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 6
머리말 / 25
1장 왜 통일을 원하는가? / 29
그 스트레스!│꼭 설명해야 하나?│영화 “크로싱”│그 몇 가지 이유들: 서로 사랑하기 위해서이다, 광활한 세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이다, 북한의 복음화를 위해서이다│영화 “코리아”│금수강산 삼천리
2장 통일 파트너 한국 교회 / 41
벌써 70년이 지났다│아모스의 소명을 생각하다│공공성을 향한 추구: 칼빈, 웨슬리, 스택하우스│
교회와 정치│교회가 생각하는 안보│교회다운\길│정부를 향한 제안│ 개성공단과 기독교│맺는 말
3장 통일 전·후 독일 교회의 디아코니아 / 71
어떻게 섬기나?│통일 전: 독일 교회와 한국 교회, 특별한 유대 관계, 사회주의 속의 교회, 동독 정권의 핍박, 서독 교회의 지원, 디아코니아란? 디아코니아 재단의 활약│통일 후: 증거와 섬김의 공동체, 재단의 역사, 재단의현재, 기독교적 사회봉사인가?, 이상과 현실, 디아코니아의 추구│맺는 말
4장 독일통일이 주는 교훈 / 97
조용한 개신교 혁명│한국 교회의 문제점│복음주의 통일운동│독일 교회의 사랑│내면의 통일│통일 독일 교회│한국 교회에로의 적용: 이념을 다스리는 복음, 개성공단은 통일모판, 기독교 대북 NGO 활동, 교회의 사회적 역할, 새 술은 새 부대에, 이미의 통일론│맺는 말
5장 독일통일 : 조용한 개신교 혁명 / 127
들어가는 말│한국, 독일과는 달라도│통일 전 독일 교회의 역할│그 전환 1989년│중요 합의│마음의 통일│깨어진 꿈│공산주의의 잔재│의무신앙교육│극우파의 부활│부흥을 외치는 독일 교회│교회의 사회적역할│통일과 한국 교회│화해의 전령│교회의 통일 비전
6장 한국 교회의 통일신학 / 151
21세기 최대의 사건│한국 교회를 진단하다: 현실을 외면하는 교회, 예배당에 갇힌 교회│한국 교회의 변화를 위하여: 삶으로 드리는 예배, 달라져야하는 기도│교회와 남북의 분단: 교회의 십자가, 21세기 사마리아│분단하 한국 교회의 길: 성경적 세계관을 찾아야,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아야, 다
른 차원의 통일을 추구해야, 이미의 통일론
7장 선언문으로 본 한국 교회의 통일운동 / 187
머리말│한국 교회의 통일운동│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 기독교회 선언(1988년)│1994 한국 기독인 통일선언│한국 교회의 통일정책 선언문(1996년)│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88선언 10주년 기념 선언문(1998년)│독일교회의 통일신학│이미의 통일론
8장 한국 장로교와 통일 비전 / 221
새로운 결단의 요구│성경적 통일론: 원수를 사랑하라, 사마리아로 가라, 그비유의 재고, 교회의 슬림화│독일통일의 교훈│한국 교회의 통일 준비│교회의 남북교류를 위한 5원칙: 성경적 원리를 확립하라, 존경받는 교회여야, 보답하는 사랑을 해야, ‘상처 입은 치유자’로 나서야, 정치를 이끄는 교회여야│맺는 말
9장 북한 교회 회복 / 261
조심스러운 제안│어떻게 북한은 종교를 이해하나?│북한의 기독교는?│어떻게 북한 교회 회복을 생각하나?│북한 교회 재건을 위한 모델: 독일│북한 교회 회복을 구체화할 수 있나?
10장 김준곤의 통일신학 / 287
제3의 길을 가다│김준곤의 통일 비전│김준곤의 통일신학: 혁명주의자, 반전주의, 반공주의, 사랑의 통일, 복음화 통일│김준곤의 통일운동:1.1.1.기도운동, 식량운동, 기독교대학생 통일봉사단, 금강산 젖염소 목장│맺는 말
11장 분단 시대 꿈꾸는 ‘평양 대부흥 집회’ / 319
부흥, 어게인?│교회의 통일을 위한 노력: 평양 대부흥 100주년 기념대회, 공든 탑이 무너지랴, 실천적 대화, 사회주의 속의 교회│통일을 위한 교회의 역할: 루터 출생 500주년 기념대회, 실천적 준비와 행사 진행, 역사적 결과, 역사적 평가│요구되는 윤리적 실천│맺는 말
서평 김명혁 박사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