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추천의 글
제1장 다문화시대의소수자운동과정책
Ⅰ. 소수자운동의 압력과 정책
Ⅱ. 다문화사회의 소수자운동
Ⅲ. 다문화사회의 소수자행정의 복잡성
Ⅳ. 소수자행정의 주요 분야와 과제
Ⅴ. 맺음말
제2장 소수자의 정체성, 유형, 그리고 소수자정책 연구관점
Ⅰ. 소수자정책 연구: 왜 필요한가?
Ⅱ. 소수자의 정체성 논의와 소수자유형의 분류
Ⅲ. 소수자정책 연구를 위한 분석틀과 논점들
Ⅳ. 소수자운동의 분석 지표
Ⅴ. 소수자정책과정 분석의 이론적 관점과 도구
Ⅵ. 결론
제3장 소수자로서 비정규직 근로자와 정책
Ⅰ. 비정규직 문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Ⅱ. 소수자로서 비정규직
Ⅲ. 비정규직 정책갈등연구를 위한 설계
Ⅳ. 비정규직 정책갈등 사례분석
Ⅴ. 맺음말
제4장 소수자로서 외국인노동자와 정책
Ⅰ. 외국인노동자 문제, 어떤 시각에서 볼 것인가
Ⅱ. 소수자로서 외국인노동자
Ⅲ. 외국인노동자 문제를 둘러싼 갈등구조
Ⅳ. 외국인노동자 정책을 둘러싼 논리와 신념 구성
Ⅴ. 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제5장 소수자로서 동성애자와 정책
Ⅰ. 동성애자 문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방법
Ⅲ. 소수자로서 동성애자
Ⅳ. 동성애자 정책 변동분석
Ⅴ. 맺음말
제6장 소수자로서 일본군위안부와 정책
Ⅰ. 일본군위안부 문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Ⅱ. 소수자 관점에서의 일본군위안부연구와 이론적 논의
Ⅲ. 일본군위안부 소수자에 대한 정책 사례분석
Ⅳ. 맺음말
제7장 소수자로서 탈북자와 정책
Ⅰ. 탈북자 문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Ⅱ. 탈북자 문제와 관련 연구
Ⅲ. 탈북자운동의 정책개입전략과 정부의 대응양식
Ⅳ. 정책적 함의
제8장 소수자로서 결혼이주여성과 정책
Ⅰ. 결혼이주여성 문제, 어떤 시각에서 접근할 것인가
Ⅱ. 소수자로서 결혼이주여성의 등장
Ⅲ. 결혼이주여성정책의 정체성 고찰
Ⅳ. 소결: 인권정책인가, 가정유지정책인가
Ⅴ. 종합 논의와 결론
제9장 소수자로서 양심적 병역거부자와 정책
Ⅰ. 양심적 병역거부,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Ⅱ. 소수자로서 ?양심적? 병역거부자
Ⅲ. 정책변동 설명 도구로서 옹호연합모형
Ⅳ. 옹호연합모형에 따른 병역거부갈등 분석
Ⅴ. 종합과 결론
제10장 소수자로서 납북자 가족과 정책
Ⅰ. 납북자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Ⅱ. 납북자와 납북자 가족에 대한 개괄적 고찰
Ⅲ. 납북자와 납북자 가족 문제 의제설정에 대한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