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부 제1차 세계대전과 전체주의국가의 대두
제1장 현대사회의 기점으로서 제1차 세계대전
1. 세계대전
세계대전의 발발│전쟁의 상처
2. 총력전 체제
프랑스의 신성연합│독일의 ‘성내평화’│영국의 전시 내각│미국의 전시통제 정책│
러시아의 통제 정책│전시하의 준독재
3.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
미국의 참전│전쟁 중 윌슨의 외교정책
4. 독일의 패전과 휴전 교섭
독일의 패전│휴전 교섭
5. 베르사유 강화조약
베르사유 강화조약의 체결│케인즈의 강화조약에 대한 비판
제2장 러시아혁명
1. 러시아혁명의 배경
차르 체제와 전쟁
2. 2월 혁명
혁명의 발생│레닌의 귀국과 ‘4월 테제’│케렌스키 내각
3. 10월 혁명
혁명의 과정│소비에트 정권의 과제
4. 소련의 정치문화
레닌의 전제정치│스탈린의 독재체제
5. 레닌의 경제정책
레닌에 의한 러시아 공업 촉진책│독일의 ‘국가자본주의’와 레닌의 경제관
제3장 이탈리아의 무솔리니와 파시즘
1. ‘붉은 2년’과 ‘검은 2년’
승전국 이탈리아의 불만│이탈리아의 사회주의 운동
2. 무솔리니의 등장
무솔리니의 정치적 입장│농촌 파시즘 운동과 무솔리니│파시스트당의 결성│
로마진군과 무솔리니의 집권│무솔리니의 독재체제
제4장 바이마르공화국의 성립과 히틀러
1. 독일혁명
11월 혁명의 발생│혁명세력의 등장│수병의 반란
2. 바이마르공화국
공화국의 성립│공화국의 정치적 동요
3. 히틀러의 대두와 나치체제의 성립
히틀러의 대두│나치당의 탄생과 확산│나치당의 사회적 성격│공화국 말기 히틀러의 정치적 활동│
히틀러의 폭동과 나치당의 재건│
바이마르공화국의 쇠퇴―허울뿐인 상대적 안정기(1924~1929)
4. 공화국의 해체 과정
브뤼닝 내각과 슈라이허의 암약│파펜 내각
5. 히틀러의 권력장악
나치의 당세 확장│슈라이허 내각│히틀러의 집권│히틀러의 대외 정책
제5장 대공황과 미국의 뉴딜 정책
1. 세계 경제 대공황
월가의 주식 폭락│공황의 확산
2. 루즈벨트의 뉴딜 정책
공황의 극복책│후기 뉴딜 정책
제2부 간전기(間戰期)의 세계
제6장 간전기의 유럽
1. 간전기의 영국
간전기 영국의 정치│간전기 영국의 경제│간전기 영국 사회
2. 간전기의 프랑스
간전기 프랑스의 정치와 경제│프랑스의 인민전선
3. 간전기의 스페인
간전기 스페인의 정치│인민전선의 성립과 스페인전쟁
4. 간전기의 평화 모색과 좌절
로카르노조약을 통한 평화의 모색│국제연맹의 역할│군축 문제의 전개│베르사유조약의 폐기
제7장 간전기의 중동
1. 오스만 터키의 쇠퇴와 열강의 침략
영국과 러시아의 충돌│오스만 터키를 둘러싼 열강의 각축
2. 영국의 팔레스타인 정책과 이스라엘의 건국
영국의 이중적 팔레스타인 정책│이스라엘의 건국│
시리아와 레바논
3. 터키의 민족혁명과 이집트의 민족투쟁
케말의 민족혁명│영국의 이집트 통치 체제와 와후드 운동
제8장 간전기의 동아시아
1. 간전기 일본 제국주의의 성립
워싱턴 체제의 성립│군축 문제│워싱턴회의의 성과
2. 일본 제국주의와 동아시아
일본 제국주의의 성격│청일전쟁│갑오경장│
일본의 한국 침탈―명성황후 시해와 아관파천 사건
3. 러시아의 제국주의와 러일전쟁
러시아의 남하 정책│러일전쟁│국권침탈
4. 중국의 반식민화
치외법권―조계│일본의 <21개 조> 요구
5. 동북아시아의 민족운동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와 아시아의 민족운동│한국 민족운동의 배경│
3?1 운동│중국의 민족운동│5?4 운동
제9장 워싱턴회의 후의 중국
1. 손문과 중국의 내셔널리즘
손문의 국민당 정부│중국 내셔널리즘의 발생
2. 장개석 정권과 모택동 정권의 성립
장개석의 국민당 정부의 성립│모택동의 공산 정권의 성립
3.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만주사변│중일전쟁
제3부 제2차 세계대전
제10장 제2차 세계대전의 기원
1. 나치혁명과 히틀러와 무솔리니의 대외 침략
나치혁명│영국과 프랑스의 여론│이탈리아와 독일의 무장 공격
2. 히틀러의 침략 전쟁
히틀러의 침략│뮌헨회담과 체임벌린
제11장 제2차 세계대전
1.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
대전의 발발│전격전의 전개│프랑스의 패배
2. 독일과 영국의 전쟁
히틀러의 오해│영국의 전쟁 준비 태세│‘영국 본토 항공전’
3. 전쟁의 확산
이탈리아와의 전쟁
4. 히틀러의 소련 침공과 연합군의 반격
