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 5
역자 서문 / 9
2판 서문 / 11
초판 서문 / 15
제1장 역사, 역사서술, 종교개혁에 대한 해석 / 23
1. 역사와 역사서술 / 23
2. 종교개혁에 대한 여러 해석들 / 33
제2장 중세 후기: 종교개혁의 시초 및 발판 / 55
1. 농경 사회의 위기, 기근 및 전염병 / 57
2. 마을과 도시: 사상과 변화의 중심지 / 69
3. 인쇄술의 발전 / 71
4. 광산업과 무기산업 / 73
5. 사회적 긴장 / 76
6. 가치의 위기 / 80
7. 반(反)-성직주의와 르네상스 교황 / 93
제3장 새로운 시대의 시작 / 99
1. 마르틴 루터(1483-1546) / 100
2. 불안정에 대한 신학적 목회적 반응 / 108
3. 신학적 의미 / 119
4. 면죄부: 낙원의 거래 / 123
5. 찍찍거리는 생쥐 / 127
6. 정치와 경건 / 131
7. 보름스 의회로부터 새들의 땅에 이르기까지 / 134
제4장 그 누구도 기다리지 말라: 비텐베르그에서의 개혁의 실행 / 147
1. 새들의 땅에서 / 147
2. 멜랑히톤: 독일의 교사 / 149
3. 칼슈타트와 원시 청교도주의 / 150
4. 주교, 성직자의 결혼, 개혁을 위한 전략 / 154
5. 복음과 사회 질서 / 165
제5장 무화과 나무의 열매들: 사회복지와 교육 / 177
1. 중세 후기의 빈민 구제 / 178
2. 자선을 넘어서 / 181
3. 사회복지의 제도화 / 187
4. 부겐하겐과 복음주의 사회복지의 확산 / 192
5.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기 위한 교육 / 198
6. 교리문답 및 기독교적 소명 / 200
7. 초창기 종교개혁은 실패했는가? / 204
제6장 보통 사람들의 종교개혁 / 209
1. “앤디 형제” / 209
2. 토마스 뮌처 / 219
3. 보통 사람들의 혁명(1524-1526) / 240
제7장 스위스와의 관계: 츠빙글리와 취리히에서의 종교개혁 / 255
1. 소세지 사건 / 255
2. 츠빙글리의 시작 / 256
3. 취리히의 시정부와 교회 / 261
4. 츠빙글리의 개혁 활동 / 262
5. 부연 설명: 중세의 성례 신학 / 271
6. 마부르그 회담(1529) / 285
제8장 목자들에게 맞선 양들: 급진 종교개혁 / 295
1. 재세례파 / 298
2. 부연 설명: 세례에 대한 종교개혁의 이해 / 302
3. 취리히에서의 시작 / 310
4. 재세례파의 다양성 / 319
5. 뮌스터 사태 / 324
6. 신령주의자들의 전복적인 경건 / 329
제9장 1530년의 아우구스부르그로부터 1555년의 아우구스부르그까지: 개혁과 정치 / 335
1. 보름스의 발자취 / 336
2. 보름스 의회 / 339
3. 슈파이어 의회(1526) / 340
4. 슈파이어 의회(1529) / 342
5. 1530년의 아우구스부르그 의회 및 아우구스부르그 신앙고백서 / 344
6. 황제에 대한 저항권 / 350
7. 종교개혁 교회연합주의, 전쟁, 그리고 아우구스부르그 평화협약 / 353
제10장 “그리스도의 가장 완벽한 학교”: 제네바 종교개혁 / 361
1. 존 칼빈 (1509-1564) / 362
2. 제네바로의 여행 / 367
3. 제네바에서의 종교개혁 / 370
4. 스트라스부르그에서의 체류 / 373
5. 칼빈이 다스린 제네바(1541-1564) / 381
6. 칼빈의 권위가 강화됨 / 385
7. 세르베투스 사건 / 389
8. 개신교 선교와 복음전도: “국제적인 음모” / 396
제11장 하나님의 날개 그늘 아래에서: 프랑스에서의 종교개혁 / 401
1. 인문주의의 방패 / 402
2. 복음주의적 진보와 박해 / 406
3. 칼빈이 프랑스에 끼친 영향 / 410
4. 프와시 회담(1561) / 418
5. 종교 전쟁(1562-1598) / 421
6. 성 바돌로매 축일 대학살 / 423
7. “파리는 미사를 드릴만한 도시로군” / 429
제12장 순교자들의 피: 네덜란드에서의 종교개혁 / 433
1. “루터주의 분파” / 438
2. 저항 운동 / 439
3. 칼빈주의의 등장과 스페인의 대응 / 441
4. 경건한 사회? / 447
제13장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의 종교개혁 / 449
1. 반(反)-성직주의 및 루터파적인 출발 / 451
2. 국왕의 대사건 / 462
3. 정열, 정치, 그리고 경건 / 466
4. 에드워드 6세와 개신교의 전진 / 469
5. 메리 튜더와 개신교의 후퇴 / 472
6. 엘리자베스 1세와 중도 정책 / 475
7. 메리 스튜어트와 스코틀랜드에서의 종교개혁 / 484
제14장 가톨릭의 갱신과 반(反)-종교개혁 / 491
1. 중세 후기의 갱신 운동 / 492
2. 금서목록 및 이단재판소 / 503
3. 로욜라와 예수회 / 510
4. 트렌트 공의회(1545-1563) / 517
제15장 종교개혁의 유산 / 529
1. 고백주의 / 530
2. 정치 / 534
3. 문화 / 541
4. 종교개혁과 여성 / 541
5. 관용 및 타자 / 551
6. 경제, 교육 및 과학 / 558
7. 문학과 예술 / 562
8. 다시 미래를 향하여: 종교개혁과 근대성 / 572
연 대 표 / 577
계 보 / 585
지 도 / 590
용어 해설 / 596
부 록: 종교개혁 연구 보조자료 / 600
참고문헌 / 604
색 인 / 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