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편두통

편두통

  • 올리버 색스
  • |
  • 알마
  • |
  • 2011-09-27 출간
  • |
  • 630페이지
  • |
  • 153 X 224 X 35 mm /914g
  • |
  • ISBN 9788992525893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2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신체적인 동시에 정서적이면서 상징적인 병,
편두통에 대해
올리버 색스가 들려주는
흥미롭고 중요하며, 놀라운 이야기!

“모르고 있을 때 그 병에 대한 공포가 당신을 떨게 만든다”


《편두통migraine》은 올리버 색스의 첫 번째 책이다. 1970년에 출간되었고, 1992년에 개정판이 나왔다. 그는 첫 책의 주제로 '편두통'을 선택했고, 이 한 가지 주제에 대해 방대한 내용(원서 368쪽, 번역서 632쪽의 분량이다)을 기술했으며, 책이 출간되고 22년이 지난 후에 개정판을 냈다. 개정판에는 초판을 내고 나서 20여 년이 흐르는 동안 새롭게 밝혀진 편두통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론이나 학설, 치료법과 치료약 그리고 자신이 만난 환자들의 진료 사례를 덧붙여 소개하고 있다.

올리버 색스는 '편두통'이라는 주제에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다. 색스 박사 자신이 어렸을 때부터 '편두통'에 시달렸고 '편두통 발작'을 겪으며 이에 동반되는 시각적인 환상을 경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하자면, 편두통 때문에 고통을 받으며 살아온 그가 정신과 의사가 되어 처음으로 쓴《편두통》은 자신과 그리고 자신처럼 편두통에 시달리는 많은 환자들을 위해 쓴 책이다.

우리는 주변에서 편두통을 앓는 사람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아마 잠깐이라도 또는 한번이라도 편두통을 앓아보지 않은 사람을 만나기가 더 힘들 수도 있다. 그만큼 흔한 질병이다. 그런데 그렇게 흔한 것에 비해 ‘편두통’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별로 없다. 두통이 있을 때 머리 한쪽이 아프면 그게 ‘편두통’인 줄 알고 일반 진통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모 제약회사의 두통약 선전처럼 ‘당신이 남보다 열정적이어서 두통을 겪는’ 것이 아니다. 오늘도 자신이 앓는 질병에 대한 정확한 정체나 치료법을 알지 못한 채 고통스러워하며 두통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그리고 두통을 호소하는 환자 앞에서 그의 증상을 파악하고 정확한 처방을 내려주고 싶은 의사들에게 이 책은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추천 서문을 쓴 윌리엄 구디 박사에 따르면, 편두통의 역사는 거의 인류의 시작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편두통의 고통에 대한 묘사는 적어도 지난 2,000년 동안 계속되었다. 그럼에도 이에 대해 알려진 바가 아주 적고 연구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편두통 증상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이다. 증상이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말은 결국 이를 치료하는 방법 역시 그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복잡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따라서 ‘편두통’이라는 질병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정리하기가 너무나 까다로운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편두통’은 의사들과 연구자들의 무관심 속에 방치되었고. 편두통을 앓는 환자들은 자신이 겪는 증상에 대한 무지 속에서 두려움과 고통을 겪어왔다.

이 책에서 자세하게 기술되고 있는 다양한, 한편으로는 무시무시하기까지 한 ‘편두통 발작’을 겪는 이들은 이 병에 대해 몰랐을 경우, 자신이 상당히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거나 미쳐가고 있다거나 죽어간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편두통 환자들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증상이 무엇인지 모른다. 특히 처음으로 편두통을 앓는 환자들이 더 그렇다. 그러나 자신이 겪는 병이 실제로는 대단치 않은 것이며, 부자연스럽거나 중병이 아님을 알게 되면 상당히 안심할 것이다. 색스 박사는 몽테뉴의 말을 빌려 이렇게 말한다. “모르고 있을 때 그 병에 대한 공포가 당신을 떨게 만든다.”

신경정신과 의사로서 신경정신적인 질병과 이를 겪고 있는 환자들을 인간적이고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이를 감동적인 글로 풀어내는 올리버 색스의 《편두통》은 에세이적인 성격이 강한 그의 다른 저작들과는 좀 다르다. 색스 박사가 밝히고 있듯, ‘편두통’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먼저 이 질병을 분석하고 밝히기 위한 작업을 철저히 수행한다. 따라서 의학적이고 과학적이며 약리적인 내용들, 다분히 전문적인 내용들이 자세하게 다루어진다. 하지만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전문용어를 사용했으며, 가능한 쉬운 말로 설명적으로 풀이하려고 애썼다고 그는 말한다. 서문에서 밝혔듯이, “편두통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무엇에든 호기심이 많고 깊이 성찰하는 습관을 가진 독자들”을 위한 저자의 배려다.
색스 박사의 저서들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인 전문성과 대중성, 둘 다를 갖춘 텍스트는 이 책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의 이러한 배려 덕분에, 이 책은 의사나 연구자 그리고 일반 독자 모두가 읽을 수 있는 책이 되었다.

