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설도시집

설도시집

  • 설도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2-11-01 출간
  • |
  • 280페이지
  • |
  • 153 X 224 X 20 mm /658g
  • |
  • ISBN 9788952113856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2,77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77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노래하는 기녀이면서 시에 뛰어난 자로는 설도가 참으로 문단의 요괴이다”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이 펴내는 <완역 설도시집>은 당대(唐代) 최고의 여성시인으로 평가받는 설도(薛濤, 770?-832?)의 시를 국내 처음으로 완역 해설한 책이다. 설도는 시인이자 기녀였다. 문재가 뛰어나 여덟 살 무렵에 시를 지었고, 기녀가 된 뒤에는 백거이, 원진, 유우석 등 당대 최고의 문인들과 교제하며 시를 나누었다. 그녀의 온화하고 담백한 시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끼쳤다. 조선시대의 허균은 친구 이매창의 죽음을 애도하는 노래에서 그녀를 설도라 불렀고 일제 말기 경성의 시인 김억은 설도의 시 <봄에 바라보다(春望詞)> 제3수를 번역하여 지금까지 애창되는 <동심초> 노랫말을 썼다. 그녀가 쓴 시는 오백여 수에 이른다고 하나, 지금은 백 수도 전하지 않는다. 이 책은 설도 사후 약 1200년 만에 그녀의 모든 시를 한글로 풀어 옮긴 최초의 책이다. 저자인 류창교는 중국여성문학 관련 논문을 다수 발표하며 설도 시를 깊이 연구해온 학자다.

“설도가 어찌 다만 여자이겠는가, 참으로 한 시대의 영웅일지라.”

설도는 당나라 최고의 여성 시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대의 시론서 <<시인주객도>>에서는 설도가 만당(晩唐)과 중당(中唐)의 대표 시인 84인 중 “맑고 기이하고 곱고 바른” 유일한 여성시인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그녀의 시에서 중국 시의 황금기에 살았던 여성의 삶, 마음, 문화를 접할 수 있을 것이다.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이 지고
만날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얼마 전에 타계한 작곡가 김성태(서울대 명예교수)의 명곡 <동심초>의 가사이다. 안서 김억이 번안한 이 노래 가사의 원 작자가 바로 중국 당대(唐代)의 시인 설도이다. 여덟 살 때 부친이 지은 시에 화답시를 지어 부친을 놀라게 했던 그녀는 부친 사후에 사천 지방의 절도사로 부임한 위고(韋皐)의 눈에 띄어 가기(歌妓) 인명부(樂籍)에 들었다. 당시 기녀는 예술 전반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는 만능 탤런트였다. 설도는 뛰어난 시재로 이름난 기녀가 되어 당시 중국 서천 지방의 절도사를 비롯, 유명문인들과 교유하고 시를 주고받았다.