‘바르바로사 작전’│소련군의 반격│연합군의 반격
5.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독일의 패망
노르망디 상륙작전│독일군의 패배
제12장 아시아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
1. 일본 군국주의 노선
북진론과 남진론│삼국동맹의 체결
2. 미일전쟁
전쟁의 배경│‘펄하버를 기억하라!’│태평양전쟁│미군의 반격│일본의 항복
제13장 제2차 세계대전의 상처: 증오의 세기
1. 나치의 유대인 절멸 정책
나치의 반유대주의│유대인 문제의 최종 해결―유대인 학살
2. 일본군의 중국 침략
남경학살│일본군의 전쟁 중 성 노예 제도
제4부 세계대전 후의 세계
제14장 제2차 세계대전 후 국제질서의 재편
1. 전후 처리
대서양 선언│얄타회담│포츠담회담
2. 국제연합과 브레턴우즈 체제
국제연합│브레턴우즈 체제
3. ‘팍스 브리타니카’에서 ‘팍스 아메리카나’로
영국 경제의 쇠퇴│‘팍스 아메리카나’의 확립
4. 소련의 부상
소련의 경제발전│스탈린의 독재체제와 소련의 경제체제
제15장 냉전체제의 성립
1. 냉전의 기원
‘철의 장막’│그리스에 대한 재정 원조 문제│트루먼 독트린
2. 마셜계획
마셜계획의 성립 과정│마셜계획의 성격│마셜계획으로 인한 유럽의 분단
3. 마셜계획에 의한 유럽에서의 동서냉전
독일의 동서 분단│베를린의 벽
제16장 영제국의 쇠망과 식민지의 독립
1. ‘팍스 브리타니카’의 붕괴
전후 영국의 재편
2. 인도의 독립
영제국의 인도 지배│독립운동의 발생
3. 영제국의 황혼
미국과의 경제 마찰│영제국의 철수
제17장 1945년 이후의 중동
1. 영제국의 중동 재편
오스만 터키의 유산 분배│유대인의 민족적 향토 건설
2. 식민제국 영국과 프랑스의 후퇴
아랍연맹의 결성│중동에서의 미국과 소련
3. 이스라엘의 건국과 중동전쟁
이스라엘의 건국│이집트 나세르의 개혁
4.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을 둘러싼 열강의 침략 전쟁│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략│탈레반의 집권
5. 이라크와 이란
이라크│이란│‘아랍의 봄’
제18장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아프리카
1. 아프리카 여러 나라의 독립
아프리카의 해│북아프리카의 독립│ 블랙 아프리카 여러 나라의 독립│남아프리카의 만델라
2. 아프리카의 정치문화
가나의 은쿠르마│폭군형 지도자, 우간다의 이디 아민│부족 간의 분쟁과 정치적 혼란
제5부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아시아
제19장 일본의 패망과 전후 일본의 발전
1. 일본제국의 붕괴
일본의 패전│포츠담선언│‘천황’의 국가통치권 문제와 종전│맥아더의 일본 통치
2. GHQ의 일본 경제 개혁
농지개혁│재벌의 해체│노동조합에 대한 대책│GHQ의 일본 경제 부흥책│환율정책│
한국전쟁과 일본 경제의 부흥
3. 미 군정기 일본의 정치 지도
GHQ의 점령 정책│동경재판│헌법개정 문제│자위대의 창설│일본의 정당정치와 ‘55년 체제’의 성립
4. 일본의 고도 경제성장
정부주도형의 경제발전│공해 문제의 발생│일본 경제의 부침
제20장 현대 중국
1. 중국에서의 전후 처리와 국공내전
장개석의 굴욕적 승리│일본 관동군의 패배│전후의 국공내전│
장개석 정권의 몰락 배경―부패한 국민당 정권과 모택동의 정풍운동
2.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3. 모택동의 사회주의국가 창업
중국의 사회주의화 과정│모택동의 사회주의적 독재정치│대약진운동
4. ‘문화대혁명’
유소기와 모택동│문화대혁명의 발단│홍위병의 등장│등소평의 개혁과 제1차 천안문사건│
화국봉과 개혁파│천안문사태│개혁, 개방 이후 중국 경제의 발전
제21장 현대 동남아시아
1. 베트남전쟁
인도차이나 반도의 코뮤니즘과 베트남전쟁의 배경
2. 전쟁의 경과
전쟁의 발발│평화회담과 전쟁의 종결
3. ‘킬링필드’, 캄보디아
크메르루주의 캄보디아 통치│폴 포트의 ‘킬링필드’
4. 미얀마의 독립과 아웅산 수치
미얀마의 애국자 아웅산 장군의 독립운동│아웅산 수치의 민주화 투쟁
5. 아시아의 작은 용들
대만의 경제적 발전│홍콩│싱가포르의 경제적 발전│필리핀의 경제적 퇴조
제22장 현대 한국의 역사
1. 연합국의 승전과 해방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38선의 획정