해외 언론 서평
ㆍ올리버 색스 최고의 책, 《편두통》은 1970년에 처음 세상에 나왔다. 이 개정판은 다시 쓰이고 확장되었다. 그동안 발달한 최신의 치료 방법뿐만 아니라 카오스이론까지 다룬다._〈옵서버〉

ㆍ색스에게 두통은 보물을 캐내는 광산이며 상상력의 원천이다. 인간의 경험과 고통의 소우주이며 철학자의 돌이다. … 놀라운 성취를 이루었다._〈선데이 텔리그라프〉지의 이언 맥길크리스트
ㆍ이 책을 본다고 편두통이 낫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환자들은 더 이상 편두통을 두려워하지는 않을 것이다._〈메일 온 선데이〉

ㆍ환자들은 분명한 설명을 듣고 자신의 상태를 즐기게 될 것이다._〈인디펜던트〉

ㆍ이 책은 경탄할 만큼 복잡한 뇌의 작동방식을 파헤친다. 지적인 편두통 환자라면 꼭 읽어야 한다._〈코스모폴리탄〉

ㆍ색스는 확실히 특별한 이야기를 한다. 우리는 그에게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이 책은 만병통치약을 조금도 지지하지 않는다. 이 책에 담긴 인간애는 우리가 자신의 어두운 면과 화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_〈선데이 타임즈〉 지의 로이 포터

<책속으로 추가>

1부 편두통 증상
1부를 시작하며
첫 번째 문제는 편두통이라는 낱말에서 시작된다. 이 낱말에는 격렬한 두통이 이 병의 특징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그러나 두통headache은 절대로 편두통의 유일한 증상이 아니며, 실제로 편두통 발작의 필수 증상도 아니다.

… 복잡한 편두통에는 다양한 증후군들이 있고 이런 증상들은 다른 증상들과 겹치거나 연결되거나 변형되기도 한다. 이 가운데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은 일반 편두통Common Migraine인데, 편두통 두통이라는 기본적인 증상을 중심으로 무리 짓고 있는 온갖 종류의 편두통 증상들을 찾아볼 수 있다(1장).

두통을 제외한 요소들이 다른 비슷한 임상 양상으로 나타나는 편두통을 우리는 편두통 유사증상Migraine Equivalent이라고 부를 것이다. 이 제목 아래, 주기적으로 되풀이해서 나타나는 발작으로 욕지기와 구토, 복통, 설사, 발열, 졸음, 기분 변화 같은 것을 다룰 것이다(2장).

… 특히 격렬하고 드라마틱한 형태의 발작인 편두통 아우라에 대해서는 따로 다룬다. 그런 아우라는 독립적으로 발생하기도 하고, 그 뒤에 두통이나 욕지기, 또 다른 모습의 복합적인 편두통이 따르기도 한다. 뒤따르는 이런 증후군 전부를 가리켜 고전적 편두통Classical Migraine이라고 한다(3장).

… 더불어 가성 편두통Pseudo-Migraine에 대해서도 언급할 것이다. 이것은 기질적인 병변organic lesion이 진짜 편두통을 모사해내는 것이다(4장)._37~38쪽

1장 일반 편두통
일반 편두통의 주요 증상은 두통과 욕지기다. 그러나 환자가 알아채지 못하는 가벼운 장애와 생리학적인 변화와 함께 이를 보완하는 다양하고 중요한 다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모든 증상 가운데 가장 우선하는 것은 뒤부아레이몽이 말한, 신체와 정신이 경험하게 되는 “무척 혼란스러운 느낌”인데 환자가 묘사하기에는 너무 힘들거나 불가능하다. 편두통의 특성은 그 증상이 엄청나게 다양하다는 데에 있다. 환자마다 일어나는 발작이 다르기도 하지만 같은 환자에게서 계속되는 발작도 다양하다._42쪽

두통_오랫동안 편두통은 한쪽 관자놀이가 욱신거리는 통증으로 묘사되었는데, 이런 형태는 드물지 않다. … 편두통이 지속되는 시간은 아주 다양하다. 극단적으로 심한 발작 상태(편두통성 신경통)에서의 통증은 몇 분 정도 지속될 뿐이다. 그러나 일반 편두통은 대개 8~24시간 지속되며, 3시간 이하인 경우는 아주 드물다. 가끔은 통증이 며칠 동안 지속되거나 일주일을 넘기기도 한다.
… 편두통의 통증 강도는 극단적으로 다양하다. … 발작 기간 동안 똑같은 강도로 죽 이어지지도 않는다._43~46쪽

욕지기와 동반하는 증상들_욕지기는 일반 편두통을 겪는 동안에 발작이 사소하면서 간헐적이든, 지속적이면서 지독하든 상관없이 언제나 생긴다. ‘욕지기nausea’라는 낱말은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그리고 비유적인 의미로 써왔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욕지기는 구체적인 느낌일 뿐 아니라 심리 상태며 행동 패턴이기도 하다._46~47쪽

혼수상태와 기면상태_많은 환자들이, 특히 의지가 강하며 강박관념을 가진 사람들이 편두통에 조금도 꺾이지 않고 일상적인 일과 놀이를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심각한 편두통은 그 특성상 얼마간의 무기력감과 쉬고 싶은 마음이 들게 만든다. 혈관성 두통은 머리의 움직임에 아주 예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몸이 알아서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게 막는다. 그러나 이런 점이 발작의 유일한 또는 중요한 메커니즘이라고 볼 수는 없다._54쪽

