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손와만록

손와만록

  • 김경천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5-11-30 출간
  • |
  • 280페이지
  • |
  • 188 X 257 mm /887g
  • |
  • ISBN 9788952116994
판매가

34,000원

즉시할인가

34,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규장각 소장 유일본(唯一本) 『손와만록』의 현대적 번역서
이 책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21세기 신규장각 자료구축사업’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한국학자료총서 22번째 결과물로서, 규장각에 유일본으로 소장되어 있는 『손와만록』을 현대어로 번역하고 교주한 번역서이다. 『손와만록』은 조선후기 지방 향리 출신 김경천이 20대부터 80대까지 자신의 경험을 기록한 작품이다.
『손와만록』은 총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장 「관정(觀政)」에는 경상도 의성의 수령을 지내면서 자신을 발탁해 준 이익저의 행적을 기록했다. 둘째 장 「과거(科擧)」에는 자신의 과거 응시에 관련된 일들을 기록했다. 셋째 장 「사장(詞章)」에는 자신의 시문에 얽힌 이야기를 기록했다. 넷째 장 「정분(情分)」에는 이익저 이후에 자신이 모신 여러 수령과의 일화를 기록했다. 다섯째 장 「잡저(雜著)」에는 꿈·점술·관상 등과 관련된 체험을 기록했다.

『손와만록』의 문학적, 자료적 가치
『손와만록』은 단순한 기록물이 아니라 형식이나 내용 면에서 문학작품으로서의 요건을 충실히 갖추고 있다. 한문소설을 쓴 작자답게 김경천은 독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방법을 체득하고 있던 훌륭한 산문작가이다. 각각의 글에는 기승전결의 완결된 구조를 가지고 적절한 대화와 묘사로 구체성과 생생함이 갖추어져 재미와 감동을 주고 있다.
『손와만록』은 자료적으로도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평생 과거 시험에 도전한 작자의 경험 때문에 과거(科擧)에 관하여 별도의 장으로 길고 생생하게 기술되어 있다. 또한 조선후기 생활사와 관련된 다채로운 자료들을 담고 있으며, 영조 때 일어난 무신란 등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 속에서 겪은 작자의 개인적 체험이 자세히 묘사되고 있다. 경상북도 의성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옛 지명들이 다수 등장하여 인문지리학적 가치도 지니고 있다.

책속으로 추가

아! 문소(聞韶)에서 학성(鶴城)까지 거리가 삼백여 리이고 일찍이 언뜻 본 얕은 교분[?莩]조차 없는데 시문으로 친하게 지냈다는 이유로 정성을 다하여 돕고 재물을 남김없이 베풀어 구휼하였던 것이다. 슬픔과 가여움을 곡진히 펼쳐 주었으니, 어찌 미천한 일물(一物)이 잘못이 없었겠는가? 대개 그 지역 풍속이 어질고 후덕하여 평소에 곤궁한 사람을 구제하는 의리가 있었던 것이다. 마음속에 새겨 목숨을 다하여 갚을 것을 생각하였으나 나이는 죽을 때가 가까워졌는데 간곡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에 전말을 간략히 기록하여 내 자손들로 하여금 대를 이어 보답하도록 도모한다. 눈 돌릴 사이에 반은 귀신의 명부가 되어 버렸으니 매번 볼 때마다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흐른다. (166~167쪽)

목차

머리말 / v
일러두기 / xi

작품 해제 ... 1
1. 작품의 체재와 내용 / 1
2. 작가 김경천 / 3
3. 『손와만록』의 가치 / 5

손와만록 자서(自序) 관정(觀政) 제1 ... 11
별을 보고서 진휼을 생각하다[觀星慮賑] / 13
법을 집행함에 흔들리지 않다[執法不撓] / 15
세도가를 두려워하지 않다[不畏强禦] / 16
사령이 죽기를 다투다[使令爭死] / 21
까마귀더러 자기를 잡아가 달라고 빌다[烏捉我願] / 22
우애로 죄를 얻다[憂愛得罪] / 23
사당이 크게 노하다[祠堂大怒] / 27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하다[緣木求魚] / 29
울며 ‘당신[爾]’의 덕을 말하다[泣說爾德] / 33
기이한 일이 우연히 일치하다[奇事偶合] / 35
시험일을 미루도록 청하다[請退試日] / 37
굴욕이 바뀌어 영화가 되다[轉屈爲榮] / 38
죽도록 있는 힘을 다하다[以死報效] / 41
대신 백성의 조문을 받다[替受民弔] / 43
용연의 별장[龍淵別業] / 46

손와만록 자서(自序) 과거(科擧) 제2 ... 51
매몰참을 시험하는 과거[沒風情科] / 51
정해년 과거 이야기[丁亥科說] / 54
경인년 과거 이야기[庚寅科說] / 56
갑오년 과거 이야기[甲午科說] / 61
임인년 과거 이야기[壬寅科說] / 64
기해년 과거 이야기[己亥科說] / 66
철파촌 집의 상서로움[鐵寓奇祥] / 67
병오년 과거의 꿈[丙午科夢] / 69
해생이 과거를 빼앗아 가다[亥生奪科] / 71
때맞춰 행운이 많다[時來幸多] / 74
학례강에 관한 이야기[學禮講說] / 77
회시에서 시권을 제출한 이야기[會試納券說] / 80
꿈에서 꽃과 서책[黃券]을 낚은 이야기[夢釣花券說] / 82
장도를 빌려준 이야기[見借粧刀說] / 83
창방에 관한 여러 이야기[唱榜諸說] / 85
강가 신선 이야기[江上神仙說] / 88
관 주인에 관한 이야기[館主人說] / 90
무신년(1728) 난리[戊申亂離] / 95
까치둥지의 기이한 징조[鵲巢奇徵] / 102
친히 식당에 대해 물으신 이야기[親問食堂說] / 103
발가락을 다친 용의 꿈[病指龍夢] / 109

