 길에 대해 다시 고민해 보았지만 고민을 하면 할수록 고민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김남주 시인이 외쳤던 “나는 시인이라고 불리어지는 것 보다는 전사라고 불리어지고 싶다”처럼 왜 그가 시인보다는 전사가 되어야 한다고 했는지 작금의 세상 모습을 보면 그의 생각이 더 선명해진다.

그의 이런 생각과 사색은 이 책 전체에 걸쳐 고루 퍼져 있다. 문단에서뿐만 아니라 자신이 사는 대전이라는 공간과 생활의 영역 안에서도 그는 물으면서 사색한다. 어쩌면 이 산문집에서 받는 느낌인 ‘생생함’은 여기서 연유할 것이다. 그는 문학이나 시를 이용해 자신이 사는 오늘날을 규정하지 않고 오로지 현실에서 문학과 시의 역할을 묻는다. 그래서 어떤 정치적인 글들도 그만큼 직정적이다.
이를테면 「아버지」라는 글에서는 저자의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끌어들여 박근혜 대통령이 가져야 할 아버지에 대한 객관적인 시선을 요청한다. 또는 이명박 정권 때 벌어진 언론 탄압을 인터넷 공간의 경험을 지렛대 삼아 비판한다. 이렇게 김희정의 산문은 일단 현실과 구체적 경험에서 출발한다는 미덕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이 산문집은 허튼 감상에도 빠지지 않는다. 대체적으로 문인들의 산문집이 개인적인 감상에 깊이 침윤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이는 큰 미덕임이 분명하다. 시인이 쓰는 산문이란 시를 이루는 밑바탕, 즉 미처 시가 되지 못했거나 시를 만들어내는 잠재면을 조형해야 마땅하다. 김희정의 산문은 그것에 말할 수 없이 충실하다.

관리 말고 방치

저자의 자기소개에 의하면 저자는, “글쓰기?독서?토론 회사를 창업해 13년째 운영하고 있는데” 이 경험에서 발견한 교육에 대한 담담한 소견도 독자들에게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다음은「그림일기」의 일부이다.

사회에 나가면 상대방과 소통하기 위해 글을 써야 하는 일이 많은데 초등학교 시절부터 일기에 질려 글을 쓰려면 공포마저 생긴다고 말하는 어른들이 많다. 너무 급하게 글 일기를 써야 했기 때문일 것이다. 어린 나이에 아이들을 글 일기로 몰아넣지 말자. 초등학교 4학년 때까지 자유롭게 자신의 일상을 그림으로 그리게 하면 어떨까. 5학년 쯤 되었을 때부터 글 일기를 쓰게 해도 전혀 늦지 않다고 생각한다. 글쓰기만은 4학년까지를 저학년으로 보고 5학년부터 고학년으로 생각하는 여유를 가져보자.
선행학습이 아이들에게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다들 알고 있듯이 글쓰기도 너무 빨리 시작하면 선행학습보다 훨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기는 글쓰기를 배우는 데 참 좋은 프로그램이다. 이런 프로그램이 아이들을 옭아매는 올가미가 되고 있다. 우리 아이들에게 글에 대한 스트레스를 최소한으로 줄여주면서 일기를 자연스럽게 쓸 수 있는 그림일기 활용 방안을 교육부가 지금이라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