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프롤로그> 동양 사상의 세계란?
1. 동양의 지혜가 구미인의 마음을 울리다
2. 현대 문화에도 동양 사상이 살아 숨 쉬다
3. 사상은 철학·종교와 무엇이 다른가
4. 서양과 동양의 차이점은 종교에 있다?
5. 중국·인도 사상의 키워드
고대 중국 사상
1. 중국 사상의 원류는 무엇인가
2. 고대 중국은 신탁과 천명으로 움직이다
3. 고사성어와 제자백가의 춘추전국 시대
4. 유가의 공자는 무엇에 뜻을 두고 어떻게 살아갔는가
5. 맹자의 성선설은 사람을 ‘덕’으로 다스렸다
6. 순자의 성악설은 사람을 ‘예’로 이끌었다
7. 법가 사상은 ‘법’으로 사람을 다스렸다
8. 종횡가는 살아남기 위한 외교책을 주장했다
9. 병가는 정략과 군사를 주장했다
10. 묵가는 독특한 박애 사상을 주장했다
11. 도가의 개조 노자는 인위를 배제했다
12. 장자의 유례없는 세계관
13. 음양가는 ‘음양오행설’을 체계화했다
14. 명가는 궤변에 능하며 잡가는 모든 학문을 정비했다
중국 사회 사상의 전개
1. 진시황제는 법가와 유가를 함께 이용했다
2. 유가 사상이 한의 국학으로 정해지다
3. ‘천인상관’ 사상이 천하를 움직이다
4. 중화 사상은 유교의 ‘예’를 존중했다
5. 과거를 통한 문치주의의 좋은 면과 나쁜 면은?
6. 중국 신화는 후대의 창작이다
7. 도교는 민중을 움직이며 역사를 바꿨다
8. 신선 사상과 풍수 사상은 ‘기’ 이론에서 시작되었다
중국 사상의 새로운 전개
1. 불교는 중국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2. 중국도 불교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3. 선 정신은 언어와 문자를 초월한다
4. 선화로 느끼는 선의 마음
5. 중국이 불교의 나라가 되지 않은 사상적 배경
6. 주자학은 이기이원론으로 우주를 설명했다
7. 이기이원론으로 사람의 마음을 설명하다
8. 양명학은 또 하나의 유학
9. 한반도도 유교 문화권인가?
고대 인도 사상
1. 인도 사상의 집대성, 힌두교
2. 인도 사상가는 예나 지금이나 수행에 전념한다
3. 인도 사상은 아리아인이 구축했다
4. 성전 ‘베다’는 신에게 바치는 찬가
5. 우주의 창조는 원인 푸루샤 찬가에서 그려지다
6. 베다의 주역은 인드라
7. 인도 철학은 신흥 계급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8. 범아일여를 추구한 『우파니샤드』(오의서)
9. 인도의 토착 사상에서 기원한 윤회 사상
10. 육파 철학이 『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①
11. 육파 철학이 『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②
12. 육파 철학이 『우파니샤드』를 발전시켰다 ③
인도 사상의 새로운 전개
1. 불교의 발단
2. 석가의 첫 가르침 ‘사제’와 ‘팔정도’
3. 석가가 설법한 세계와 인간의 성립
4. 불교 교단은 삼장을 둘러싸고 분열한다
5. 상좌부에서는 다르마의 실재가 논의되었다
6. 대승불교의 시조 용수가 ‘공’을 설법하다
7. 유식파는 심층 심리에 발을 딛다
8. 상좌부와 대승의 차이점
9. 최고신이 된 브라흐만
10. 광폭한 신 시바는 10개의 이름이 있다
11. 비슈누는 세계를 유지하는 신
12. 서사시 속의 신들이 힌두교를 널리 퍼뜨리다
13. 밀교는 인도 불교의 최종 단계
14. 후기 밀교는 탄트리즘을 흡수하다
15. 이슬람교·기독교 문명과의 충돌
인도 사회에 자리한 사상
1. 인도의 부자연스러운 시간 감각
2. 인생을 ‘4주기’로 구분하다
3. 인도는 언어에 힘이 있다고 믿었다
4. 요가 행자는 몸으로 해탈을 지향한다
5. 하타 요가는 신비 사상과 연결된다
6. 인도 사상은 인체를 어떻게 보았는가
일본 사상과 미의식
1. 일본 사상의 원형은 풍토가 만들었다
2. 일본 사상은 호기심과 유연함이 빚어냈다
3. 고대 일본은 외래 사상을 훌륭히 소화했다
4. 헤이안 시대는 국풍 문화가 활짝 꽃을 피웠다
5. 일본에서 독자적 발전을 보인 가마쿠라 불교
6. 에도 시대는 사상이 개화하는 시대였다
7. 일본 사상은 ‘일본의 미’에서 나타난다
8. 메이지 철학자는 동서 융합을 시도했다
▶참고 문헌
▶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