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약재 편람

한약재 편람

  • 한약재평가기술과학화연구사업단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4-12-10 출간
  • |
  • 799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88952113481
판매가

100,000원

즉시할인가

10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지원으로, 한약재 품질의 표준화 및 규격화 연구를 수행한 한약재 평가기술과학화연구사업단이 그동안의 연구성과 중 국내에서 의약품으로 활용 빈도가 높은 9종의 약재에 관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저술한 것이다. 9종의 한약재에 관한 화학적 고찰 및 약리 활성 고찰을 담아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련 학회:
대한약학회 www.psk.or.kr
한국생약학회 www.ksp.or.kr
한국약용작물학회 www.medcrop.or.kr
한국응용약물학회 www.ksap.or.kr

책속으로 추가

생쥐에 만성 스트레스(CUS, chronic unpredictable stress)로 인한 우울증을 유발하고 강제수영실험(forced swimming test)과 꼬리매달기실험(tail suspension test)을 실시하였을 때 TGP 투여 시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open-field test에서 운동력 활성을 촉진시키지 않았다. TGP 처리 시 생쥐의 뇌에서 monoamine 산화효소(oxidase)의 활성이 억제되었고, 환원형 GSH(glutathione)의 고갈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MDA(malondialdehyde) 생성이 억제되었다. 따라서 TGP는 생쥐 뇌에서 CUS로 인한 우울증과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 인한 손상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Mao et al., 2008; 2009a]. 또한 TGP(80, 160mg/kg)는 뇌 조직에서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피질층(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의 기능을 조절하고 뇌에서 유래된 신경영양인자(neurotrophic factor)와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의 발현을 증가시켜 항우울증 효과를 나타낸다[Mao et al., 2009b; 2010]. (458-459쪽)

GABAA 수용체의 benzodiazepine 결합부위에 대한 결합력은 Ki 값으로 baicalein이 13.1μM이고 oroxylin A의 경우가 14.6μM이다[Liao et al., 1998]. 그런데 oroxylin A가 혈관성 치매 모델의 하나인 양측 경동맥 폐쇄 마우스 모델에서 신경손상 억제와 기억력 감퇴 회복능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scopolamine이나 diazepam에 의한 기억력 감퇴를 회복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이러한 oroxylin A의 작용은 GABAA 수용체에 대하여 길항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어 GABAA 수용체에 대하여 효능약인 baicalein과 대조적이다[Kim et al., 2006a; 2007]. 또한 amyloid β 단백질에 의한 뇌손상도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Kim et al., 2008]. (624쪽)

기존 연구결과 후박은 근육 이완?진정 작용이 있으며, 특히 magnolol은 비탈분극성 근육이완제로 알려졌다. 중추신경 억제작용도 있으나 임상응용 시 용량, 투여방법에 따라 각기 그 작용이 다르게 나타나 뚜렷한 근육이완 작용을 보이지는 않는다고 알려졌다. 마취된 쥐의 관상 폐쇄 급성 시 magnolol과 honokiol은 항부정맥 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며, magnolol의 항혈소판제 역할은 내피세포유래 평활근 이완인자(EDR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의 분비와 전위의존적 칼슘채널(VGCC, voltage gated calcium channel)을 통한 칼슘의 influx를 억제하기 때문임이 밝혀졌다. Honokiol의 경우 산화된 LDL(low densty lopoprotein)이 유도하는 세포독성(cytotoxicity), ROS(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세포자멸사(apoptosis)와 같은 다양한 독성 반응들을 막음으로써 동맥경화적 혈관 질환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또한 NO(nitric oxide) 생성을 자극하여 동맥의 혈전증 억제자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도 알려졌다. (699쪽)

목차

머리말

Glycyrrhizae Radix(감초)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지하부의 성분
2) 지상부의 성분
5. 감초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감초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LC-MS/MS를 이용한 감초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감초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1) Glycyrrhetinic acid(GA)에 대한 biomarker
2) Glycyrol(GC)에 대한 biomarker
3) 생리 활성 성분에 의하여 변화하는 유전자
8. 총론