기질적인 과민성_편두통 상태에 동반되는 두 종류의 과민성이 관심을 끄는데, 첫 번째는 ‘기분 변화와 방어적인 은둔’이라는 측면이다. 이는 많은 편두통 환자에게 아주 일반적인 행동이며 사회적인 태도다. 두 번째는 ‘광범위한 감각신경 흥분과 흥분성’ 때문에 생기는 과민성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 티소의 말에서 느낄 수 있는 것처럼, 이런 환자는 너무 심하게 과민해서 어떤 감각 자극도 견딜 수 없어 한다. 특히 편두통 환자들은 광선공포증이 되기 쉽다. 국부적으로나 전체적으로 빛에 의한 자극이 심하게 불편해진다. 그리고 빛을 피하려고 하는 것이 발작의 전 기간 중에 보이는 가장 뚜렷한 외형적 특성이다_62쪽.

기분 변화_감정 상태와 편두통의 상관관계는 무척이나 복합적이다. … 이런 요인들을 제대로 다루어보면 격심한 감정 변화는 단지 편두통 발작이 일어나는 동안에만 생기며, 그런 변화가 환자들에게는 늘 일어나는 한결같은 특징이라는 사실에 연이어 놀랄 것이다. 더욱이 이런 기분 변화는 단지 통증이나 욕지기 등에 대한 반응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발작할 때 생기는 다른 많은 증상들과 함께 나타나는 중요한 증상임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아주 심한 기분변화는 발작 전후에 일어날 수도 있는데, 그것은 이 장의 결론 부분에서 다룰 것이다. 일반 편두통에서 임상적으로 인지되는 기간에 일어나는 가장 중요한 감정적 변화는 발작 초기에 불안하고 과민해져서 생기는 과잉 운동 상태와 발작하는 동안 무감각해지고 우울해지는 것이다._64~65쪽

2장 편두통 유사증상
일반 편두통을 구성하는 여러 증상들을 생각해보면, 일반 편두통이라는 용어를 어떤 하나의 증상으로 규정할 수 없다. 편두통은 수많은 요소들의 총합이고 그 구성도 복잡하다. 일반적인 형태에 속하는 경우라고 해도 주요한 요소는 역시 극단적으로 다양하다. 그 가운데 두통은 가장 중요한 증상이다. 그럼에도 그저 부수적인 증상일 때도 있고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조차 있다. “편두통유사증상migraine equivalent”이란 용어는 편두통의 일반적인 모습을 모두 갖고 있는데도, 특별히 두통이라는 요소가 없는 복합적인 증상을 가리킨다._79쪽

… 따라서 여기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반복적인 구토, “구토발작”, “복부편두통”, “흉부편두통”, 그리고 체온이나 기분, 의식수준의 정기적인 신경성 장애 등이다._79~81쪽

편두통의 경계_편두통과 비슷하면서도 편두통이 아닌 이런 종류의 지독한 발작을 가리켜 편두통성 발작이라고 부른다. 이 역시 편두통과 유사하게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집안 내력인 경우가 많다. 여기서 우리는 편두통성 반응이라는 용어를 따로 만들어 쓸 것이다. 이것은 저절로 일어나거나 주기적으로 되풀이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상황의 영향을 받아 생기는 것으로, 임상학적으로 편두통과 아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특정 반응 형태를 가리킨다._101쪽

감별진단과 명명법_우리는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개별적이고, 제한된 그리고 뚜렷하게 발작적인 증상들만을 다루었다.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기 위해 명백한 병력에 대한 사례만을 도식적으로 골랐다. 그러나 경험해본 증상들과 구할 수 있는 병력에 대한 사례는 특정 증상의 관점에서 보면 실제로는 아주 애매한 것일지 모른다._109쪽

3장 편두통 아우라와 고전적 편두통
편두통 아우라는 그것만으로도 한 권의 책이 된다. … 아우라 그 자체는 절대 희귀하지 않다. 그러나 아우라에 대한 적절한 묘사는 아주 드물다. 아우라는 너무나 중요한 현상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묘사한 글이 꼭 필요하다. 그런 글이 있다면 편두통만이 아니라 뇌와 마음의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메커니즘에 대해서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불행히도 아우라에 대해 잘 묘사한 글은 찾아보기 어렵다. 대개의 아우라가 너무나 이상해서 말로는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묘하고 두려워서 생각조차 꺼려지기 때문에 잘 묘사된 글이 더더욱 드문 것이다._113쪽

… 편두통 아우라의 징후는 아주 다양해서, 단순하고 복합적인 환각만이 아니라 강렬한 감정 상태, 말하기와 상상하기에 대한 장애와 결손, 공간과 시간 인식에서의 전위轉位, 꿈을 꾸는 듯한 상태, 정신착란이나 환각 상태 같은 것들까지 포함된다. 오래된 의학적 종교문헌을 살펴보면 ‘환각’, ‘ 무아지경’, ‘황홀경’ 등을 가리키는 내용이 무수히 많지만, 이들이 어떤 성질인지는 아직도 수수께끼다._114쪽

