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문학에서 “종교적 인간”의 모습 찾기
1장 “종교적 인간”의 신화와 현대 소설
1부 우리 시대의 이야기 속 종교
2장 사회적 성스러움, 개인의 성스러움 지향-조지 오웰, 『1984』
3장 종교적 이상을 추구하는 자, 종교를 이용하려는 자-윤태호, 『이끼』
4장 존재의 의미를 느끼게 하는 이야기, 실재하는 대상의 경험-무라카미 하루키, ?1Q84』(1~3권)
2부 한계에 맞서는 종교적 인간의 이야기들
5장 절망 속 희망의 조건-코맥 매카시, 『로드』
6장 인간이 생존을 위해 만들어내는 것들-헤르타 뮐러, 『숨그네』
7장 신비, 매혹, 두려움-스테프니 메이어, 『트와일라잇』
8장 무의미한 현실을 살아내기-윤대녕, 『대설주의보』
9장 우리 시대의 사제-오쿠다 히데오, 『면장 선거』, 윤대녕, 「천지간」
3부 꿈을 꾸는 종교적 인간의 이야기들
10장 천상을 향한 열망과 완벽한 아름다움의 추구-켄 폴릿, 『대지의 기둥』
11장 필멸의 인간, 불멸을 꿈꾸다-밀란 쿤데라, 『불멸』
12장 황폐한 현대인의 핏빛 신화-욘 A. 린드크비스트, 『렛 미 인』
13장 삶의 공포와 삶을 통한 구원-파울로 코엘료,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14장 죽은 자를 기억하는 법, 죽고 다시 살아나는 법
-구효서, 『저녁이 아름다운 집』, 천운영, 『그녀의 눈물 사용법』
15장 강 건너를 바라보는 종교적 인간-김훈, 『공무도하』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