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중국 한시

중국 한시

  • 송용준 (주해)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4-10-25 출간
  • |
  • 624페이지
  • |
  • 155 X 220 X 36 mm
  • |
  • ISBN 9788952115775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송용준 교수와 함께 떠나는 한시 기행

송용준 교수(서울대학교 중문학과)가 30년간 중국시를 연구하고 가르쳐 온 시간이 오롯이 새겨져 있는 책 『중국한시』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에서 출간되었다. 문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핵심 과제로 삼고 ‘문명이해의 지평을 넓힌다’는 취지 아래 시작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문명지평총서’의 첫 권으로 발간된 이 책은, 깊이 있는 번역과 자세한 해설로 독자들에게 깊이 있는 한시 감상의 길잡이가 되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대(漢代)부터 청대(淸代)까지 각 조대를 대표하는 한시 250여 수를 선별하여
주석과 설명을 수록한, 깊이 있는 한시 감상을 위한 길잡이


중국 한대(漢代)에서 청대(淸代)에 이르는 2,100여 년 동안 중국인들이 창작하여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는 한시는 어림잡아 100만 수가 넘기 때문에 평생을 읽어도 일독이 어려울 정도다. 사정이 이러하니 중국 한시를 읽고 연구하여 가치를 판단하고 위상을 자리매김하여 그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리 없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몇몇 대가들이 『중국시사(中國詩史)』를 써내기도 했지만 아직 만족스러운 수준은 아니며, 우리나라에서도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중국 한시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띠었지만 아직 『중국시사』 같은 저작은 나와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대부터 청대까지 2천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중국 사회과 통일과 분열을 반복하면서 시의 역사도 복잡하게 전개되어 한시사(漢詩史)의 핵심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일은 쉽지 않다. 송용준 교수는 이 책의 첫 부분에서 그동안 축적된 한국과 중국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대에서 청대에 이르는 중국 한시의 흐름을 개괄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중국 한시의 복잡다단한 길을 헤매지 않고 산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 각 조대를 대표할 수 있는 시인과 시를 선별하여 독자들이 중국 한시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석과 해설을 상세하고 친절하게 달았다.

목차

해제│중국 한시의 감상을 위하여
ㆍ팔대시(八代詩)의 전개 과정
ㆍ당시(唐詩)의 형성 과정
ㆍ송시(宋詩)의 형성 과정
ㆍ원명시(元明詩)의 전개 과정
ㆍ청시(淸詩)의 전개 과정

한대시
ㆍ東門行(동문의 노래)
ㆍ戰城南(성곽의 남쪽에서 싸웠지요)
ㆍ上邪(하늘이여)
ㆍ垓下歌(해하가)
ㆍ大風歌(대풍가)
ㆍ秋風辭(추풍사)
ㆍ行行重行行(가고 가고 또 가고 가니)
ㆍ?? 牽牛星(아득히 멀리 있는 견우성)
ㆍ凜凜歲云暮(쌀쌀한 가운데 한 해는 저물고)
ㆍ上山采靡蕪(산에 올라가 궁궁이 싹을 캐고서)
ㆍ十五從軍征(열다섯에 징집되어 군대 갔다가)
ㆍ步出城東門(성의 동쪽 문으로 걸어 나가서)