손와만록 자서(自序) 사장(詞章) 제3 ... 113
꿈에 악양루를 오른 이야기[夢登岳陽樓說] / 113
시 때문에 화를 당한 이야기[?吟構禍說] / 115
별장(別章) 때문에 논책 당하다[別章被論] / 119
고란사 이야기[皐蘭寺說] / 121
고갯마루 무덤에 시를 짓다[嶺塚題詩] / 123

손와만록 자서(自序) 정분(情分) 제4 ... 127
심후와의 정분[沈侯情分] / 127
윤후와의 정분[尹侯情分] / 130
이후와의 정분[李侯情分] / 131
조후와의 정분[趙侯情分] / 135
조후와의 정분[曺侯情分] / 138
송후와의 정분[宋侯情分] / 142

손와만록 자서(自序) 잡저(雜著) 제5 ... 147
하룻밤에 다섯 마리 새끼를 옮긴 이야기[一夜運五雛說] / 147
손으로 딱따구리를 잡다[手執啄木鳥] / 149
도깨비불이 길을 비춰 준 이야기[鬼炬照路說] / 150
조개젓갈은 과연 시었다[蛤?果酸] / 151
의리 있는 화적 이야기[火賊有義說] / 152
연못의 신물[蓮池神物] / 154
어미 개의 충과 새끼의 효[母子犬忠孝] / 156
집을 옮겨 주시매 현후께 감사하다[移家感賢侯] / 158
허사동 꿈[虛寺洞夢] / 160
장례·병치레·혼사에서 감사함을 마음에 새기다[喪病婚銘感] / 163

부록: 원문

巽窩?錄 自序 觀政 第一 ... 171
觀星慮賑 172 / 執法不撓 173 / 不畏强禦 174 / 使令爭死 176 / 烏捉我願 177 / 憂愛得罪 177 / 祠堂大怒 180 / 緣木求魚 180 / 泣說爾德 182 / 奇事偶合 183 / 請退試日 184 / 轉屈爲榮 185 / 以死報效 186 / 替受民弔 188 / 龍淵別業 189

巽窩?錄 自序 科擧 第二 ... 191
沒風情科 191 / 丁亥科說 193 / 庚寅科說 194 / 甲午科說 197 / 壬寅科說 198 / 己亥科說 199 / 鐵寓奇祥 200 / 丙午科夢 200 / 亥生奪科 202 / 時來幸多 204 / 學禮講說 206 / 會試納券說 208 / 夢釣花券說 209 / 見借粧刀說 209 / 唱榜諸說 211 / 江上神仙說 212 / 館主人說 213 / 戊申亂離 216 / 鵲巢奇徵 220 / 親問食堂說 220 / 病指龍夢 223

巽窩?錄 自序 詞章 第三 ... 225
夢登岳陽樓說 225 / ?吟構禍說 226 / 別章被論 228 / 皐蘭寺說 229 / 嶺塚題詩 231

巽窩?錄 自序 情分 第四 ... 233
沈侯情分 233 / 尹侯情分 234 / 李侯情分 235 / 趙侯情分 237 / 曺侯情分 238 / 宋侯情分 239

選窩?錄 自序 雜著 第五 ... 241
一夜運五雛說 241 / 手執啄木鳥 242 / 鬼炬照路說 243 / 蛤?果酸 243 / 火賊有義說 244 / 蓮池神物 245 / 母子犬忠孝 247 / 移家感賢侯 247 / 虛寺洞夢 249 / 喪病婚銘感 251

찾아보기 / 253
Abstract / 257
발간사 / 259

저자소개

저자 김경천(金敬天, 1675~1765)은 경상도 의성의 향리 김효약(金孝躍)의 아들로 출생했는데 20세 때 의성현감 황응일(黃應一)에 의해 향리에서 벗어났고 다음 해 현감으로 온 이익저(李益著)에 의해 유자(儒者)가 되었다. 이후 책실(冊室) 신분으로 이익저를 보필하였고, 그가 자리를 옮길 때도 따라갔다. 이익저 사후에는 의성에 부임하는 여러 수령의 책실을 지냈다. 52세에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했고, 90세에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다. 허적(許積)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때 죽임을 당하는 와중에도 충성을 다했던 겸인(?人)을 다룬 한문소설 「염승전(廉丞傳)」의 작가로 알려져 있다.

도서소개

의성 선비 김경천의 잡록으로 읽는 조선후기 지방 지식인의 삶과 문화

이 책은 저자가 나이 팔십 중반이 되어 자신의 일생을 회고하며 특별히 기억할 만한 일들을 적었다. 여기에는 총 58편의 독립된 글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각각이 필기 작품으로서 손색없는 격을 갖추고 있다. 그래서 이 《손와만록》 번역본은 지금의 일반 독자도 흥미롭고 편안하게 읽어 나갈 수 있는 독서물이다. 《손와만록》에는 저자의 과거 이야기도 있고, 사랑 이야기도 있으며, 기이한 체험의 이야기도 있다. 이 이야기들은 나라의 공적인 기록이나 사대부의 투식에 매인 기록이 다 드러 내 보이지 못하는 부분을 곡진하고 생생한 필치로 그려내어 조선후기 생활사 와 미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김경천은 향리 출신으로서 평생 과거 공부에 매진하다 나이 쉰둘이 되어서야 진사시에 합격한 인물이기 때문에 과거에 관한 이야기가 매우 풍부하고 자세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