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I C 언어 포인터의 이해
1장 변수와 메모리
1.1 변수와 메모리
1.2 변수의 주소
1.3 주소의 형변환
1.4 주소와 메모리
2장 포인터
2.1 포인터의 선언
2.2 다차원 포인터
2.3 포인터의 연산
3장 배열
3.1 배열의 선언
3.2 다차원 배열
3.3 다차원 주소의 의미
3.4 배열 요소에 접근하기
4장 포인터와 배열
4.1 1차원 포인터와 배열
4.2 1차원 배열을 다차원 배열처럼 사용하기
4.3 다차원 배열을 1차원 배열처럼 사용하기
4.4 포인터와 배열의 이모저모
4.5 다른 자료형의 포인터 사용하기
5장 포인터와 문자열
5.1 C 언어의 문자열
5.2 포인터로 문자열 다루기
5.3 문자 코드
6장 구조체와 공용체
6.1 사용자 정의형 구조체
6.2 구조체 주소의 연산
6.3 공용체
7장 포인터와 구조체
7.1 구조체의 주소 저장하기
7.2 다차원 포인터, 배열, 구조체
7.3 구조체 멤버로 주소 저장하기
7.4 자신의 주소를 저장하는 구조체
7.5 구조체의 크기를 예측하지 말자
8장 포인터와 함수
8.1 사용자 함수
8.2 변수와 함수
8.3 주소를 인자 값으로 전달하는 함수
8.4 주소를 반환 값으로 전달하는 함수
8.5 구조체를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는 함수
8.6 구조체를 반환하는 함수
8.7 재귀 함수
9장 void형 포인터와 함수
9.1 void형 포인터
9.2 함수 포인터
9.3 함수 호출 규약
9.4 여러 가지 포인터의 비교
10장 동적 메모리, 가변 인자, const 상수
10.1 동적 메모리
10.2 가변 인자
10.3 const 상수
Part II C 언어 포인터 실습
11장 변수와 연산자
11.1 주요 입출력 함수
11.2 산술 연산자
11.3 rand( ) 함수와 산술 연산자
11.4 비교, 논리, 비트 연산자
12장 포인터와 배열
12.1 메모리 관련 주요 함수
12.2 포인터 변수의 연산
12.3 배열 주소의 의미와 다차원 포인터 배열의 사용
12.4 함수 포인터와 void 포인터
13장 포인터와 문자열
13.1 문자열 관련 주요 함수
13.2 문자열 관련 함수의 구현
13.3 유니코드 버전의 문자열 관련 주요 함수
14장 포인터와 구조체
14.1 typedef와 구조체 변수
14.2 구조체의 멤버로 문자열 저장하기
14.3 구조체의 멤버 void형 포인터, 공용체와 결합한 구조체
14.4 비트 단위로 제어하기
15장 스택, 큐, 연결 리스트
15.1 스택
15.2 큐
15.3 단일 연결 리스트
15.4 이중 연결 리스트
16장 이중 연결 리스트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예제 구현
16.1 범용적인 이중 연결 리스트
16.2 파일의 분리와 라이브러리 만들기
부록
1. 파일로 분리하여 빌드
2. 라이브러리 만들기
3.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예제 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