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창구객일 연구

창구객일 연구

  • 이병갑 (편저)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4-12-08 출간
  • |
  • 670페이지
  • |
  • 216 X 305 X 21 mm
  • |
  • ISBN 9788952114099
판매가

45,000원

즉시할인가

4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선 숙종시대 밀암 이재가 쓴 유배일기 《창구객일》을 문헌학, 문학, 사학, 철학, 정치행정학 분야에서 심도 있게 분석한 연구서

《창구객일》은 조선 숙종시대의 정치적 격변 속에서 남인의 한 피화자(被禍者)로서의 처지를 드러낸 일기로서, 당대의 노론 시각에서 기술된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의 내용을 보완 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창구객일》의 존재가 학계에 알려진 지 오래되었음에도 지금까지 이를 분석한 연구성과는 미미하였다. 이 책 《창구객일 연구》는 《창구객일》의 저자인 밀암 이재와 유배의 당사자인 갈암 이현일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창구객일》의 사료적·문학적 가치, 더 나아가 17세기 기사·갑술환국을 전후한 조선의 사회양상 및 정치과정을 흥미롭게 분석하고 있는 학제적 연구서이다.

출판사 서평
조선 숙종시대 당쟁 피화자(被禍者)의 해명논리를 담은 유배일기 《창구객일》에 대한 본격적·학제적 연구서


《창구객일》은 퇴계학의 적통을 계승한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셋째 아들인 밀암 이재가 갑술정변 이후 갈암이 유배될 때에 시종하며 보고 느낀 것을 기록한 일기이다.
우선 갑술정변은 한국사에서 정치·행정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다. 정변 이후 서인의 일당 전제정치가 성립되고, 남인은 정치적 타격을 입어 재야세력으로 전락하여 정계진출은 좌절된다. 《창구객일》은 이 시기 영남 남인의 영수였던 갈암 이현일의 유배를 그의 아들이 직접 시종하며 기록한 일기이다. 명의죄인(名義罪人: 명분과 의리에 관련된 죄인, 이현일은 1690년 인현왕후보호소를 올리는데 도리어 국모에 대한 불경으로 간주되었다)으로 낙인되어 유배지를 떠돌던 아버지의 시종기록인 이 일기는 정연한 논리와 투박하지 않은 필치로 당대 정치 행태와 자기 집안의 억울한 처지를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갑술환국을 전후한 시기의 정치상황을 바라보는 남인의 시각을 담아내고 있어서 집권세력인 노론 시각에서 기술된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의 내용을 보완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게다가 현존하는 많은 유배 일기가 저자 자신의 유배생활을 직접 기록한 것임에 반하여 《창구객일》은 타자가 기록한 유배 일기라는 점에서 문학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이 책 《창구객일 연구》는 《창구객일》의 이러한 학술적 가치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학제적 연구서로서 사학자, 문학자, 철학자, 정치행정학자 총 11인의 필진이 참여하였다.
제1부는 밀암 이재의 학문에 대한 논의로서, “밀암의 생애, 저술, 성리학설, 강학활동과 문인에 대한 연구” 내용을 담았고, 제2부는 《창구객일》의 문헌적·문학적 가치를 논의한 것으로 “《창구객일》의 저술 배경과 자료적 가치, 《창구객일》에 들어있는 시편(詩篇)에 대한 고찰”을 담고 있다. 제3부와 제4부는 《창구객일》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의 사회 양상 및 정치과정을 논의한 부분으로, 각각 “갈암의 유배와 밀암의 시종생활, 유배길 체험과 기록”, “당대 정국에 대한 밀암의 인식, 정파 간의 정책갈등 분석”을 담고 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숙종조 기사·갑술환국을 전후한 시기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추이뿐만 아니라, 17세기 당쟁 극점 시기에 정치적 피화자(被禍者)로서의 이현일과 이재라는 두 인물을 통해 당대 지성인의 삶의 방식과 정치적 행동 양식을 생생하게 엿볼 수 있다.

