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유산문선

한유산문선

  • 한유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0-01-05 출간
  • |
  • 1027페이지
  • |
  • 210 X 210 X 60 mm /1259g
  • |
  • ISBN 9788952110473
판매가

34,000원

즉시할인가

34,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역자서문
일러두기

창려문초인(昌黎文引)
『창려문초』 표(表)장(狀)
진찬평회서비문표(進撰平淮西碑文表)
논불골표(論佛骨表)
조주자사사상표(潮州刺史謝上表)
논포적행상표(論捕賊行賞表)
복수장(復讐狀)
논금년권정거선장(論今年權停擧選狀)
논회서사의장(論淮西事宜狀)
황가적사의장(家賊事宜狀)
논변염법사의장(論變鹽法事宜狀)
『창려문초』 서(書)
상장복야서(上張僕射書)
상장복야제이서(上張僕射第二書)
상병부이시랑서(上兵部李侍書)
등주북기상양양우상공서(鄧州北寄上襄陽于相公書)
상재상서(上宰相書)
후십구일부상서(後十九日復上書)
후입구일부상서(後九日復上書)
『창려문초』 서(書)
상고공최우부서(上考功崔虞部書)
여맹상서서(與孟書書)
여봉상형상서서(與鳳翔邢書書)
응과목시여인서(應科目時與人書)
여진급사서(與陳給事書)
여우양양서(與于襄陽書)
여사부육원외서(與祠部陸員外書)
위인구천서(爲人求薦書)
대장적여이절동서(代張籍與李浙東書)
『창려문초』 서(書)
답진생서(答陳生書)
여맹동야서(與孟東野書)
여이고서(與李書)
여최군서(與崔書)
여위중행서(與衛中行書)
여소실이습유서(與少室李拾遺書)
여악주유중승서(與鄂州柳中丞書)
재여악주유중승서(再與鄂州柳中丞書)
여이비논소공불태서(與李論小功不稅書)
여풍숙논문서(與馮宿論文書)
답유정부서(答劉正夫書)
답이익서(答李翊書)
답은시어서(答殷侍御書)
답장적서(答張籍書)
『창려문초』 서(書)계(啓)장(狀)
중답장적서(重答張籍書)
답유수재논사서(答劉秀才論史書)
답최립지서(答崔立之書)
답원시어서(答元侍御書)
답진상서(答陳商書)
답후계서(答侯繼書)
답이수재서(答李秀才書)
답풍숙서(答馮宿書)
답두수재서(答竇秀才書)
답여의산인서(答呂山人書)
답호생서(答胡生書)
답위지생서(答尉遲生書)
답양자서(答楊子書)
위하남령상유수정상공계(爲河南令上留守鄭相公啓)
하서주장복야백토장(賀徐州張僕射白兎狀)
여여주노낭중논천후희장(與汝州盧中論薦侯喜狀)
『창려문초』 서(序)
송양지사서(送楊支使序)
송정상서서(送鄭書序)
송허영주서(送許州序)
증최복주서(贈崔復州序)
송유주이단공서(送幽州李端公序)
송은원외서(送殷員外序)
송양소윤서(送楊少尹序)
송호남이정자서(送湖南李正字序)
송수륙운사한시어귀소치서(送水陸運使韓侍御歸所治序)
증장동자서(贈張童子序)
송우감서(送牛堪序)
송두종사서(送竇從事序)
송석처사서(送石處士序)
송온처사부하양군서(送溫處士赴河陽軍序)
송육섭주시서(送陸州詩序)
송정십위교리서(送鄭十爲校理序)
『창려문초』 서(序)
송맹동야서(送孟東野序)
송동소남서(送董邵南序)
송왕수재서(送王秀才序)
송왕수재서(送王秀才序)
송제호하제서(送齊下第序)
송하견서(送何堅序)
송구책서(送區冊序)
송이원귀반곡서(送李愿歸盤谷序)
송요도사서(送廖道士序)
송장도사서(送張道士序)
송진수재동서(送陳秀才序)
송부도문창사서(送浮屠文暢師序)
송고한상인서(送閑上人序)
상사일연태학청탄금시서(上巳日燕太學聽彈琴詩序)
형담창화시서(潭唱和詩序)
위시강성산십이시서(韋侍講盛山十二詩序)
석정연구시서(石鼎聯句詩序)
『창려문초』 기(記)전(傳)
신수등왕각기(新修王閣記)
남전현승청벽기(藍田縣丞廳壁記)
연희정기(燕喜亭記)