다른 많은 과정에서 이와 유사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고, 좀 더 복합적으로 묘사되었던 현상들은 사실상 간질이나 졸중apoplectic, 중독, 또는 편두통과 다를 바 없는 히스테리 발작이거나 정신병적이거나 꿈꾸는 듯한 상태거나 아니면 원래 최면상태였는지도 모른다._112~115쪽

구체적인 환각: 시각_편두통 아우라가 발작하는 동안에는 아주 다양한 시각적 환각을 경험하게 된다. 가장 단순한 환각은 빛나는 별들이나 불꽃, 번쩍임 또는 단순한 기하학적인 형태가 시야를 가로지르며 춤을 추는 것이다.
… 또 어떤 경우에는 시야에 정교한 단 하나의 안내섬광이 생겨서 정해진 길을 따라 이리저리 움직인다. 그러다가 갑자기 사라지는데, 그러고 나면 눈부시게 강한 빛의 흔적이 남거나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_118~119쪽

… 음성암점은 대개 섬광암점에 이어 나타나는데 앞서는 경우도 있고, 그 대신에 생기는 경우도 종종 있다. 피질시각상실의 모든 징후와 마찬가지로 음성암점은 마지막에 우연히, 즉 이등분된 얼굴이나 어떤 페이지에서 특정 낱말이나 그림이 사라지는 것을 갑작스럽게 보게 됨으로써 발견하는 것 같다._129~130쪽

최고 통합 기능의 변화_많은 환자들이 편두통 아우라를 겪는 동안 ‘이상하거나’ ‘혼란스러운’ 느낌을 받게 되는데, 그 때문에 동작이 어설퍼지거나 운전할 수 없다고 인정할지 모른다. 즉, 그들은 섬광암점이나 지각이상 등에 맞물려 일어나는 증상에 대해 알 수는 있지만,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어떤 것이어서 설명하기가 매우 어렵고, 그러다 보니 자신의 증상을 호소할 때 이를 피하거나 빼먹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편두통 아우라의 미묘한 증상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대단한 인내와 정밀함이 필요하고, 그렇게만 된다면 자주 나타나는 이런 중요 증상에 대해 잘 알게 될 것이다._146쪽

그래서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좀 더 복잡한 뇌기능장애는 대개(비록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니지만) 단순한 현상 이후에 나타나며, 정교한 진행 과정을묘사할 수도 있다. 그러니까 아주 단순한 시각적인 증상들(점, 선,별 등)이 섬광암점으로 이어지고, 그다음에는 지각의 이상한 변화(줌zoom 비전, 모자이크 비전 같은 것들)를 겪게 되고, 마지막으로 정교한 환상이나 꿈과 같은 상태로 막을 내린다._147~148쪽

고전적 편두통_일정한 비율의 환자에게서 아우라는 욕지기, 복통, 자율신경증상 등을 동반한 장시간의 혈관성 두통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고전적 편두통에서 일어날 수 있는 그런 증상의 전체 목록은 일반 편두통에서의 목록과 조금도 다르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필요 없을 것이다. … 고전적 편두통은 일반 편두통의 경우보다 좀 더 간결하고 강렬하다. 그리고 드물게 12시간 넘게 지속되기도 하지만, 발작은 대개 2~3시간 정도 계속된다. 발작의 멈춤도 비슷하게 명쾌한데, 갑자기 정상 기능으로 돌아가거나 편두통이 끝난 뒤의 회복 상태가 된다._184쪽

4장 편두통성 신경통(“군발성 두통)|반신마비 편두통|눈마비 편두통|가성 편두통
편두통성 신경통_대부분의 편두통 환자들이 앉거나 눕고 싶어 하는 반면에, 편두통성 신경통을 앓는 환자들은 눈을 움켜쥐고 신음소리를 내면서 무척 흥분한 상태로 왔다 갔다 하는 경향이 있다. 나는 한 환자가 발작을 하는 동안 머리를 벽에 대고 부딪는 장면을 본 적도 있다._198쪽

… 나는 모두 1,200명쯤 되는 편두통 환자 가운데 74명의 편두통성 신경통 환자를 보았다. 이 수치는 균형이 맞지 않을 정도로 높은 발생률이 아닌가 싶다. 결국 이 수치는 이런 증상을 가진 불운한 환자들 거의 모두가 선택의 여지없이 의학적인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 발생률에 대한 다른 두 가지 특성은 주목할 만하다. 편두통성 신경통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거의 10배나 더 일반적이다(아마 다른 종류의 편두통에서는 성에 따른 발생률이 거의 같을 것이다). 그리고 집안 내력인 경우가 거의 없다._199쪽