위진남북조 시
ㆍ채염(蔡琰): 悲憤詩(슬픔과 한)
ㆍ조조(曹操): 短歌行(단가행)
ㆍ조비(曹丕): 燕歌行(연가행)
ㆍ조식(曹植): 贈徐幹(서간께 드리다) | 七哀詩(칠애시) | 白馬篇(백마편)
ㆍ유정(劉楨): 贈從弟三首(사촌 동생에게 주다)
ㆍ완적(阮籍): 詠懷(회포)
ㆍ좌사(左思): 詠史其一(영사 제1수)
ㆍ도연명(陶淵明): 歸園田居其一(전원으로 돌아와 제1수) | 讀山海經其一(『산해경』을 읽으며 제1수) | 飮酒(음주) | 形影神三首幷序(몸과 그림자와 정신 3수 및 서문) | 詠荊軻(형가를 노래하며) | 桃花源詩幷記(도화원 시와 기문)
ㆍ子夜歌三首(자야가)
ㆍ隔谷歌(격곡가)
ㆍ사영운(謝靈運): 登池上樓(못가의 누각에 올라)
ㆍ포조(鮑照): 擬行路難其一(《행로난》을 본떠서 제1수) | 擬古其六(고시를 본떠서 제6수)
ㆍ육개(陸凱): 贈范曄(범엽에게)
ㆍ사조(謝?): 之宣城郡出新林浦向板橋(선성군에 가려고 신림포를 나와서 판교를 향해 가다가)
ㆍ오균(吳均): 贈王桂陽(왕계양께)
당시
ㆍ노조린(盧照隣): 長安古意(장안에서 옛일을 생각하며)
ㆍ낙빈왕(駱賓王): 在獄詠蟬(옥중에서 매미 소리를 듣고)
ㆍ왕발(王勃): 送杜少府之任蜀州(촉주로 부임하는 두 소부를 전송하며)
ㆍ하지장(賀知章): 回鄕偶書其一(고향으로 돌아와서 제1수)
ㆍ진자앙(陳子昻): 登幽州臺歌(유주의 누대에 올라) | 感遇(살아가며 보고 느낀 것)
ㆍ두심언(杜審言): 渡湘江(상강을 건너며) | 和晉陵陸丞早春遊望(진릉현승 육씨의 《이른 봄나들이》에 화답하여) | 夏日過鄭七山齋(여름날 정칠의 산중 서재에 들러서)
ㆍ송지문(宋之問): 渡漢江(한강을 건너며) | 陸渾山莊(육혼산의 산장)
ㆍ심전기(沈佺期): 雜詩四首其四(잡시 제4수) | 古意呈補闕喬知之(옛 시의를 본떠 보궐 교지지께 드림)
ㆍ장열(張說): 蜀道後期(촉도후기) | 送梁六自洞庭山作(양륙을 전송하며 동정산에서 짓다)
ㆍ장약허(張若虛): 春江花月夜(봄 강의 꽃피고 달 밝은 밤)
ㆍ장구령(張九齡): 望月懷遠(달밤에 임 그리며)
ㆍ왕만(王灣): 次北固山下(북고산 아래서 묵으며)
ㆍ왕한(王翰): 凉州詞(양주사)
ㆍ왕지환(王之渙): 登? 雀樓(관작루에 올라)
ㆍ맹호연(孟浩然): 春曉(봄날 아침) | 宿建德江(건덕강 가에 묵으며)
ㆍ왕창령(王昌齡): 閨怨(젊은 아낙의 회한) | 從軍行其四(종군의 노래 제4수) | 出塞(변경으로 나가서)
ㆍ조영(祖?): 終南望餘雪(종남산에 쌓인 눈을 바라보며)
ㆍ상건(常建): 題破山寺後禪院(파산사 뒤의 암자)
ㆍ왕유(王維): 雜詩(고향의 매화) | 鹿柴(사슴 울짱) | 山居秋暝(가을 저녁 산속 거처에서)
ㆍ이백(李白): 獨坐敬亭山(홀로 경정산에 앉아) | 山中問答(산속에 사는 이유) | 山中與幽人對酌(산속에서 은자와 대작하며) | 玉階怨(달빛 아래 섬돌에서의 한) | 月下獨酌四首其一(달빛 아래 홀로 술 마시며 제1수) | 將進酒(술 한잔 받으시게)
ㆍ최호(崔顥): 黃鶴樓(황학루)
ㆍ유장경(劉長卿): 尋南溪常山道人隱居(상산도인의 은거지를 찾아)
ㆍ두보(杜甫): 月夜(달밤) | 旅夜書懷(밤배 타고 가는 나그네) | 送路六侍御入朝(조정으로 들어가는 노 시어를 전송하며) | 春望(봄날 장안성을 바라보며) | 秋興八首(가을을 맞아 심경을 토로하다) | 登高(높은 곳에 올라) | 江漢(장강과 한수) | 石壕吏(석호의 관리) | 茅屋爲秋風所破歌(초가가 가을바람에 파괴되어)
ㆍ잠삼(岑參): 山房春事(산에서의 봄맞이)
ㆍ장계(張繼): 楓橋夜泊(풍교에서 묵으며)
ㆍ전기(錢起): 省試湘靈鼓瑟(진사 시험 제목 ‘상수의 영령이 슬을 타다’)
ㆍ위응물(韋應物): ? 州西澗(저주의 서쪽 시냇가에서)
ㆍ맹교(孟郊): 遊子吟(집 떠난 나그네)