설도의 시는 크게 사교용 시와 비사교용 시로 나뉜다. 전자는 공적이면서 직업인으로서의 기녀 생활이 반영되어 있고, 후자는 사적이면서 한 개인으로서의 내면세계가 그려져 있다.
사교용 시는 주로 그녀가 다른 사람과 창화(唱和: 시나 노래를 한쪽에서 부르고 다른 쪽에서 화답하는 것)한 시가 대부분인데, 제목에 수(酬)가 붙은 것은 보내온 시에 대해 답하는 것이고, 화(和)가 붙은 것은 다른 사람이 시를 보내온 것에 동일 운(韻)을 써서 답한 것이다. 그리고 제목에 별(別)이 들어간 것은 전형적인 송별시이다.
상대에 대한 칭찬과 위로, 격려와 감사는 사교의 필수조건이다. 설도의 시는 사교의 기본에 충실하다. 특히 고대의 훌륭한 사람이나 관련 고사를 끌어와 상대를 칭찬하고 격려하는 방식에서 그녀의 사교성이 돋보인다.
한편, 개인으로서 읊은 그녀의 시 속에는 사랑과 자유에 대한 갈망이 담겨 있다. 그녀는 다정하고 화목한 사랑을 갈망하며 <연못 위 한 쌍의 오리(池上雙鳧)> 같은 시를 지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고향생각(鄕思)> 같은 시에다 ‘떠도는 배’와 같은 자신의 마음을 담아 ‘언제 금포를 떠나 볼까나…’라며 자유에 대한 진한 갈망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완역 설도시집>에서는 설도가 지은 시로 확증할 수 있는 시 88수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시 8수를 실어 모두 96수를 실었다. 본문은 사교용 시를 ‘그녀의 사람’이란 제목을 붙여 정리하였고, 비사교용 시는 ‘그녀의 사물’이란 제목을 붙였는데 주로 영물시들로 구성된다. 이 밖에 위작 논쟁이 있는 몇몇 작품은 ‘미지의 시’로 묶어 본문 뒤에 소개하였다.
본문 구성은 번역문을 먼저 제시하고 원문을 뒤에 놓았다. 주석은 한자에 익숙지 않은 독자를 위해 한글음을 병기하였고 매 글자와 구절을 최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아울러 작품이해에 도움이 되는 관련정보, 이를테면 설도와 관련 있는 중요 인물의 경우는 별도의 항목을 구성하여 관심 있는 독자들이 쉽게 정리해 가며 읽을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서문

설도 시의 프롤로그: 소녀의 노래
ㆍ우물가 오동나무 井梧吟

제1부: 그녀의 사람
ㆍ벌로 변경으로 가며 느끼는 바가 있어 위 상공님께 올림 두 수 罰赴邊有懷上韋相公 二首
ㆍ벌로 변경으로 가며 위 상공님께 올림 두 수 罰赴邊上韋相公 二首
ㆍ멀리 떨어짐에 대한 열 편의 시 十離詩
1. 개가 주인에게서 멀리 떨어지다 犬離主
2. 붓이 손에서 멀리 떨어지다 筆離手
3. 말이 마구간에서 멀리 떨어지다 馬離廐
4. 앵무새가 새장에서 멀리 떨어지다 鸚鵡離籠
5. 제비가 둥지에서 멀리 떨어지다 燕離巢
6. 구슬이 손바닥에서 멀리 떨어지다 珠離掌
7. 물고기가 연못에서 멀리 떨어지다 魚離池
8. 송골매가 깍지에서 멀리 떨어지다 鷹離남
9. 대나무가 정자에서 멀리 떨어지다 竹離亭
10. 거울이 경대에서 멀리 떨어지다 鏡離臺
ㆍ역적이 평정된 후 고 상공님께 올림 賊平後上高相公
ㆍ시 ‘가릉역’을 속작하여 무 상국님께 바침 續嘉陵驛詩獻武相國
ㆍ서천장관 무원형 상국님께 올림 두 수 上川主武元衡相國 二首
ㆍ왕 장관님께 올림 上王尙書
ㆍ단 상국님이 무담사에 놀러오셨는데 병으로 따라갈 수 없어서 지어 부치다 段相國遊武擔寺病不能從題寄
ㆍ단 교서님께 贈段校書
ㆍ주변루 籌邊樓
ㆍ옛 시를 원미지님께 부치다 寄舊詩與元微之
ㆍ유 빈객님의 옥무궁화에 화답하여 和劉賓客玉蕣
ㆍ옹 수재님이 삼협도를 주신 것에 답하여 酬雍秀才貽巴峽圖
ㆍ두 사인님께 답하여 酬杜舍人
ㆍ선 스님이 여러 분과 창화한 것을 보여주시기에 宣上人見示與諸公唱和
ㆍ노 원외님을 보내며 送盧員外
ㆍ위 교서님께 贈韋校書
ㆍ곽 간주님이 밀감을 부쳐오신 것에 답하여 酬郭簡州寄柑子
ㆍ곡석산에서 새벽에 바라보며 여 시어님께 부치다 斛石山曉望寄呂侍御
ㆍ요 원외님을 보내며 送姚員外
ㆍ축씨 열세 번째 수재님께 답하여 酬祝十三秀才
ㆍ가 낭중님과 헤어지며 別李郞中
ㆍ부 도사님을 보내며 送扶鍊師
ㆍ마가 연못에서 소 중승님께 摩訶池贈蕭中丞
ㆍ가 서기님이 연회석에서 보내오신 것에 화답하여 和李書記席上見贈
ㆍ팥배나무 꽃으로 이 태위님께 화답하여 棠梨花和李太尉
ㆍ문 자사님께 답하여 酬文使君
ㆍ오 자사님께 답하여 酬吳使君
ㆍ가 교서님께 답하여 酬李校書
ㆍ소십삼 중승님께 贈蘇十三中丞
ㆍ곽 원외님의 ‘만리교에 적다’에 화답하여 和郭員外題萬里橋
ㆍ정자주님을 보내며 送鄭資州
ㆍ봄날 들판에서 구경하며 놀다가 손 처사님께 부치다 두 수 春郊遊眺寄孫處士 二首
ㆍ양 공봉법사님의 ‘부름을 받다’에 답하여 酬楊供奉法師見招
ㆍ장원부님께 부치다 寄張元夫
ㆍ신 원외님이 꽃을 꺾어 보내오신 것에 답하여 酬辛員外折花見遺
ㆍ타인의 ‘비 내린 뒤 대나무를 완상하며’에 답하여 酬人雨後翫竹
ㆍ벗을 보내며 送友人
ㆍ보내는 말 寄詞
ㆍ강가 정자에서의 전별 江亭餞別
ㆍ먼 그대에게 두 수 贈遠 二首

