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달라이 라마의 불교 강의

달라이 라마의 불교 강의

  • 달라이 라마 , 툽텐 최된
  • |
  • 불광출판사
  • |
  • 2015-12-14 출간
  • |
  • 456페이지
  • |
  • ISBN 9788974792879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추천사
저자 서문
서문
감사의 말씀
약어

1장 불교의 기원과 전파
부처님의 생애
불교 경전과 불교의 전파
빠알리 전승
중국의 불교
티베트의 불교
우리의 공통점과 다양성

2장 귀의삼보(歸依三寶)
삼보(三寶)의 존재
여래(如來)의 특성들
- 여섯 가지 불공유의 행동들[不共行]
- 여섯 가지 불공유의 인식
- 세 가지 불공유의 교화활동
- 세 가지 불공유의 고귀한 지혜
삼보(三寶) : 빠알리 전승
삼보 : 산스끄리뜨 전승
부처님의 깨달음, 반열반(般涅槃), 전지(全知)
‘귀의하는 것’과 ‘올바른 귀의를 유지하는 것’

3장 사제(四諦)의 열여섯 가지 속성
산스끄리뜨 전승
- 고제(苦諦)의 네 가지 속성
- 집제(集諦)의 네 가지 속성
- 멸제(滅諦)의 네 가지 속성
- 도제(道諦)의 네 가지 속성
빠알리 전승
- 고제(苦諦)의 네 가지 속성
- 집제(集諦)의 네 가지 속성
- 멸제(滅諦)의 네 가지 속성
- 도제(道諦)의 네 가지 속성

4장 계학(戒學)
윤리적 행동의 중요성
쁘라띠목샤 계율
왜 금욕해야 하나?
율장 학파들
승려 공동체[僧伽]의 가치
승려 생활의 목적을 완수하는 것
승려, 성직자, 재가자 스승
티베트의 승려와 사원
서양인 승려를 위한 과제들
여성의 구족계(具足戒)
승려들을 위한 조언
승려 규율의 즐거움
보살계와 밀교 계율

5장 정학(定學)
정(定)의 중요성
존재의 영역들과 마음의 영역들
빠알리 전승
다섯 가지 방해와 정(定)의 다섯 가지 요소들
4선정(四禪定, jh?na)
4무색정(四無色定)
여덟 가지 명상적 해탈
신통(神通)들
산스끄리뜨 전승
명상 자세와 명상 대상들
다섯 가지 과실(過失)과 여덟 가지 해결책
9주심(九住心)
지(止)와 더 높은 삼매들
중국 불교

6장 혜학(慧學) :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
4념처(四念處)
신념처(身念處)
수념처(受念處)
심념처(心念處)
법념처(法念處)
보살을 위한 4념처 수행
4정근(四正勤)
4신족(四神足)
5근(五根)과 5력(五力)
7각지(七覺支)
8정도(八正道)
37조도품의 관습적 본성과 궁극적 본성

7장 무아(無我)와 공성(空性)
빠알리 전승 : 자아(自我)와 온(蘊)들
중관학파 : 부정의 대상
일곱 가지 반박
6대(六大) 요소는 자아(自我)가 아니다
발생에 대한 네 가지 극단을 반박함
무아(無我)와 기만
공성(空性)
무엇이 업(業, karma)을 운반하는가?

8장 연기(緣起)
12연기(十二緣起)
연기의 진행
누가 윤회 속에 맴도는가?
12연기(十二緣起)에 대한 명상의 이익
산스끄리뜨 전승 : 의존의 차원들
인과적 의존
상호 의존
단지 의존적인 명칭
공성과 연기는 양립할 수 있다
빠알리 전승 : 용어, 개념, 관습

9장 지관합일(止觀合一)
빠알리 전승
산스끄리뜨 전승
중국 불교

10장 도(道)의 진행
빠알리 전승 : 청정과 지혜
산스끄리뜨 전승 : 5도(五道)와 10보살지(十菩薩地)
삼승(三乘)의 차이점
산스끄리뜨 전승 : 열반
빠알리 전승 : 열반