ㆍ한유(韓愈): 左遷至藍關示姪孫湘(좌천 길에 남관에 이르러 종손 상에게) | 落齒(빠지는 이)
ㆍ장적(張籍): 秋思(가을에 이는 그리움)
ㆍ유우석(劉禹錫): 秋詞(가을 노래) | 烏衣巷(오의항)
ㆍ백거이(白居易): 問劉十九(여보게 한잔 어떠신가) | 大林寺桃花(대림사의 복사꽃) | 感情(정을 느껴서) | 杜陵?(두릉의 노인)
ㆍ유종원(柳宗元): 江雪(눈 내리는 강) | 溪居(시냇가에 살며)
ㆍ가도(賈島): 尋隱者不遇(만나지 못한 은자)
ㆍ이하(李賀): 秋來(가을을 맞이하여) | 夢天(꿈에 하늘에서)
ㆍ두목(杜牧): 山行(산행) | 贈別(그대를 떠나며) | 九日齊山登高(중양절 제산에 올라)
ㆍ이상은(李商隱): 夜雨寄北(밤비 내리는 날 북녘의 그대에게) | 錦瑟(지난 세월) | 無題(무제)
ㆍ온정균(溫庭筠): 商山早行(상산의 새벽 길)
송시
ㆍ왕우칭(王禹?): 日長簡仲咸(긴긴 날 중함에게 보내는 편지) | 村行(시골길)
ㆍ임포(林逋): 山園小梅(동산의 작은 매화)
ㆍ양억(楊億): 南朝(남조)
ㆍ범중엄(范仲淹): 江上漁者(강 위의 어부)
ㆍ유영(柳永): 煮海歌(바닷물 달이는 노래)
ㆍ안수(晏殊): 寓意(마음을 기탁하며)
ㆍ송기(宋祁): 落花二首其一(낙화 제1수)
ㆍ매요신(梅堯臣): 陶者(기와 굽는 이) | 魯山山行(노산의 산길) | 悼亡三首其一(죽은 아내를 애도하며 제1수) | 八月九日晨興如厠有鴉啄?(8월 9일 새벽에 일어나 변소에 갔더니 까마귀가 구더기를 쪼아 먹고 있었다)
ㆍ구양수(歐陽修): 戱答元珍(정보신에게 장난삼아 답하여) | 學書二首其二(서예를 익히다가 제2수) | 明妃曲和王介甫(왕안석의 〈명비곡〉에 화답하여)
ㆍ소순흠(蘇舜欽): 淮中晩泊犢頭(회하 여행 중 날이 저물어 독두에 배를 대고) | 慶州敗(경주에서의 패배)
ㆍ소옹(邵雍): 首尾吟其七十八(수미음 제78수)
ㆍ왕안석(王安石): 書湖陰先生壁二首其一(호음선생 댁 벽에 쓰다 제1수) | 泊船瓜洲(과주에 배를 대고) | 强起(억지로 일어나서)
ㆍ왕영(王令): 暑旱苦熱(여름 가뭄의 고통스런 더위)
ㆍ소식(蘇軾): 和子由? 池懷舊(자유의 〈면지회구〉시에 화답하여) | 潁州初別子由二首其二(영주에서 자유와 이별하며 제2수) | 出潁口初見淮山是日至壽州(영구를 떠난 후 비로소 회산이 보이니 오늘 수주에 도착하겠다) | 小兒(어린아이) | 寒食雨(한식날의 비) | 題西林壁(서림사 벽에 쓰다)
ㆍ황정견(黃庭堅): 和答錢穆父詠猩猩毛筆(전협의 〈성성모필〉시에 화답하여) | 次韻裴仲謀同年(동기생 배중모의 시에 차운하여) | 雙井茶送子瞻(쌍정차를 자첨께 보내며) | 次韻子瞻和子由觀韓幹馬因論伯時畵天馬(자첨이 자유의 〈한간이 그린 말을 보고〉시에 화답한 것에 차운하여 이공린이 그린 천마를 논함)
ㆍ진관(秦觀): 春日五首其二(봄날 제2수)
ㆍ진사도(陳師道): 別三子(아들딸과 이별하고) | 絶句四首其四(세상사 제4수) | 春懷示隣里(춘심을 써서 이웃에게 보이다)
ㆍ진여의(陳與義): 襄邑道中(양읍 가는 길에) | 雨晴(비가 개서) | 登岳陽樓二首其一(악양루에 올라 제1수)
ㆍ육유(陸游): 夜讀兵書(밤에 병서를 읽다가) | 乾明院觀畵(건명원에서 그림을 보고) | 沈園二首(심원) | 示兒(아들들에게)
ㆍ범성대(范成大): 催租行(세금 독촉의 노래) | 春日田園雜興十二絶其二(춘일전원잡흥 제2수) | 秋日田園雜興十二絶其九(추일전원잡흥 제9수)
ㆍ양만리(楊萬里): 湖天暮景(호수의 석양) | 桑茶坑道中八首(상다갱의 길 가운데서) | 道傍店(길옆 가게)
ㆍ주희(朱熹): 觀書有感二首其一(책을 보다가 느낌이 일어서 제1수)
ㆍ유극장(劉克莊): 戊辰卽事(무진년의 즉흥시)
ㆍ문천상(文天祥): 正氣歌(정기가)