5장 편두통의 구조
우리는 편두통이 일정 기간 동안 특정 과정을 거치는 특정 증상들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편두통의 구조는 극단적으로 다양하지만, 이는 단지 세 가지 방식 안에서만 다양할 따름이다.
첫째, 발작의 전체 과정이 일어나는 기간의 길이가 다양하다. 편두통의 전체 구조가 응축적이거나 확장적일 수 있다는 말이다(가워스가 미주신경 발작이 간질로 확장된다고 말한 것과 같은 의미에서).
둘째, 발작의 과정은 신경계통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일어난다. 대뇌피질의 환각 수준에서 말초 자율신경장애의 수준까지 다양하다.
셋째, 각각의 수준에서 나타나는 증상들은 아주 다른 ‘조합과 순서’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우리는 편두통을 아주 특정적이며 전형적인 형태를 가진 것이 아니라, 편두통의 다양한 모든 발작과 편두통스러운 발작을 모두 포괄하는 광범위한 범위 안에서 일어나는 어떤 것으로 보아야 한다. 편두통의 구조는 그 광범위한 범위 안에서 발작 기간에 따라 바뀌기도 한다. 잭슨의 용어로 말하면, ‘수직적인 수준’으로, 그리고‘수평적인 수준’으로 바뀔 수 있다._222쪽

… 편두통은 잠이나 정신병적인 마비 상태와 마찬가지로 모든 신체적 · 정신적 활동의 정지 상태라고 보는 것이 중요하다. 오히려 이것은 내면적이며 사적인 어떤 활동으로 가득 찬 것이다._222~224쪽

2부 편두통의 발생
6장 편두통에 걸리기 쉬운 소질
편두통에 걸리기 쉬운 소질이라는 개념은 세 집단의 자료에 의존하고 있다. 무엇보다 먼저 편두통의 가족 발병률에 대한 연구, 그리고 이것을 보완하는 연구, 말하자면 특정 병에 걸리기 쉬운 소질을 보여주는 특징적인 신호를 드러내도록 설계된 연구 결과가 있다._232쪽

종합적인 논의와 결론_이 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진술과 반대 진술, 의심, 고민 그리고 수정의 과정이 이어졌다. 따라서 우리는 이제 결론적으로, 편두통에 걸리기 쉬운 경향에 대한 통계학적인 연구가 의심스러운 이유와 그럼에도 이 개념에 여전히 부여되는 타당한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아야만 한다._249쪽

… 그런데 편두통 특이체질이라는 용어는 이 가능성을 과장해 편두통을 인구의 일부에게만 일어나는 것으로 만들어버린다. 단순하고, 구체적이고, 통합적이고, 수량화할 수 있는 어떤 것 또는 기초적인 유전학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어떤 것으로서 편두통 특이체질이라는 손쉬운 가정은 아무것도 설명하지 못하고, 아무 대답도 하지 못하며, 모든 논점을 회피한다. 더 나쁜 것은 내용 없는 말을 한없이 사용함으로써 편두통의 진정한 (개인에게, 그리고 개인의 환경 속에 있는) 결정 요인에 대한 설명을 흐린다는 것이다._254쪽

7장 주기적이고 발작적인 편두통
편두통과 다른 생물학적인 주기_ … 우리는 생활 패턴과 상관없이 상당히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발작을 일으키는 편두통을 “주기적인 편두통”, 불규칙적이거나 상당히 긴 간격을 두고 발작을 일으키는 편두통을 “발작적인 편두통”이라고 부를 것이다._257~258쪽

결론_이런 종류의 발작에서는 아우라가 처음으로 번쩍이거나 전구증상의 자극으로 경고를 받을 때부터 발작이 해소된 뒤의 마지막 여파까지 전체 편두통이 하나의 완전체로 나타난다. 말하자면 편두통이 사라지고 다시 생리적인 평형을 찾을 때까지의 과정을 끝까지 관통하는 불가항력적인 힘에 의해 실행되고 마무리되는 것이다. 주기적이고 발작적인 편두통은 갑자기 방향을 돌리거나 갑자기 중단되기는 어렵다. 그 대신 발작이 지나가고 나면 꽤 긴 시간동안의 편안함을 약속한다._267쪽

8장 상황성 편두통
이 장에서는 편두통 발작을 일으키기 쉬운 상황에 대해서 다룬다. 그러나 여기서는 특이한 편두통 발작을 일으키는 급작스럽고 일시적인 상태에 한정할 것이다._271쪽

각성 편두통_이 용어는 인간의 몸을 활성화하고, 자극하고, 귀찮게 하고, 거슬리게 만드는 상황에서 편두통이 일어난다는 뜻을 담고 있다. 그런 상황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빛, 소음, 냄새, 나쁜 기후, 운동, 흥분, 격렬한 감정, 통증, 약물 작용. 우리는 여기에 편두통을 일으키기 쉬운 본능적인 자극으로서 편두통 전구증상의 흥분과 아우라를 포함시켜야 한다._272쪽

슬럼프 편두통과 파괴 반응_이 신조어들은 탈진과 쇠약, 진정제 투여로 진정된 상태, 비활동적인 상태, 잠 등과 같은 상황에서 생기는 편두통을 뜻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대개 생리적으로 기분 좋은 포만감과 완전함, 즐거운 나른함과 노곤함을 느끼며 치료 효과가 있는 잠을 자기도 한다. 그러나 이때의 생리적인 반응이 좀 더 강화되거나 불쾌한 감정을 유발할 정도가 되면(밥을 너무 많이 먹어 속이 불편할 정도라든지 하는 경우) 이런저런 형태의 슬럼프 반응이 나타난다._277~278쪽