11장 4무량심(四無量心)
빠알리 전승
자애(慈愛)
연민[悲心]
기쁨[喜]
평정[捨]
4무량심과 관(觀)
가까운 적과 먼 적
산스끄리뜨 전승

12장 보리심(菩提心)
티베트 불교
평정
인(因)과 과(果)에 대한 일곱 가지 가르침
자신과 남들을 동등하게 생각하고 서로 바꾸는 것
이기심, 자신감, 자기중심적 태도, 아집(我執)
견해와 보리심을 통합시키는 것
중국 불교
사홍서원(四弘誓願)
염원하는 보리심과 참여하는 보리심
빠알리 전승 : 보리심과 보살들

13장 보살의 바라밀 수행
산스끄리뜨 전승
빠알리 전승 : 10바라밀
보시(布施) 바라밀
지계(持戒) 바라밀
인욕(忍辱) 바라밀
정진(精進) 바라밀
선정(禪定) 바라밀과 출리(出離) 바라밀
지혜 바라밀
확고한 결의 바라밀과 결의 바라밀
능숙한 방편과 힘과 고귀한 지혜 바라밀
진실됨 바라밀, 자애 바라밀, 평정 바라밀
제자들을 모으는 네 가지 방법

14장 깨달음의 가능성과 불성(佛性)
해탈은 가능한가?
빠알리 전승 : 광명심(光明心)
유식학파(唯識學派) : 불성
중관학파 : 불성
밀교승(密敎乘) : 불성
선(禪) : 불성, 보리심, 진여(眞如)
여래장(如來藏)에 대한 이해

15장 밀교(密敎, Tantra)
밀교의 신(神)들
금강승(金剛乘)에 들어가는 것
무상유가밀교의 탁월한 특색들

16장 결론

역자 후기
미주

도서소개

『달라이 라마의 불교 강의』는 빠알리 전승과 산스끄리뜨 전승 각자의 특유한 교리와 근본적으로 공유하는 교리에 대한 상호 비교를 통해서 이 모두가 부처님 가르침에서 기원한 것임을 드러내고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에서 시작된 불교가 역사적으로 여러 지역에서 어떻게 전파되고 발전했는지를 살피면서, 상호 차이점과 근본적 공통점이 무엇인지를 간결하고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전 세계인의 영적 스승 달라이 라마,
불교를 총정리하다!

빠알리 전승과 산스끄리뜨 전승이라는 불교의 양대 산맥을 비롯해
2,600년 동안 변화·발전해온 불교의 여러 전통을 두루 탐사하며
그들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고 불교의 참뜻을 찾아낸
달라이 라마와 툽텐 최된의 지적 탐구의 결정체!

불교는 석가모니 부처님이라는 한 분의 스승에서 유래하였지만 교통과 소통이 어려웠던 오랜 시간과 지역적 분리로 인해 빠알리 전승과 산스끄리뜨 전승이라는 각각의 독자적인 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빠알리 전통은 빠알리 대장경에 기반을 두며 현재 주로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방글라데시 등에서 전해지고 있고, 산스끄리뜨 전통은 한역 대장경과 티베트어 대장경에 기반하여 현재 주로 중국, 한국, 일본, 몽고, 네팔, 베트남, 티베트 등에서 전해지고 있다. 이 두 전통은 각자 특색이 뚜렷하고 기여하는 바도 독특하며 강조점도 서로 다르다. 또한 이 두 전통은 각각 하나의 단일체가 아니다. 대표적으로, 한중일 삼국의 불교와 티베트 불교는 상당히 다른 표현을 사용하며 강조점도 다르지만 이들은 모두 비슷한 산스끄리뜨 원전에서 유래하였고 유사한 믿음도 많이 공유하기 때문에 ‘산스끄리뜨 전승’에 포함된다.