참고문헌


Salviae Miltiorrhizae Rhizoma(단삼)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Phenol성 화합물
2) Triterpenoid 성분
3) 기타 성분
5. 단삼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단삼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2) HPLC-MS/MS를 이용한 단삼 지표성분의 동시분석법
3) 단삼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Angelicae Gigantis Radix(당귀)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90
1) 지하부의 성분
2) 지상부의 성분
5. 당귀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DAD를 이용한 당귀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LC-ESI/MS를 이용한 당귀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당귀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4) 당귀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3) 약리 활성 고찰 및 요약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Schisandrae Fructus(오미자)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5. 오미자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오미자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MS를 이용한 오미자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오미자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 주성분의 약리 활성
3) 약리 활성 고찰 및 요약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1) 오미자의 항암 효과
2) 오미자의 신경세포보호 효과
3) 오미자의 간세포보호 효과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1) 부작용
2) 독성
3) 주의사항
9. 총론

참고문헌


Evodiae Fructus(오수유)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Alkaloids
2) Anthraquinone
3) Flavonoids
4) Triterpene
5) Limonoids
6) Phytosterol
7) 기타
5. 오수유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에 의한 오수유 알칼로이드의 동시분석법
2) LC-MS/MS에 의한 오수유 알칼로이드의 동시분석법
3) 오수유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Paeoniae Radix(작약)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Monoterpene and monoterpene glycoside
2) Triterpenoid 성분
3) Tannins
4) Phenolic compounds
5) 기타
6) 약용부위인 뿌리 이외의 부위에서 분리된 화합물들
5. 작약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작약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MS를 이용한 작약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작약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작약에 함유된 총배당체의 약리 활성
3)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Ponciri Fructus(지실)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5. 지실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지실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MS를 이용한 지실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지실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3) 지표성분 및 함량
7. 지실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1) 지실 활성 유효 성분들의 확보
2) 한약재 유효 활성 성분에 대한 과학화 연구의 실험 접근방법
3) 각 활성 유효 성분에 대한 microarray 실시 및 결과 분석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Scutellariae Radix(황금)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Flavonoids
2) Aliphatic
3) α-Pyrone
4) γ-pyrone
5) Steroid
6) Monoterpenoid
7) Sesquiterpenoid
8) Diterpenoid
9) Amino acid
10) Phenylpropanoid
11) Benzenoid
12) Lipid
13) Nitrogen
14) Oxygen
15) Miscellaneous
5. 황금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황금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MS를 이용한 황금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황금의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지표성분 및 함량
8.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9. 총론

참고문헌


Magnoliae Cortex(후박)

1. 정의 및 기원
2. 기원식물
3. 한방에서의 용도
4. 함유성분
1) Lignan 및 lignan 배당체
2) Alkaloid
3) 일본산 후박의 함유성분
5. 후박의 지표성분 동시분석법 설정
1) HPLC-UV를 이용한 후박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2) HPLC-MS를 이용한 후박 지표성분의 동시정량법
3) 후박 지표성분 함량기준 설정
6. 약리 활성
1) 추출물의 약리 활성
2) 함유성분의 약리 활성
7. 약리작용의 효능 유전자 분석
1) 후박유래물질 항암 효과
2) 후박유래물질 신경세포보호 효과
8. 부작용 등 특이사항
9. 총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록
화합물명(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강삼식(서울대학교)
강종성(충남대학교)
김영식(서울대학교)
김영호(충남대학교)
김진웅(서울대학교)
김현표(강원대학교)
류종훈(경희대학교)
문동철(충북대학교)
민병선(대구가톨릭대학교)
배기환(충남대학교)
서은경(이화여자대학교)
손건호(안동대학교)
손종근(영남대학교)
신종헌(서울대학교)
우미희(대구가톨릭대학교)
이강노(성균관대학교)
이동호(고려대학교)
이상국(서울대학교)
이선미(성균관대학교)
이승호(영남대학교)
장기철(경상대학교)
정원윤(연세대학교)
정재훈(삼육대학교)
정춘식(덕성여자대학교)
최재수(부경대학교)
한상범(중앙대학교)
홍종기(경희대학교)

편집 저자
구연경(서울대학교)

사진 제공
배기환(충남대학교)
이제현(동국대학교)

도서소개

[한약재 편람]은 한약재 품질의 표준화 및 규격화 연구를 수행한 한약재 평가기술과학화연구사업단이 그동안의 연구성과 중 국내에서 의약품으로 활용 빈도가 높은 9종의 약재에 관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저술한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