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바다의 과학

바다의 과학

  • 박용안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1-12-20 출간
  • |
  • 439페이지
  • |
  • 153 X 224 X 30 mm /793g
  • |
  • ISBN 9788952112392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바다의 과학(해양학: Oceanography)은 바다에서 관찰·분석될 수 있는 여러 현상들, 즉 해류, 조석, 파랑, 바다의 기원ㆍ구조, 고환경, 자원, 생태계, 진화, 환경 변이, 물질 성분ㆍ순환ㆍ분포 등을 중요 연구 대상으로 하는 종합적인 기초과학이다. 이는 바다에서 펼쳐지는 시ㆍ공간적인 여러 자연 현상을 연구하는 기초과학 범주의 거대과학(big science)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인류 생존의 관점에서 바다에 대한 연구, 관심, 개발 및 보존의 필요성이 범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인류의 생활이 바닷가에서 가능했을 때부터 바다의 과학은 싹트기 시작했다고 본다.

이번 개정판은 1998년 한국어로 출판된 이후 13년 만에 해양과학의 큰 발전을 담고자 펴냈다. 특히 제3차 유엔 해양법 협약(The third UNCLOS: United Nation Convention for the Law of the Sea)이 1994년 11월부터 발효되면서, 세계의 수많은 연안국이 200해리 이원의 대륙붕 확장을 주장하고 소유하고자 한다.
제3차 유엔 해양법 협약(320개 조항과 9개의 부속서)은 근대 인류 역사상 최초로 완성된 "바다의 장" 이라고 볼 수 있다. 제3차 유엔 해양법 협약은 21세기의 해양이용과 해양 활동 전반을 규제하고 관할하는 포괄적이고 기본적인 국제해양법으로서 인류와 해양의 상호관계적인 해양법적 질서와 규범을 잡아가고 있으며, 여러 가지 새로운 법제도 중에서 배타적 경제수역제도(EEZ), 심해저 개발제도, 대륙붕 확장경계 획정제도, 해양과학 조사와 기술이전제도는 해양의 자원개발과 이용 및 환경보존의 제도적 장치를 법적으로 규범화하는 매우 중요한 법제도입니다. 이중에서 제76조는 연안국 해저지형의 대륙붕자연연장(natural prolongation)의 경우 200해리 (M)이원의 대륙붕해저를 확장하여 경계를 주장할 수 있는 이른바, Extended Continental Shelf(ECS)를 주장할 수 있는 법률이며, 이 76조는 자연과학분야(특히 해양학-해양지질학)와 해양법이 접목된 법조항입니다. 이에 기초하여 개정판을 펴낸다.

이 책은 대학교 학부 과정의 학생들에게 교양 과목으로 알맞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바다와 인간과의 관계, 바다와 지구 환경 또는 인류의 미래와 해양 자원 등에 관하여 함께 생각하고 토의할 수 있는 주제를 담고 있다. 또한 해양학의 주제들을 총망라하지는 않았으나 해양학을 전공하는 학생 및 해양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필요하고 유익할 것으로 생각되는 주제를 선정하여 비교적 평이하게 서술하려고 노력하였다.
개정판의 8장, 11장 및 13장은 자연과학도와 국제법 특히 국제해양법을 전공하는 우수한 여러분에게 매우 중요한 참고서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바다의 과학은 대학교 학부 과정의 학생들에게 교양 과목으로 알맞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개정판에서 국제해양법을 다루고 있어 각 대학의 법과대, 해양학과, 지구환경학을 전공하는 학생들, 대학원생들에게도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
바다와 인간과의 관계, 바다와 지구 환경 또는 인류의 미래와 해양 자원 등에 관하여 함께 생각하고 토의할 수 있는 주제를 담고 있고, 해양학의 주제들을 총망라하지는 않았으나 해양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필요하고 유익할 것으로 생각되는 주제를 선정하여 비교적 평이하게 서술하려고 노력하였다.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v
머리말 vii

1장 해양학의 역사History of Oceanography 1
고대의 해양학 2 / 중세의 해양학 5 / 중세 이후의 해양학 7 / 챌린저 탐사 이후의 해양학 14 /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해양학 20 / 한국의 해양학 25 / 해양법 29

2장 자료 수집과 분석Data Collection and Analysis 35
연구 탐사 선박 36 / 항 해 38 / 탐사 항해 중에 관측되는 사항 42 / 정선 중의 관측 51 / 해안 및 연안 해역의 조사 58 / 그 밖의 자료 수집 59 / 자료 분석 61

3장 지구와 해양Earth and Ocean 63
지구의 형성과 진화 64 / 지구의 내부 구조와 지각 평형 68 / 대기와 해양의 형성 73 / 대양과 대륙의 분포 77

4장 해수의 성질과 조성Properties and Composition of Sea Water 79
해수의 성질 80 / 해수의 성분 96 / 해수의 기원과 역사 108

