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서문: 신화학과 인도신화연구 ─ 기존연구를 넘어서
1장 신화와 신화연구, 그리고 문화ㆍ23
1. 신화의 특성ㆍ23
2. 신화학과 신화연구사ㆍ25
3. 신화, 문화이해의 주요 도구ㆍ33
2장 인도 힌두신화와 문화의 이해ㆍ36
1. 인도신화의 특성과 기존연구 동향ㆍ36
2. 이 책의 목표ㆍ40
I부: 인도 힌두 신화자료와 신화체계
1장 인도의 신화개념, 이띠하사와 뿌라나ㆍ49
2장 힌두 신화텍스트와 신화체계의 전개ㆍ53
1. 전기 힌두 신화텍스트ㆍ53
1) 첫 『베다』인 『리그베다』의 다신론체계ㆍ55
2) 『브라흐마나』의 의례중심 체계ㆍ58
3) 『우빠니샤드』의 일원론체계와 해탈전통의 등장ㆍ60
2. 후기 힌두 신화텍스트ㆍ63
1) 일원론적 다신교의 등장과 후기 힌두문헌ㆍ63
2) 인도의 2대 서사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따』ㆍ65
3) 힌두신화의 보고 『뿌라나』ㆍ76
3장 인도 힌두신화의 주제와 신화체계ㆍ79
1. 힌두신화의 주제ㆍ79
1) 두 서사시의 주제ㆍ79
2) 『뿌라나』의 주제ㆍ82
2. 힌두신화체계와 주제분류ㆍ85
II부: 인도 힌두신화와 세계관
1장 힌두신화의 신체계, 일원론적 다신론ㆍ93
1. 세계신화에 나타나는 신체계ㆍ93
2. 힌두교의 신체계, 일원론적(일신교적) 다신론ㆍ94
3. 힌두신화 속의 일신교적 다신론ㆍ98
4. 힌두신화의 주요 신들ㆍ101
5. 힌두의례ㆍ127
2장 우주창조와 순환적 우주관ㆍ131
1. 신화적 우주창조론과 그 유형ㆍ131
2. 힌두 우주창조 신화의 우주론ㆍ134
1) 1단계 창조ㆍ135
2) 2단계 창조ㆍ139
3. 힌두 우주창조 신화의 특성ㆍ143
4. 창조신화에 나타나는 순환적 우주관과 네 유가ㆍ147
3장 우주와 사회의 윤리규범, 다르마ㆍ153
1. 다르마의 의미ㆍ153
2. 우주통합과 유지의 법칙ㆍ154
3. 사회적?윤리적 규범이자 의무ㆍ158
1) 『라마야나』와 『마하바라따』의 다르마ㆍ159
2) 『바가바드기따』의 다르마ㆍ173
4장 인도사회의 윤리규범, 바르나아슈라마 다르마ㆍ189
1. 바르나(카스트) 다르마ㆍ189
1) 바르나와 그 기원신화ㆍ189
2) 바르나의 의무ㆍ192
3) 바르나의 토대에 대한 논쟁ㆍ194
2. 아슈라마(삶의 네 단계) 다르마ㆍ196
1) 인도사회의 삶의 네 가치와 단계ㆍ196
2) 신화 속의 삶의 네 단계ㆍ200
3. 바르나아슈라마 다르마의 사회적 배경과 의미ㆍ205
5장 데바와 아수라 투쟁신화와 힌두사상의 선과 악 개념ㆍ209
1. 데바와 아수라 투쟁신화ㆍ209
2. 데바와 아수라ㆍ211
3. 데바와 아수라 투쟁의 상징적 의미ㆍ213
1) 우주에 존재하는 상반되는 두 힘의 충돌ㆍ213
2) 다르마와 아다르마의 투쟁ㆍ221
3) 종교 및 종파 간의 갈등ㆍ225
4. 교활한 데바와 선한 아수라ㆍ228
5. 힌두사상의 선과 악 개념ㆍ235
1) 데바와 아수라의 구분이 반드시 선과 악의 구분은 아니다ㆍ235
2) 선악의 구분 기준으로서의 다르마와 상대적 의미의 선악 개념ㆍ238
6장 인간과 삶에 대한 신화적 이해ㆍ246
1. 업과 윤회ㆍ246
1) 두르바 이야기ㆍ247
2) 바라따의 환생 이야기ㆍ250
2. 인간의 본질과 업과 윤회ㆍ253
3. 업과 운명ㆍ256