공명 편두통_우리는 이 항목에서 조금 드물지만 아주 구체적이고 중요한상황성 편두통의 한 형태를 검토해야 한다. 이것은 일정한 빈도로 반짝이는 빛, 특정한 형태로 패턴화된 시각적 자극, 그리고 시각적 이미지와 기억에 기초해 유도되는 섬광암점에 의해 일어난다._287쪽

결론_ … 상황성 편두통은 특정 자극에 의해서만 유도된다. 발작이 얼마나 오래가는가, 얼마나 심각한가 하는 것은 자극의 강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 그래서 이런 종류의 편두통은 자극의 등급에 따라 반응의 등급도 정해진다. 편두통을 일으키는 상황은 사소하거나 거슬리지 않는 정도가 아니다. 적어도 잠재적으로라도 신경 활동이 중요한 장애에 부딪히거나 붕괴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상황성 편두통은 신경에서 발생하는 사건일 뿐 아니라, 편두통을 촉발하는 상황과 관련된 명확한 기능을 가진 반응들로 보아야 한다._309쪽

9장 상황에 따른 편두통
편두통이 생기는 이유가 정신-신체적 반응 메커니즘 때문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하는 의사들은 두 가지 방법 가운데 한 가지 방법으로 환자들을 연구해왔다.
첫 번째 연구 방법은 일반적인 의료행위에서 용납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환자의 개성과 라이프 스타일을 조사하는 것이다. … 두 번째 연구 방법은 정신분석학적인 방법인데, 시간이 아주 많이 필요하고 특별한 조건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시행하면 환자에 대해서 아주 깊게 연구할 수 있다. 그러나 아주적은 수의 환자밖에 관찰할 수 없다는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_315~316쪽

결론_우리는 끊임없이 지속되는 극심한 편두통을 자주 경험하는 환자들 대부분이 특정 상황과 관련되어 있다는 확실한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이런 환자들은 견딜 수 없을 만큼 괴롭고 공포스럽기까지 한 어떤 생활상에 반응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우리는 이런 환자들에게 정서적으로 강한 스트레스와 요구가 있음을 관찰하거나 짐작할 수 있으며, 그것들이 정기적으로 발작을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편두통을 지칭할 때 ‘정신-신체적 질병’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은 당연하다._329쪽

3부 편두통의 기반
편두통을 설명하기 위해서 우리는 세 개의 담론 영역과 세 묶음의 용어가 필요하다.
첫 번째로, 우리는 편두통을 신경계의 작용 또는 신경계의 병으로 설명해야 한다. 그리고 이때 쓰이는 용어는 신경생리학적인(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용어들 가운데 가장 신경생리학적인) 것이 될 것이다.
두 번째로, 우리는 편두통을 반응이라고 설명해야 한다. 이를 설명할 때는 반사학과 행동주의 용어를 사용할 것이다.
세 번째로, 우리는 편두통을 경험의 세계로 끌고 들어가 설명해야 한다. 편두통 증상은 특정한 정서적인 의미 또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심리학 용어나 실존주의적인 용어가 쓰일 것이다._335~336쪽

10장 편두통의 생리적 메커니즘
결론_지난 30년 동안 편두통 발작과 관련해서 일어나는 혈관성 장애나 화학적, 전기적인 장애에 대해 연구들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고, 이런 비정상적인 상태를 발작의 인과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핵심적이고 근본적인 메커니즘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이 급증했다._361쪽

11장 편두통의 생리적 조직화
우리는 가장 낮은 수준에서부터 가장 높은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른 기능 수준에서 나타나는 편두통 증상과 그런 증상들이 기반을 두고 있다고 여겨지는 메커니즘을 다루면서 이 장을 시작할 것이다. 만일 이 방법이 편두통에 관한 문제를 다루는 데 충분치 않다는 것이 판명된다면 우리는 신경생리학에서 말하는 ‘기능’이나 ‘중추’에 대해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을 채택하지 않을 수 없고, 고정된 신경 조직과 메커니즘이라는 전통적인 관점에서가 아니라 기능적인 시스템의 역동적인 조직이라는 관점에서 생각해야만 할 것이다._366쪽

요약_낮은 기능 수준에서 일어나는 편두통 반응의 특성은 부교감신경이나 트로포트로픽한 긴장이 길어지고 생리적으로 반대인 상태가 앞서 나타나거나 뒤따르는 것이다. 높은 수준의 특성은 1차 감각영역에서부터 가장 복잡한 통합 영역에 이르는 드넓은 피질 영역의 활성화(그리고 이어지는 억제)다. 편두통은 느리게 작동하는 중심뇌 발작의 한 형태로 여겨진다._382쪽

12장 편두통에 대한 생물학적 접근
이제는 다른 측면에서 생겨난 문제, 즉 편두통 환자와 그가 앓고 있는 편두통이 환경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대해 다루어보려고 한다. 편두통 그리고 편두통과 비슷한 반응을 일으키는 생물학적인 이유와 목적을 고려해보면, 우리는 반사, 욕구, 적응과 같은 유기체와 관련된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_386쪽