하남부동관기(河南府同官記)
화기(記)
서사호삼주절도장서기청벽기(徐泗濠三州節度掌書記廳石記)
과두서후기(科斗書後記)
변주동서수문기(州東西水門記) 병서(序)
운주계당시기(州谿堂詩記)
태학생하번전(太學生何蕃傳)
오자왕승복전(者王承福傳)
모영전(毛穎傳)
『창려문초』 원(原)논(論)의(議)
원도(原道)
원성(原性)
원훼(原毁)
원인(原人)
원귀(原鬼)
성시안자불이과론(省試顔子不貳過論)
쟁신론(爭臣論)
성시학생대제랑의(省試學生代齋議)
개장복의(改葬服議)
체협의(議)
『창려문초』 변(辯)해(解)설()송(頌)잡저(雜著)
휘변(諱辯)
진학해(進學解)
획린해 獲麟解
택언해(擇言解)
사설(師)
잡설(雜)
자산불훼향교송(子産不毁校頌)
백이송(伯夷頌)
장중승전후서(張中丞傳後)
독순자(讀荀子)
독의례(讀儀禮)
독묵자(讀墨子)
송궁문(送窮文)
석언(釋言)
묘상유(相乳)
수계(守戒)
대우문(對禹問)
통해(通解)
행난(行難)
『창려문초』 비(碑)
처주공자묘비(處州孔子廟碑)
남해신묘비(南海神廟碑)
황릉묘비(黃陵廟碑)
구주서언왕묘비(衢州徐偃王廟碑)
조성왕비(曹成王碑)
청변군왕양연?비(邊郡王楊燕奇碑>
당은청광록대부수좌산기상시치사상주국양양군왕평양노공신도비(唐銀光祿大夫守左散騎常侍致仕上柱國襄陽郡王平陽路公神道碑)
평회서비(平淮西碑)
『창려문초』 비명(碑銘)
오씨묘비명(烏氏廟碑銘)
원씨선묘비(袁氏先廟碑)
위박절도관찰사기국공선묘비명(魏博節度觀察使沂國公先廟碑銘)
유주나지묘비(柳州羅池廟碑)
당고상권국공묘비(唐故相權國公墓碑)
형양정공신도비(滎陽鄭公神道碑)
태원왕공신도비명(太原王公神道碑銘)
증태위허국공신도비명(贈太尉許國公神道碑銘)
당고중산대부소부감호량공묘신도비(唐故中散大夫少府監胡良公墓神道碑)
『창려문초』 묘지명(墓誌銘)
상서좌복야우용무군통군유공묘지명(書左僕射右龍武軍統軍劉公墓誌銘)
봉상농주절도사이공묘지명(鳳翔州節度使李公墓誌銘)
태원왕공묘지명(太原王公墓誌銘)
당고소무교위수좌금오위장군이공묘지명(唐故昭武校尉守左金吾衛將軍李公墓誌銘)
당고조산대부상주자사제명사봉주동부군묘지명(唐故朝散大夫商州刺史除名徙封州董府君墓誌銘)
당고조산대부월주자사설공묘지명(唐故朝散大夫越州刺史薛公墓誌銘)
당고강서관찰사위공묘지명(唐故江西觀察使韋公墓誌銘)
『창려문초』 묘지명(墓誌銘)
당고감찰어사위부군묘지명(唐故監察御史衛府君墓誌銘)
상서좌승공공묘지명(書左丞孔公墓誌銘)
집현원교리석군묘지명(集賢院校理石君墓誌銘)
상서고부낭중정군묘지명(書庫部中鄭君墓誌銘)
하남소윤배군묘지명(河南少尹裴君墓誌銘)
급사중청하장군묘지명(給事中河張君墓誌銘)
고공원외노군묘명(考功員外盧君墓銘)
사법참군이군묘지명(司法參軍李君墓誌銘)
공사훈묘지명(孔司墓誌銘)
이원빈묘명(李元賓墓銘)
시대리평사왕군묘지명(試大理評事王君墓誌銘)
『창려문초』 묘지갈명(墓誌碣銘)
전중소감마군묘지명(殿中少監馬君墓誌銘)
전중시어사이군묘지명(殿中侍御史李君墓誌銘)
태학박사이군묘지명(太學博士李君墓誌銘)
국자조교하동설군묘지명(國子助河東薛君墓誌銘)
국자사업두공묘지명(國子司業竇公墓誌銘)
양양노승묘지명(襄陽盧丞墓誌銘)
하남령장군묘지명(河南令張君墓誌銘)
등봉현위노은묘지명(登封縣尉盧殷墓誌銘)
당고하남부왕옥현위필군묘지명(唐故河南府王屋縣尉畢君墓誌銘)
유자후묘지명(柳子厚墓誌銘)
시선생묘명(施先生墓銘)
남양번소술묘지명(南陽樊紹述墓誌銘)
정요선생묘지명(貞曜先生墓誌銘)
여나광명(女壙銘)
당하중부법조장군묘갈명(唐河中府法曹張君墓碣銘)
청하군공방공묘갈명(河郡公房公墓碣銘)
예연명(硯銘)
『창려문초』 애사(哀辭) 제문(祭文) 행장(行狀)
독고신숙애사(獨孤申叔哀辭)
구양생애사(歐陽生哀辭)
제전횡묘문(祭田墓文)
제악어문(祭魚文)
제유자후문(祭柳子厚文)
제하남장원외문(祭河南張員外文)
제십이랑문(祭十二文)
증태부동공행장(贈太傅董公行狀)

