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서문
역자 서문
감사의 글
약어표
서론: 신학적 지도
1. 케임브리지와 암스테르담 사이에서: 연구개관
2. 독자를 위한 안내: 혼돈스러운 자를 위하여
제1부 방향설정
제 1 장 탈 세속에 거주하기: 왜 급진 정통주의인가? 왜 지금 이 시점에서 그러한가?
1. 포스트모던 영역에 대한 지도그리기: 튀빙겐으로부터 케임브리지까지
2. 파리의 어거스틴: 원류들과 영향들
3. 세속에 대한 옹호: 비판들에 대한 개관
4. 탈 세속에 거주하기
제 2 장 선언의 요소들: 급진 정통주의 운동들
1. 급진 정통주의의 정의: 학파, 운동 혹은 정서?
2. 다섯 가지 운동들의 교향곡
1)근대성과 자유주의 비판
2)탈 세속
3)참여와 물질성
4)성례전, 전례 그리고 미학
5)문화비판과 변화
3. 개혁주의적 해석
제 3 장 급진 정통주의 철학 “이야기” 플라톤에서 스코투스까지 그리고 그 뒤
1. 급진 정통주의 철학의 역사:내러티브, 과장된 이야기 그리고 메타-역사
2. 중세부터의 시작: 허무주의로의 근대적 선회
1) 스코투스의 경우
2) 일의성으로부터 허무주의까지
3. 옛날에 플라톤이 있었다
1) 플라톤주의와 기독교
2) 새로운 플라톤
4. 어거스틴으로의 회귀
1) 포스트모던 어거스틴: 카푸토와 데리다
2) 급진 정통주의 어거스틴: 워드와 밀뱅크
5. 새로운 아퀴나스: 은혜로운 자연
제2부 항해
제 4 장 포스트모던 패러디들:근대성에 대한 비판과 세속이란 신화
1. 이단으로서 근대성
2. 패러디로서의 근대
1) 정치 기술: 세속 교회 ?
2) 신적인 도시들: 하나의 세속 왕국
3. 심화된 근대성: 소위 포스트모던 선회
제 5 장 탈 세속으로의 가능성들: 신앙, 이성 그리고 공공의 임무
1. 세속사상의 가장된 자율성
1) 세속신학들
2) 신학에 있어서 스콜라주의
2. 재조명된 신앙과 이성: 아퀴나스의 경우
1) 전통적인 토마스
2) 급진 정통주의의 새로운 아퀴나스
3) 급진 정통주의의 아퀴나스에 대한 비판
3. 철학과 신학: 관계의 해부학
4. 변증학의 종말
5. 황제 이야기 전도시키기: 고백적 목소리들의 정치적 공간들
제 6 장 참여와 성육신: 물질성, 전례 그리고 성례전
1. 물질성 의존시키기: 참여에 관하여
1) 대안적-존재론 1: 물질주의와 초월
2) 대안적 존재론 2: 차이와 평화
2. 개혁주의 경고: 창조의 선함과 플라톤 개정하기
1) 창조의 선함
2) 종말
3. 창조의 온전성과 기회원인론의 망령
1) 하나의 사례 연구: 라이프니츠-들뢰즈와 창조의 온전성
(1)내재성의 측면들:
들뢰즈의 라이프니츠와 창조를 향한 “찬미”
(2) 창조자의 마땅한 권리 인정하기:
자연과 창조에 관한 라이프니츠의 이해
2) 온전성, 내재성 그리고 창조의 겹들:
창조의 존재론을 위한 함의들 ? 294
(1) 창조의 존재론에 있어서 내재성 긍정하기
(2) 의미, 표현, 초월성
(3) 접힘들과 엔캅시스:
도예베르트, 들뢰즈, 라이프니츠
4. 하나님의 아름다움: 전례와 미학
제 7 장 하나님의 도시들: 문화비판과 사회적 변화
1. 사회이론으로 본 교회
1) 기독교 사회학
2) 구속받은 공동체: 도시(Polis)로서 교회
2. 윤리학에 대항하여: 기독교 도덕성과 반정립
3. 에로틱한 주제들: 포스트모던 어거스틴주의
4. 욕구의 기술들: 교회, 국가, 시장
5. 급진 정통주의의 교회: 질문들과 의구심들
1) 창조적인 교회?
교회로서의 국가와 도시로서의 교회에 관한 질문들
2) 한계가 없는 교회
결론: 급진 정통주의를 교회에 적용하기
참고문헌
인명 색인
주제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