… 이 장을 시작할 때 제기했던 ‘편두통은 인간만이 가진 독특한 반응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엄밀하게 말하자면 그렇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고 답할 수밖에 없다. 편두통을 인간이발명했다고 보는 것은 옳지 않다. 우리는 오히려 그것을 태곳적생물학적인 선조의 혈통을 물려받은 것이며, 인간의 신경계가 가진 독특한 가능성과 인간의 필요라는 독특한 특성에 의해 다듬어지고 분화된 적응 반응의 아주 원시적이고 일반화된 형태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생각해야 한다. 편두통 반응이 최종적으로 어떤 형태를 띨 것인가 하는 것은 자신의 환경과 관련된 개인적인 발달정도에 달려 있다._394~395쪽

13장 편두통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 편두통이 개인의 정서적인 효율성과 관련되어 있을 경우와 관련해 좀 더 엄격하게 검토해야 한다. 주기성 편두통은신경세포의 타고난 주기성과 어느 정도 관련되어 있으며, 상황성 편두통은 생리적이거나(탈진 등) 정서적일(분노, 놀람 등) 수 있는, 아주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상황에 대한 반응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경우 어떤 편두통 발작이 신체적이거나 생리적인 증상으로 뚜렷하게 규정되었다고 해서, 그 발작에 내포될 수 있는 또다른 기능이나 용도가 더 이상 없을 것이라는 뜻은 아니다. _398~399쪽

결론_편두통이라는 과정(또는 병)은 중심뇌에서 비롯된 흥분과 억제의 순환과정이며, 신경계의 패턴과 시간축을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한다. 중심뇌는 국부적(혈관성)이고 시스템적(화학적)인 장애 때문에 그런 역할을 하게 되는 것 같다. 이런 장애는 그 발생 형태나 방식에서 역할 중재자로서, 그리고 뇌줄기 활동의 원초적이고 신경생리학적인 장애에 대한 2차적이라는 점에서 아주 다양하게 나타난다._423쪽

4부 편두통 치료법
14장 편두통을 관리하는 일반적인 방법
편두통 환자에게 쓸 만한 일반적인 치료 수단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발작을 촉발하는 상황을 피하도록 하는 것, 전반적인 건강 향상,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사회적·정신적인 치료법이다. 앞의 두 가지 치료는 병행할 수도 있다._434쪽

극단적으로 지독한 편두통을 끊임없이 겪어야 하는 환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어떤 환자들은 참을 수 없는 외부 상황에 노출되어 있고, 어떤 환자들은 잠재적으로 참을 수 없는 내부 상황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간질과 유사하게, 특발성인 생리적 발작 원인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아주 적은 수의 환자들이 있다. 이들은 주로 아주 어린 시절부터 고전적 편두통을 자주 앓아온 환자들로, 대개 같은 병에 대한 강력한 집안 내력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여기서 논의할 대상은 첫 번째와 두 번째 그룹이다._443쪽

15장 발작하는 동안, 그리고 발작과 발작 사이의 조치
편두통을 치료해준다고 알려진 특효약은 무척이나 많다. 그런 것들로는 특허 의약품, 민간요법, 묘약, 영약, 동종요법약, 플라세보 효과를 위한 약 등이 있다. 그럴듯한 것도 있지만 어처구니없는 것도 있고, 오히려 해롭거나 엉터리 같은 것도 있다._447쪽

편두통 발작을 치교할 때 유용한 약_우리는 여기서 세 종류의 약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는 특히 두통의 원인이 되는 두개골 바깥 동맥의 팽창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편두통 발작의 실제 메커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약, 둘째는 통증, 욕지기, 그리고 그 밖의 동반 증상에 사용하는 약, 그리고 마지막으로 긴장을 완화시키고 수면을 촉진시켜주는 보조제가 있다._448쪽

결론_중요한 규칙은 단 하나뿐이다. 환자의 말에 귀를 기울여야만 한다. 그러니 가장 큰 잘못은 환자에게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것이다. 어떤 치료를 시작하든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이것이다. 환자와 좋은 관계를 시작하면서 의사소통을 제대로 하는 것이다._470쪽

16장 편두통 치료법에 대한 최근의 발전
고대로부터 우리는 편두통을 일으키는 일반적인 상황이라는 개념과 이것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가 편두통과 관련된 특별한 메커니즘에 대해, 그리고 이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특별한 치료법에 대해 어느 정도 알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 특히 지난 20년 동안에 거둔 성과다._475쪽

5부 편두통이라는 보편적인 경향
17장 편두통 아우라와 환각 상수
편두통의 시각장애는 일반적이다. 편두통 인구 가운데 적어도 10퍼센트에게서 시각장애가 나타난다._503쪽

환각의 형태 또는 수준_그러나 이것은 우리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고 분석하기 위해 범주화할 필요가 있는 ‘거친’ 형태의 아우라다. 우리는 기하학적 환각증을 세 개의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
첫 번째는 ‘별을 보는 것’(안내섬광)이다.
두 번째는 가장자리가 요새의 성벽 같은 모양을 한 고전적인 확장 스펙트럼이나 암점이다.
세 번째는 덜 나타나만 더 일반적인데, 빠르게 변하는 복잡한 패턴으로 구성된다. 이 세 가지 수준은 안내섬광에서 시작되며, 분명히 순서대로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_508쪽