한유연보(韓愈年譜)
한유에 관하여
Abstract
편명색인

저자소개

768~824. 중국의 중당(中唐) 시기를 산 사상가요 정치가인 동시에 걸출한 산문 작가이며 특색 있는 시인으로, 사상계, 정계, 문단 등 다방면에서 걸출한 발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자가 퇴지(退之)이고, 하양 사람이다. 본인이 본관을 창려로 자칭한 관계로, \'한창려(韓昌黎)\'로 부르기도 한다. 한유는 위진남북조를 거치면서 쇠퇴한 유학을 부흥시키고 불교와 도교를 배척하는 주장을 전개했으며, 군벌들의 지방 할거(割據)를 반대해 토벌 전쟁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고 당시의 정치적 폐단을 공격하는 데 용감했으며, 지방관으로 있을 때 백성들을 위해 많은 치적을 남겼다. 산문 방면에서 그는 육조(六朝) 이래 문단을 풍미해 온 변문의 폐단을 통렬하게 지적하고, 선진(先秦)과 양한(兩漢) 이전의 고문 전통을 회복할 것을 힘써 주장하면서 유종원 등 뜻을 같이하는 무리들을 이끌고 당대(唐代) 고문운동을 주도했으며 시가(詩歌) 방면에도 창조 정신을 발휘해 신기하고 웅건한 풍격의 독창적인 일가의 경지를 이룩했다.

도서소개

『한유산문선』은 당송팔대가의 영수인 당 한유의 문장선집으로, 명 모곤이 편찬한 <당송팔대가문초>의 한 부분인 <창려문초>가 그 저본이다. 이 책은 원문에 주석을 가한 뒤에 우리말 역문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자의 편명 뒤에 주석의 형태로 해당 문장에 대한 간략한 해제가 덧붙여져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