4. 업보로서의 저주의 실현ㆍ259
7장 죽음과 사후에 대한 신화적 이해ㆍ266
1. 세계신화의 죽음 기원 이야기ㆍ266
2. 인도신화의 죽음 창조 이야기ㆍ269
3. 힌두신화에 나타나는 인도인들의 죽음 인식ㆍ272
4. 힌두신화의 사후세계ㆍ275
8장 삶의 궁극적 목표, 해탈과 수행자ㆍ280
1. 수행자 소우바리 이야기ㆍ280
2. 인도인들의 삶의 목표, 해탈ㆍ284
3. 해탈을 위한 수행과 수행자의 삶ㆍ285
4. 수행을 방해하는 신들과 여성ㆍ291
5. 수행자와 구루ㆍ295
9장 해탈에 이르는 세 길ㆍ298
III부: 문화 속에 살아 있는 신화
1장 신화, 문화이해의 통로ㆍ311
2장 카스트, 신화적 이상과 현실의 그늘ㆍ315
1. 카스트와의 대면, 그리고 물음ㆍ315
2. 인도의 신분제, 카스트ㆍ316
3. 카스트를 정당화하는 신화적?종교적 원리들ㆍ322
1) 카스트 기원의 신성화와 기원신화에 반영된 사회관ㆍ322
2) 정과 부정 구분 관념과 업과 윤회이론ㆍ328
4. 카스트제도의 전개와 변화ㆍ330
3장 힌두교의 박띠와 정서ㆍ337
1. 박띠와 종교정서ㆍ337
2. 박띠의 의미와 본질: 에고가 제거된 사랑ㆍ341
3. 박띠의 기원과 전개ㆍ343
4. 박띠의 종류, 단계, 그리고 실천방법ㆍ347
5. 『바가바따 뿌라나』에 나타나는 박띠와 정서ㆍ351
1) 증오와 두려움의 감정ㆍ353
2) 연인의 열정적 사랑의 감정ㆍ355
6. 박띠에서 정서의 종교적 기능ㆍ360
4장 인도 여신신화와 여성정체성ㆍ364
1. 힌두 여신신화의 이중적 여성상ㆍ364
2. 『라마야나』의 시따, 가부장적 여성상의 전형ㆍ366
1) 시따의 생애ㆍ366
2) 인도인들의 영원한 여성, 시따ㆍ371
3) 여성의 다르마, 빠띠브라따ㆍ374
4) 시따와 『마하바라따』의 다마얀띠ㆍ377
3. 『데비마하뜸야』의 두르가(깔리), 독립적 여성상ㆍ388
1) 『데비마하뜸야』의 중요성과 내용ㆍ388
2) 두르가와 깔리, 모신이자 여전사ㆍ389
3) 독립적 여신에 대한 여성주의적 해석ㆍ399
4. 이중적 여성정체성의 인도문화적 의미ㆍ402
5장 과부화장제 사띠와 신화의 사회적 기능ㆍ406
1. 18세의 과부, 루쁘 깐와르의 사띠ㆍ406
2. 사띠의 역사적 배경ㆍ409
3. 사띠의 신화적 배경ㆍ410
1) 쉬바 신과 그의 아내 사띠 이야기ㆍ410
2) 베다바띠 이야기ㆍ412
4. 여성, 정결하지 않은 존재 그리고 사띠ㆍ415
5. 자발적 사띠의 ‘자발성’은 진정한 자발성인가?ㆍ418
6장 독립적 여신신앙의 신화와 실제ㆍ422
1. 여신과 여성ㆍ422
2. 독립적 여신신앙과 여성ㆍ424
1) 독립적 여신, 두르가와 깔리신앙ㆍ424
2) 여신의 강력함에 대한 인식과 여성성의 연관성ㆍ434
3) 여신숭배의 목적ㆍ444
3. 독립적 여신신앙과 인도여성의 지위ㆍ448
7장 인도의 축제와 신화ㆍ455
1. 인도의 축제, 신화적 사건의 재연ㆍ455
2. 꿈브멜라 축제와 신화ㆍ458
1) 꿈브멜라 축제ㆍ458
2) 강가의 기원신화와 신성성ㆍ461
3) 우유대양을 저어 불멸의 생명수를 얻는 신화와 꿈브멜라 축제ㆍ470
3. 강가, 생명력?정화력?구원의 원천ㆍ474
4. 축제와 삶ㆍ478
결론
에필로그: 신화는 여전히 유효하다ㆍ515
참고문헌ㆍ519
찾아보기ㆍ525
Abstractㆍ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