제2부: 그녀의 사물
ㆍ봄에 바라보다 네 수 春望詞 四首
ㆍ바람 風
ㆍ매미 蟬
ㆍ달 月
ㆍ연못 위 한 쌍의 오리 池上雙鳧
ㆍ원앙초 鴛鴦草
ㆍ팔십일과를 노래하며 詠八十一顆
ㆍ죽랑사당에 적다 題竹郞廟
ㆍ승려가 갈대피리 부는 것을 듣고 聽僧吹蘆管
ㆍ여지를 추억하며 憶구枝
ㆍ곡석산 서사 斛石山書事
ㆍ고향 생각 鄕思
ㆍ능운사를 노래하다 두 수 賦凌雲寺 二首
ㆍ9월 9일에 비를 만나 두 수 九日遇雨 二首
ㆍ강변 江邊
ㆍ해당화 계곡 海棠溪
ㆍ연밥 따는 배 採蓮舟
ㆍ마름, 노랑어리연꽃 못 菱荇沼
ㆍ금잔화 金燈花
ㆍ새 옷이 막 만들어져 입어보며 세 수 試新服裁製初成 三首
ㆍ가을 샘 秋泉
ㆍ버들솜 노래 柳絮詠
ㆍ무산사당을 찾아뵙고 謁巫山廟
ㆍ강월루 江月樓
ㆍ서쪽 바위 西巖

제3부: 미지의 시들
ㆍ 완화정에서 서천장관 왕파 상공 및 관료들을 모시고 때 이른 국화를 함께 읊다 浣花亭陪川主王播相公기寮同賦早菊
ㆍ붉은 무궁화 朱槿花
ㆍ모란 牡丹
ㆍ비단성에서 봄에 바라보다 錦城春望
ㆍ매화 梅
ㆍ들꽃 野花
ㆍ네 벗 예찬 四友贊
ㆍ양온중님께 贈楊蘊中

설도 시 해제
설도 연보
설도 시 관련도서 목록
찾아보기

도서소개

<완역 설도시집>에서는 설도가 지은 시로 확증할 수 있는 시 88수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시 8수를 실어 모두 96수를 실었다. 본문은 사교용 시를 ‘그녀의 사람’이란 제목을 붙여 정리하였고, 비사교용 시는 ‘그녀의 사물’이란 제목을 붙였는데 주로 영물시들로 구성된다. 이 밖에 위작 논쟁이 있는 몇몇 작품은 ‘미지의 시’로 묶어 본문 뒤에 소개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