편두통 아우라의 새로운 모델_마찬가지로 시뮬레이션이라는 새로운 방법도 중요하다. 이를테면, 실제 대뇌피질의 특성을 최소한으로라도 구현시킨 뉴런의 그물망 모형을 설계해서 만든 다음, 자극을 주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슈퍼컴퓨터로 볼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평형상태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임계치를 몰아가면 그것들이 실제로 아우라 무늬와 비슷한, 일시적이지만 특별한 무늬를 만들어내는지 살펴보자는 것이다._541쪽
이것이 지금 우리가 시도해보려는 것이다. 모형은 단순할 수밖에 없다. 그것이 모형의 특성이다. 우리는 이 모형에 대뇌피질이 가진 것을 그대로, 말하자면 수억 개의 세포, 20개나 되는 세포 종류, 6층으로 구성된 대뇌피질, 무한히 많은 내부와 외부의 연결 구조 등을 그대로 구현할 수가 없다. 그러나 우리는 특정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실제 상황을 어느 정도는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_541쪽

목차

1992년 개정판 서문
1970년 초판 서문
추천 서문
편두통 역사에 대한 간략한 소개

1부 편두통 증상
1부를 시작하며
1장 일반 편두통
2장 편두통 유사증상
3장 편두통 아우라와 고전적 편두통
4장 편두통성 신경통/ 반신마비 편두통/ 눈마비 편두통/ 가성 편두통
5장 편두통의 구조

2부 편두통의 발생
2부를 시작하며
6장 편두통에 걸리기 쉬운 소질
7장 주기적이고 발작적인 편두통
8장 상황성 편두통
9장 상황에 따른 편두통

3부 편두통의 기반
3부를 시작하며
10장 편두통의 생리적 메커니즘
11장 편두통의 생리적 조직화
12장 편두통에 대한 생물학적 접근
13장 편두통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4부 편두통 치료법
4부를 시작하며
14장 편두통을 관리하는 일반적인 방법
15장 발작하는 동안, 그리고 발작과 발작 사이의 조치
16장 편두통 치료법에 대한 최근의 발전

5부 편두통이라는 보편적인 경향
17장 편두옹 아우라와 환각 상수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부록
사례찾아보기
용어사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올리버 색스Oliver Sacks는 1933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다. 옥스퍼드대학 퀸스칼리지에서 의학학위를 받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샌프란시스코와 UCLA에서 레지던트 생활을 했다. 1965년 뉴욕으로 옮겨가 이듬해부터 베스에이브러햄 병원에서 신경과 전문의로 일하기 시작한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과 뉴욕대학을 거쳐 2007년 가을부터 컬럼비아 대학에서 신경정신과 임상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올리버 색스는 신경과 전문의로서 활동하면서 만난 환자들의 사연을 책으로 펴냈고, 그 책을 통해 인간의 뇌와 정신 활동에 대한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쉽고 재미있게 그리고 감동적으로 들려주는 필자로도 유명하다. 〈뉴욕 타임즈〉는 이처럼 문학적인 글쓰기로 대중과 소통하는 올리버 색스를 \'의학계의 계관시인\'이라고 부른다. 그는 《편두통》과《뮤지코필리아》를 포함해 지금까지 모두 10권의 책을 발표했다. 대표작으로는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화성의 인류학자》《엉클 텡스텐》이 있으며, 기면성 뇌염 환자들을 다시 깨어나게 한 사례를 담은 《소생Awakenings》은 1991년 로버트 드니로, 로빈 윌리엄스 주연의 〈사랑의 기적〉이란 제목으로 우리에게 소개되었다. 음악 애호가로서 평소 바흐와 모차르트를 즐겨 듣는다는 그는 《뮤지코필리아》에서 볼 수 있듯이 음악과 우리의 뇌, 그리고 마음의 관계를 밝히고자 연구 중이다. 2002년 록펠러 대학은 과학에 관한 탁월한 저술을 남긴 사람에게 수여하는 ‘루이스 토머스 상’을 그에게 주었고, 모교인 옥스퍼드대학을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서소개

인간의 뇌와 정신 활동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감동적으로 들려주는 올리버 색스가 처음으로 저술한 『편두통』. 신체적이면서 정서적이고 상징적 병 '편두통'에 대한 흥미롭고 중요하며 놀라운 이야기를 담았다. 몸과 마음의 조화에 대해 숙고하면서 슬라이드처럼 심신의 상태를 투명하게 보여주는 전형적 예로서 편두통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편두통을 넘어서 건강과 질병에 대해서도 다룬다. 아울러 인간은 잠깐 동안이라도 가끔 병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면서 그의 이유를 밝히고 있다.
"의학계의 시인 올리버 색스" 별세 관련 기사

news1 기사 보러가기 클릭!
연합뉴스 기사 보러가기 클릭!
조선일보 기사 보러가기 클릭!

상세이미지

편두통(양장본 HardCover) 도서 상세이미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