원명시
ㆍ원호문(元好問): 岐陽三首其二(기산의 남쪽 제2수) | 遊黃華山(황화산 유람) | 論詩三十首其二十六(논시 제26수)
ㆍ유인(劉因): 白溝(백구) | 半世(반평생)
ㆍ조맹부(趙孟?): 岳鄂王墓(악왕 악비의 묘)
ㆍ게혜사(揭? 斯): 別武昌(무창을 떠나며)
ㆍ양유정(楊維楨): 西湖竹枝歌其四(서호죽지가 제4수) | 鴻門會(홍문에서의 연회) | 花游曲(꽃놀이 노래)
ㆍ살도랄(薩都剌): 西湖絶句六首其四(서호에서 제4수) | 芙蓉曲(연꽃)
ㆍ고계(高啓): 得家書(아내의 편지를 받고) | 梅花九首其一(매화 제1수) | 賣花詞(꽃 사세요) | 我愁(나의 슬픔)
ㆍ이동양(李東陽): 夜過邵伯湖(밤에 소백호를 지나며) | 南? 秋風(남유의 가을바람) | 重經西涯(거듭 서애를 지나며)
ㆍ이몽양(李夢陽): 夏登? 城東樓(여름날 변성의 동쪽 누각에 올라) | 遊金山其一(금산에 가서 제1수) | 述憤十七首其十一(번민을 술회하며 제11수)
ㆍ서정경(徐禎卿): 濟上作(제수 가에서)
ㆍ하경명(何景明): 答望之三首其一(매부 망지에게 제1수)
ㆍ양신(楊愼): 興敎寺海棠(흥교사 해당화) | 武侯廟(무후 제갈양의 사당)
ㆍ사진(謝榛): 秋興四首其四(가을에 이는 감흥 제4수)
ㆍ이반룡(李攀龍): 與元美登郡樓(원미와 함께 군루에 올라) | 白雪樓(백설루) | 古詩後十九首其二(고시후십구수 제2수)
ㆍ서위(徐渭): 春日過宋諸陵(봄날 송의 여러 황릉을 찾아가서)
ㆍ왕세정(王世貞): 寄于鱗(우린에게) | ? 孫太初墓(손일원의 묘에 술을 따르며) | 戚將軍贈寶劍二首其一(척 장군이 보검을 주시어 제1수)
ㆍ원굉도(袁宏道): 聞省城急報(우리 무창성의 급보를 듣고)
ㆍ종성(鐘惺): 江行俳體其二(장강을 지나가며 유희체로 제2수)
ㆍ담원춘(譚元春): 甁梅(화병 속의 매화)