2,600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은 8만 4천 법문이라고 할 정도로 그 양이 방대해졌다. 한 번 읽는 데만도 평생을 바쳐야 할 양이다. 뿐만 아니라 한문 대장경과 빠알리 대장경, 티베트 대장경은 서로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별하면서 불교를 공부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한 오랜 시간에 걸친 지역적 분리는 서로에 대한 이해보다 오해를 쌓아왔다. 빠알리 전통의 불교인들이 보기에 술을 마시는 티베트 스님들은 계율을 지키지 않은 타락한 종교인이며, 산스끄리뜨 전통에 서 있는 수행자들은 아무것도 없는 텅 빈 마음으로 수행한다고 여겨진다. 반면 산스끄리뜨 전통의 불교인들은 빠알리 전통의 불교가 수행자 자기 자신만의 해탈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불교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 모든 것은 서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생겨난 오해일 뿐 사실은 아니다.

21세기에 들어 교통과 소통이 발달함에 따라 서로 다른 불교 전통에 속한 사람들이 함께 만나며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지만 아직도 서로에 대한 오해를 완전히 불식시키지 못했고 서로에 대한 이해가 완전하지도 않다. 여러 불교학자들이 각 전통 자체에 대한 깊은 연구와 더불어 여러 전통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상당한 결과물을 내놓았지만, 일반 불자들이 접근하기에는 매우 전문적이고 난해하다. 또한 쉽게 접할 수 있는 불교 해설서들은 대개 서로 다른 불교 전통의 차이를 비교하여 설명하기보다는 어느 한 쪽의 입장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런 연유로 불교를 더욱 자세히 알고자 하는 사람들은 많은 혼란을 겪고 있었으며, 다른 불교 전통을 깊이 이해하기 어려웠다.
한 분의 스승에서 유래하였기에 근본적으로 동일할 수밖에 없는 여러 불교 전통들. 이들을 하나로 묶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의 핵심은 무엇이며, 그 핵심 교의를 각 전승은 어떻게 계승, 발전, 변화시켜 왔는가? 그리고 이들 사이의 근원적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또, 상이한 불교 전통들은 상호 이해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가?


석가모니 부처님이라는 한 스승에서 유래한
주요 불교 전승의 역사와 교학 체계, 수행법, 계율과 해탈의 길을
한 권에 비교, 설명한 체계적 연구서

달라이 라마는 빠알리 전승과 산스끄리뜨 전승에 속한 사람들 사이에 수백 년 동안 쌓인 오해를 근절하고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며, 종국에는 각자의 마음속에 부처님의 법(法)이 실현되도록 하기 위해 상대방의 불교 전통에 관해 더 잘 알아야 한다고 보았다. 이것이 이 책 『달라이 라마의 불교 강의』를 구상하고 세상에 내놓은 이유이다. 책을 집필하는 작업은 미국인 비구니 툽텐 최된이 진행하였지만 전체적인 구상과 산스끄리뜨 전승, 특히 금강승에 관한 부분은 달라이 라마의 법문과 인터뷰 자료에 기초했다.

이 책은 빠알리 전승과 산스끄리뜨 전승 각자의 특유한 교리와 근본적으로 공유하는 교리에 대한 상호 비교를 통해서 이 모두가 부처님 가르침에서 기원한 것임을 드러내고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에서 시작된 불교가 역사적으로 여러 지역에서 어떻게 전파되고 발전했는지를 살피면서, 상호 차이점과 근본적 공통점이 무엇인지를 간결하고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모든 불교도는 삼보(三寶)에 귀의하며, 사성제(四聖諦), 삼학(三學), 무아(無我), 공성(空性), 연기(緣起), 지관합일(止觀 合一), 4무량심(四無量心), 보리심(菩提心)과 보살의 바라밀(波羅蜜) 수행 등의 가르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