5장 해류와 순환Ocean Currents and Circulation 111
수 괴 112 / 취송류와 지형류 117 / 환류와 서안강화 120 / 용승과 침강 123 / 대양의 표층 해류 127 / 열염분 순환 136 / 엘니뇨 145

6장 파랑과 조석Wave and Tide 149
파랑과 표면파 150 / 심해파와 천해파 154 / 내부파 156 / 파랑의 회절, 반사 및 굴절 156 / 해일과 쯔나미 160 / 파랑에 의한 해류 162 / 기조력 163 / 조석의 조화 분석 165 / 점토 광물 290 / 심해 퇴적물 293 / 조석의 분포 168 등조시 분포와 무조점계 172 / 조 류 175

7장 해양 생태계와 생산성Ocean Ecology and Productivity 177
플랑크톤 178 / 유영동물 193 / 저서생물 203 / 해양 생태계 213 / 생산의 수직적 변화 222 일차 생산 225 / 환경 수용력과 생존 전략 229

8장 판구조론Pate Tectonics 231
대륙이동설 232 / 대륙 이동의 증거 241 / 맨틀 대류설 249 / 해저확장설과 그 증거 250 / 판구조론 256 / 한반도 주변의 판구조론 265

9장 해양 퇴적물Sediments on the Ocean Bottom 267
운 반 268 / 퇴적물 종류 270 / 퇴적물 입자에 의한 분류 282 / 퇴적물의 조직 285

10장 연안 환경Coastal Environments 297
조상대 298 / 조간대 302 / 염하구 322 / 삼각주 324 / 암석 해안 331 / 한반도의 연근해와 연안 333

11장 대륙 주변부와 심해Continental Margin and Deepsea 337
대륙 주변부 339 / 한반도의 대륙 주변부 350 / 심해저와 화산섬 361 / 대양저 산맥 365 / 해 구 368

12장 인간과 해양 환경Human and Ocean 373
인간과 해양 자원 374 / 인간과 해양 오염 386 / 미래의 해양 391

13장 제3차 유엔 해양법 협약과 제6부 76조 대륙붕 정의The 3rd Law of the Sea UN Convention and Part VI, Article 76 - Definition of Continental Shelf 397
제1차(1958)와 제2차(1960)의 유엔 해양법 협약 398 / 제3차 유엔 해양법 협약 401

참고문헌 413
부록 417
찾아보기 425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지질학과 졸업(이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질학과 졸업(이학석사)
미국 브라운(Brown) 대학교 대학원 졸업(이학석사)
독일 킬(Kiel) 대학교 대학원 졸업(이학박사)
한국제4기학회 회장, 국제황해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학과장, 미국 듀크대학교 및 워싱턴대학교 교환 교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학장보(부학장),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자연대 해양정책최고과정(AMPP/SNU) 주임교수, 국립교육평가원 국비유학생 시험출제 위원장, 한·중 기초과학 교류위원회(KOSEF-NSFC) 위원 및 위원장, 국무총리실 물관리정책 민간위원회 위원, 과기처 특정연구개발사업 평가위원, 제10차 IOC(정부간 해양과학 위원회) 한국대표단, 한국해양개발연구소 자문위원 역임.

현재
유엔(UNCLOS) 대륙붕한계위원회 위원 및 부 위원장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자연대 해양정책최고과정(AMPP/SNU) 고문
중국 길림대학교 강의담당 명예교수
IGCP 한국위원장 IGCP/UNESCO 한국위원회
중국 청도 해양지질연구소 기술자문위원

수상
1987 한국해양학회 학술상
2004 대한민국 홍조근정 훈장
2006 대한민국 학술원상
2008 ICAMG(아시아해양지질학 국제학술총회) 공로상
2009 몽고정부 과학원 쿠빌라이 금상 훈장

주요 논문
2000년 7월 국내 학술지 87편, 국외 학술지 30편(총 117편);
국내 학술대회 논문 발표 30편, 국외 학술대회 논문 발표 32편

저서 및 역서
「해양지질학 및 퇴적학 실험」(집문당, 1983, 1988, 제2판)
「끝없는 집념 - 해양」(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1976, 1978, 제2판)
「일반해양학」(공역,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76, 1996, 제13판)
「지질학 원론」(공저, 우성문화사, 1989, 1992, 제2판)
「지구과학개론」(공저, 교학사, 1970, 1972, 제2판, 1976, 제3판)
「세계의 바다」(기린원, 1999, 초판)
「Geology of Korea」(공저, 교학사, 1987, 1988, 제2판)
「한국의 제4기환경」(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이어도-대한민국 최남단」(공저, 샛별, 2010)

도서소개

『바다의 과학』는 바다와 인간과의 관계, 바다와 지구 환경 또는 인류의 미래와 해양 자원 등에 관하여 함께 생각하고 토의할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하는 책이다. 해양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필요하고 유익할 것으로 생각되는 주제를 선정하여 비교적 평이하게 서술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