2. 건국의 과정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결성│정통성의 경쟁
3. 소련군의 북한 진주와 김일성의 등장
민족계와 공산계의 권력투쟁│인민위원회의 결성과 김일성의 집권
4. 신탁통치와 좌우 갈등
신탁통치안의 성립 배경│찬탁과 반탁 운동으로의 여론 분열
5. 정부 수립과 국제적 승인
단독정부 구성에 대한 정치적 쟁점│대한민국 정부 수립│건국 초기의 시련│
건국 과정에서 제기된 과제│농지개혁
6. 한국전쟁의 발발과 휴전
전쟁의 원인│전쟁의 발발과 전개
7. 이승만의 정치 이념과 정책
북진 통일론│이승만 정부의 권위주의 체제
8. 4?19 민주혁명과 제2공화국의 성립
4?19 혁명
9. 민주당 정부의 수립과 5?16 쿠데타
제2공화정의 출범│정치적 혼란│박정희 장군의 쿠데타
10.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와 정치
박정희 대통령의 경제개발│한일협정의 성립│한국군의 베트남 참전│고도 경제성장 정책│
중화학공업의 육성│박정희 대통령의 사회정책│박정희 유신독재체제의 성립│
유신체제의 종언
11. 전두환 독재정부의 출범과 민주화운동
전두환의 쿠데타│광주민주화운동│전두환 정부의 성립│6월 민주화 항쟁과 노태우 정부의 수립
12. 문민정부의 수립
김영삼 정권의 수립│김대중 정권의 햇볕정책과 노무현?이명박 정권
제6부 현대 남북 아메리카와 동서 유럽
제23장 현대 미국
1.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경제적 번영
미국의 경제적 번영│달러의 세계 제패―브레턴우즈 체제
2. 베트남전쟁과 그 영향
베트남전쟁과 미국의 쇠퇴│미국 사회의 변화
3. 1970년대 이후 미국의 도정
포드 정권│카터 정권│레이건 정권
4. 냉전의 종식, 제1차 이라크전쟁
냉전의 종식│제1차 이라크전쟁
5. 9?11 테러 사건과 제2차 이라크전쟁
9?11 테러 사건│제2차 이라크전쟁
6. 미국의 금융 대란
주택시장의 거품│은행의 파산
7. 미국 정치문화의 변용
오바마 대통령의 당선│월스트리트 점령 운동
제24장 현대 라틴아메리카
1. 미국의 제국주의와 라틴아메리카
미국의 제국주의│패권 국가를 지향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2. 9?11 사태 이후의 라틴아메리카의 좌파 정권
브라질의 룰라 정권│칠레의 아옌데 정권과 미국의 정치 개입
3. 미국의 라틴아메리카 지배체제
카스트로 쿠바의 반미정책│니카라과, 그라나다, 파나마,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제25장 현대 러시아
1. 스탈린의 사망 후 소련
흐루쇼프의 스탈린 비판│공산 정권들의 개인숭배와 일당 독재체제│
소련의 경제체제
2. 고르바초프의 개혁
고르바초프의 등장│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신사고 외교’│옐친의 등장│옐친의 권력장악│
소련의 해체│푸틴 대통령의 취임
제26장 현대 동유럽
1. 제2차 세계대전 후 소련의 동유럽 점령 정책
소련에 의한 동유럽 위성화 과정│소련의 동유럽 정책│코민포름과 나토│스탈린 사후 동유럽의 변화
2. 동유럽의 비(非)스탈린화 운동
폴란드의 혁명│헝가리의 민주화 혁명│‘프라하의 봄’│티토와 유고슬라비아의 독자 노선│
불가리아, 루마니아, 알바니아의 민주화운동
제27장 독일의 통일
1. 전후 점령 정책과 동서 분단
독일의 패전과 연합군의 점령 정책│베를린의 봉쇄│독일 기본법의 성격
2. 독일 통일의 프로세스
‘동서 대화’의 시도│유럽안전보장협력회의│‘베를린 벽’의 붕괴│‘통일을 목표로’│
서독 수상 콜의 통일 프로세스│독일 통일의 달성│통일의 내적 측면│통일의 외적 측면
제28장 현대 서유럽과 유럽통합운동
1. 유럽의 쇠퇴와 복지국가 체제의 성립
전후 유럽의 상대적 쇠퇴│전후 영국의 정치│복지국가의 성립│
유럽 사회주의 변용│유로코뮤니즘│전후 유럽의 부흥과 사회민주주의│‘68 운동’
2. 유럽통합운동의 전개
유럽통합운동의 발생│모네 플랜과 마셜 플랜│유럽석탄강철공동체의 성립│유럽경제공동체의 탄생│유럽통합에 대한 영국의 입장│드골과 유럽통합운동│유럽경제통화동맹의 성립 과정│통합의 재가동│영국의 EC 가맹│유럽연합의 정치적 통합 과정│유럽연합의 성립 과정에서의 미테랑 대통령과 자크 들로르의 역할│유럽연합의 금융위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