청시
ㆍ전겸익(錢謙益): 河間城外柳二首其一(하간성 밖의 버드나무 제1수) | 無花(꽃도 없이) | 和盛集陶落葉其二(성집도의 〈낙엽〉? 시에 화답하여 제2수) | 西湖雜感二十首其三(서호에서의 감회 제3수)
ㆍ오위업(吳偉業): 梅村(매화 마을) | 自歎(스스로를 한탄하다) | 圓圓曲(진원원의 노래)
ㆍ고염무(顧炎武): 秋山二首其一(가을 산 제1수)
ㆍ주이준(朱? 尊): 來靑軒(내청헌) | 雲中至日(운중의 동지) | 玉帶生歌(옥대생의 노래)
ㆍ굴대균(屈大均): 塞上感懷(변새에서의 감회)
ㆍ왕사진(王士?): 秦淮雜詩十四首其一(진회에서 지은 잡시 제1수) | 秋柳四首其一(가을 버드나무 제1수) | 曉雨後登燕子磯絶頂(새벽 비 내린 후에 연자기 꼭대기에 올라)
ㆍ사신행(査愼行): 渡百里湖(백리호를 건너다) | 重過齊天坡(다시 제천파를 지나며) | 舟夜書所見(밤에 배에서 본 것을 적다)
ㆍ조집신(趙執信): ? 入城行(성에 들어간 농부)
ㆍ심덕잠(沈德潛): 月夜渡江(달밤에 장강을 건너며)
ㆍ여악(??): 曉登韜光絶頂(새벽에 도광사 산정에 올라) | 歸舟江行望燕子磯作(장강을 따라 돌아오는 배에서 연자기를 바라보며)
ㆍ정섭(鄭燮): 偶然作(우연히 짓다) | 揚州四首其三(양주 제3수)
ㆍ원매(袁枚): 苔(이끼) | 馬嵬四首其二(마외 제2수) | 詠錢(돈을 노래하다)
ㆍ장사전(蔣士銓): 漂母祠(빨래 아낙의 사당)
ㆍ조익(趙翼): 論詩其三(시를 논하다 제3수) | 後園居詩其四(다시 쓴 《원거》시 제4수)
ㆍ옹방강(翁方綱): 望羅浮(나부산을 바라보며)
ㆍ황경인(黃景仁): ? 陽杜子美墓(뇌양의 두보 묘에서) | 都門秋思其三(도문에서의 가을 생각 제3수) | 癸巳除夕偶成二首(계사년 섣달 그믐밤에 우연히 쓰다)
ㆍ공자진(? 自珍): 詠史(영사) | 己亥雜詩其五(기해잡시 제5수)
ㆍ황준헌(黃遵憲): 雜感五首其二(이런저런 생각 제2수) | 紀事八首其三(대통령 선거를 기술하다 제3수)

찾아보기(작가)
찾아보기(작품)
문명총서 발간사

저자소개

저자(주해) 송용준(宋龍準)은 1952년에 태어나 197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중어중문학과에 입학하였고, 졸업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고전시가를 전공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과 중국사회과학원 등에서 연구하였고,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장과 HK문명연구사업단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중국고전시가를 강의하고 있다. 『송시사(宋詩史)』(공저), 『송시선(宋詩選)』(공편), 『중국시율학(中國詩律學)』, 『소순흠시역주(蘇舜欽詩譯註)』, 『구북시화(?北詩話)』, 『도화선(桃花扇)』, 『진관사연구(秦觀詞硏究)』, 『당송사사(唐宋詞史)』(공역), 『중국어 어법 발전사』(공역) 등의 책과 「당시형성과정연구」, 「송시형성과정연구」, 「북송사론연구」, 「이색(李穡)시의 송시 수용과 그 극복」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도서소개

『중국 한시』는 그동안 축적된 한국과 중국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대에서 청대에 이르는 중국 한시의 흐름을 개괄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중국 한시의 복잡다단한 길을 헤매지 않고 산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 각 조대를 대표할 수 있는 시인과 시를 선별하여 독자들이 중국 한시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석과 해설을 상세하고 친절하게 달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