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 지역과 연구 방법
제1부 풍수지리의 본질과 경관풍수
제1장 풍수지리의 본질
제1절 풍수지리 지식체계 형성의 약사
제2절 생기의 정의
제3절 명당을 찾는 방법
제4절 명당의 표현 방법
제2장 형기론과 이기론에 따른 명당과 발복
제1절 형기론
제2절 이기론
제3절 양택상의 발복
제4절 음택상의 발복
제2부 안동의 산세와 명당의 분포
제3장 안동의 산세
제4장 명당의 분포와 인물
제1절 안동의 음택 명당과 분포
제2절 안동의 세거씨족
제3절 안동의 인물과 양택 명당
제3부 안동의 풍수와 인물
제5장 전후타원형
제1절 학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형(비학상천형, 飛鶴翔天形)
제2절 봉이 둥지를 튼 형(봉소형, 鳳巢形)
제3절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형(비룡상천형, 飛龍翔天形)
제4절 제비가 둥지를 친 형(연소형, 燕巢形)
제6장 높은 원만형(圓滿形)
제1절 모란꽃이 반쯤 피어 있는 형(모란반개형, 牡丹半開形)
제2절 등잔불이 등잔대에 달려 있는 형(괘등형, 卦燈形)
제3절 닭이 알을 품고 있는 형(금계포란형, 金鷄包卵形)
제4절 구름 속에 달이 떠 있는 형(운중반월형, 雲中半月形)
제5절 칡넝쿨에 꽃이 피어 있는 형(갈화반개형, 葛花半開形)
제7장 낮은 원만형(圓滿形)
제1절 가마솥이 뒤집혀 있는 형(복부형, 伏釜形)
제2절 밥상에 음식을 차려놓은 형(금반형, 金盤形)
제3절 뱀이 머리를 든 형(사두형, 巳頭形)
제4절 큰 뱀이 숨어 있는 형(장사은산형, 長巳隱山形)
제8장 좌우타원형
제1절 연꽃이 물 위에 떠 있는 형(연화부수형, 蓮花浮水形)
제2절 거북이 물에 들어가는 형(복구형, 伏龜形)
제3절 꿩이 매를 피해 숨는 형(복치형)
제4절 벌이 집을 지은 형(봉소형, 蜂巢形)
제4부 풍수지리와 미래학
제9장 경관풍수와 미래학
제1절 명당 풍수 경관의 특징
제2절 예견력의 한계
제3절 풍수지리와 미래학
요약 및 결론
영문초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