목차

간행사

제1부 밀암(密菴) 이재(李栽)의 학문에 대한 담론
제1장 밀암 이재의 생애와 저술_전병욱
1. 머리말
2. 밀암의 생애
3. 문학적 성취와 그 관련 저술
4. 일용공부(日用工夫)와 그 관련 저술
5. 사칠이기(四七理氣) 논변과 그 관련 저술
6. 위정(爲政)과 그 관련 저술
7. 맺음말
제2장 밀암 이재의 성리설_문석윤
1. 머리말
2. 이기론(理氣論)
3. 심성론(心性論)
4. 수양론(修養論)
5. 맺음말
제3장 밀암 이재의 강학활동과 문인들_안병걸
1. 머리말
2. 밀암의 삶과 강학활동
3. 밀암의 종유문인들
4. 주요 종유문인과의 서신 교환
5. 맺음말

제2부《창구객일》의 문헌적?문학적 가치
제4장 《창구객일》의 저술 배경과 자료적 가치_김학수
1. 머리말
2. 문헌적 고찰
3. 저술의 배경과 자료적 가치
4. 맺음말
제5장 《창구객일》 소재 시편(詩篇) 소고_김언종
1. 머리말
2. 밀암 이재의 시
3. 갈암 이현일?창설재 권두경?고산 윤선도의 시
4. 맺음말

제3부《창구객일》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의 사회 양상
제6장 《창구객일》을 통해 본 갈암의 유배와 밀암의 시종생활_정진영
1. 머리말
2. 갑술환국 전후의 정국과 갈암의 유배
3. 머나먼 여정, 유배길의 고초
4. 갈암의 유배생활과 밀암의 시종생활
5. 내방인사(來訪人士)와 지원물품
6. 맺음말
제7장 《창구객일》에 나타난 유배길 체험과 기록_박현순
1. 머리말
2. 형승에 대한 기록
3. 고사(故事)와 사적(史蹟)의 기록
4. 조보(朝報)의 열람과 필사
5. 맺음말

제4부《창구객일》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의 정치과정
제8장 《창구객일》을 통해 본 당대 정국에 대한 밀암의 인식_정만조
1. 머리말
2. 부친 피나(被拿) 소식과 그 반응
3. 유배 배종(陪從)시의 정보 수집
4. 부친 국문(鞫問)시의 정세 분석
5. 부친 찬배(竄配)시의 정보 정리
6. 맺음말
제9장 《창구객일》을 통해 본 정파 간의 정책갈등 분석_이병갑
1. 머리말
2. 이론적?제도적 배경과 분석의 틀
3. 《창구객일》에 등장하는 인물의 정파 구분
4. 체제유지정책과정에서의 정책갈등 분석
5. 교육?문화정책과정에서의 정책갈등 분석
6. 맺음말

<부록> 1 《밀암연보》 초략과 동서양의 주요 사건_권경열
<부록> 2 《창구객일》 원문 표점의 원칙과 실례_권경열
<부록> 3 《창구객일》 원문 표점_이용구, 권경열
찾아보기(인명?서명?지명?관명?사항)

저자소개

저자 이병갑 (편저)는 1951년 경북 안동 출생으로 영남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朝鮮朝의 政策決定過程에 있어서 利益葛藤: 17?18世紀 南人과 西人(특히 老論) 간의 關係를 中心으로”라는 논문으로 행정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안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작은 政府를 위한 官僚制》(공저)와 《한국의 정치학: 현황과 전망》(공저), 《밀암이재연구》(공저)가 있고, 논문은 “체제유지 정책과정에서 정파 간의 이익갈등분석: 16세기 붕당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朝鮮朝의 政策過程에 있어서 利益葛藤 分析: 16世紀 東人과 西人간의 關係를 中心으로”, “政策過程에 있어서 利益表出: 헝가리의 境遇” 외 다수가 있다. 주된 관심분야는 한국 행정사, 유가정치 행정사상, 이익집단이다.

도서소개

《창구객일》은 퇴계학의 적통을 계승한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셋째 아들인 밀암 이재가 갑술정변 이후 갈암이 유배될 때에 시종하며 보고 느낀 것을 기록한 일기이다. 우선 갑술정변은 한국사에서 정치·행정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다. 정변 이후 서인의 일당 전제정치가 성립되고, 남인은 정치적 타격을 입어 재야세력으로 전락하여 정계진출은 좌절된다. 《창구객일》은 이 시기 영남 남인의 영수였던 갈암 이현일의 유배를 그의 아들이 직접 시종하며 기록한 일기이다. 명의죄인(名義罪人: 명분과 의리에 관련된 죄인, 이현일은 1690년 인현왕후보호소를 올리는데 도리어 국모에 대한 불경으로 간주되었다)으로 낙인되어 유배지를 떠돌던 아버지의 시종기록인 이 일기는 정연한 논리와 투박하지 않은 필치로 당대 정치 행태와 자기 집안의 억울한 처지를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