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의 머리말
요조웅의 머리말
저자의 머리말
범례
해설편
권 일(卷 一)
1. 의료행위를 하는데 생기는 100가지 잘못을 적은 글[의중백오가(醫中百誤歌)]
2. 생명을 지키는 4가지의 중요한 점[보생사요(保生四要)]
3. 음허를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
4. 인삼의 열매[인삼과(人蔘果)]
5. 의학의 시작에서 끝까지 일관된 이치
6. 내상과 외감이 병을 일으키게 하는 19글자
7. 화(火)라는 글자의 분석
8. 맥을 볼 때의 귀중한 지침[맥법금침(脈法金針)]
9. 한ㆍ열, 허ㆍ실, 표ㆍ리, 음ㆍ양의 변별[한열허실표리음양변(寒熱虛實表裏陰陽辨)]
10. 의학의 8가지 치료법[의문팔법(醫門八法)]
11. 상한(傷寒)의 큰 줄거리[상한강령(傷寒綱領)]
12. 상한의 주요 치료를 4글자로 요약하여 말함[상한주치사자론(傷寒主治四字論)]
13. 경과 부를 말함[경부론(經腑論)]
14. 음증에는 3종류가 있다는 설명[음증유삼설(陰證有三說)]
15. 전염병을 논함[논역(論疫)]
16. 여섯 가지 기운이 서로 섞여 있는 것을 분별해야 한다는 논의[육기상잡수변론(六氣相雜須辨論)]
17. 중풍에 대해서 논의함[논중풍(論中風)]
18. 중풍에서 한열을 구분함[중풍한열변(中風寒熱辨)]
19. 중풍증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경우의 구별
20. 중풍과 유사중풍의 증을 구별하는 방법
21. 잡병의 주요 치료를 4글자로 요약하여 논술함[잡증주치사자론(雜症主治四字論)]
22. 증상을 살피는 초보적인 비결
권 이(卷 二)
1. 상한과 유상한의 변별
2. 상한육경(傷寒六經)의 증을 보는 방법
3. 태양경증(太陽經證)
4. 양명경증(陽明經證)
5. 소양경증(少陽經證)
6. 태음경증(太陰經證)
7. 소음경증(少陰經證)
8. 궐음경증(厥陰經證)
9. 태양부병(太陽腑病)
10. 양명부병(陽明腑病)
11. 리(裏) 속의 리를 논함
12. 양명본증의 용약법을 다시 논함
13. 양명겸증의 용약법을 논함
14. 합병(合病), 병병(幷病)
15. 삼음에 직중한 여러 증
16. 표리에 같이 병이 드는 경우[양감(兩感)]
17. 상한에서 겸하는 증상들[상한겸증(傷寒兼證)]
18. 남아 있는 처방들을 보충함[제방보유(諸方補遺)]
권 삼(卷 三)
1. 중풍문(中風門)
2. 유중풍(類中風)
3. 더위에 상한 것[상서(傷暑)], 곽란( 藿亂), 교장사(攪腸沙)
4. 전염병[역려(疫?)]
5. 허로(虛勞)
6. 기침[해수(咳嗽)]
7. 숨찬 증상[천(喘)]
8. 토혈(吐血)
9. 두통(頭痛)
10. 심통(心痛)
11. 흉통(胸痛)
12. 협통(脇痛)
13. 위완통(胃脘痛)
14. 복통(腹痛)
15. 소복통(小腹痛)
16. 신통(身痛)
17. 견배통(肩背痛), 비박통(臂膊痛)
18. 요통(腰痛)
19. 비(痺), 학슬풍(鶴膝風)
20. 위(?)
21. 각기(脚氣)
22. 나병[여풍(?風)]
23. 열격(?膈)
24. 이질(痢疾)
25. 설사(泄瀉)
26. 학질(?疾)
27. 수종(水腫), 고창(鼓脹)에 대해 논함
28. 적취(積聚)
29. 산기(疝氣)
30. 담음(痰飮)
31. 구토(嘔吐), 헛구역[얼(?)], 딸꾹질[애역(?逆)]
32. 삼소(三消)
33. 열림(熱淋)
34. 소변불통(小便不通), 관격(關格), 잉부전포(孕婦轉?)
35. 대변불통(大便不通), 대소장교(大小腸交), 유시(遺屎), 탈항(脫肛)
36. 소변불금(小便不禁)
37. 변혈(便血)
38. 요혈(尿血)
권 사(卷 四)
1. 유정(遺精)
2. 적백탁(赤白濁)
3. 황달(黃疸)
4. 먹지 못함[불능식(不能食)]
5. 눕지를 못함[부득와(不得臥)]
6. 자한(自汗), 도한(盜汗)
7. 전(癲), 광(狂), 간(癎)
8. 경(驚), 계(悸), 공(恐)
9. 어지럼증[현훈(眩暈)]
10. 건망(健忘)
11. 조잡(?雜)
12. 인후(咽喉), 입[구(口)], 혀[설(舌)], 치아[치(齒)], 입술[순(脣)]
13. 눈[목(目)]
14. 얼굴[면(面)]
15. 나력(??)
16. 코[비(鼻)]
17. 귀[이(耳)]
18. 치창(痔瘡)
19. 내옹(內癰)
20. 모든 벌레[제충(諸蟲)]
21. 고독(蠱毒)
22. 오절(五絶)
권 오(卷 五)
1. 부인문(婦人門)
2. 월경부조(月經不調)
3. 처녀의 경폐로 인한 손상[실녀경폐성손(室女經閉成損)]
4. 갑자기 붕루와 하혈이 있는 경우[폭붕하혈(暴崩下血)]
5. 대하(帶下)
6. 자식을 잇는 법[구사(求嗣)]
7. 딸을 아들로 바꾼다는 논설[전녀위남설(轉女爲男說)]
8. 부인의 임신을 진단하는 법
9. 태(胎)를 시험하는 방법
10. 임신 시 음식의 금기
11. 임신 시 약의 금기
12. 입덧[오조(惡阻)]
13. 태동불안(胎動不安)
14. 태루(胎漏)
15. 자현(子懸), 자현(子眩)
16. 태(胎)가 성장하지 않는 경우[태부장(胎不長)]
17. 유산[반산(半産)]
18. 자번(子煩)
19. 자간(子癎)
20. 자명(子鳴)
21. 임신 중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경우[자음(子?)]
22. 임신부의 내옹(內癰)
23. 귀태(鬼胎), 꿈에서 귀신과 성교하는 것[몽여귀교(夢與鬼交)]
24. 열병으로 태(胎)에 손상을 주는 경우[열병태손(熱病胎損)]
25. 임신 중 소변이 안 나오는 경우[전포(轉?), 포손(胞損)]
26. 양수(羊水)가 부어오르는 경우
27. 젖이 저절로 나오는 경우[유자출(乳自出)]
28. 출산에 임해서 보호하는 방법[임산장호법(臨産將護法)]
29. 10가지의 출산 방법에 대한 논[십산론(十産論)]
30. 교골불개(交骨不開), 산문불폐(産門不閉)
31. 태반이 내려오지 않는 경우[포의불하(胞衣不下)]
32. 산후에 조리하는 방법[산후장호법(産後將護法)]
33. 산후에 혈로 인한 어지럼증[산후혈훈(産後血暈)]
34. 산후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경우[산후불어(産後不語)]
35. 산후발열(産後發熱)
36. 산후전광(産後癲狂)
37. 심신경계(心神驚悸)
38. 땀이 많이 나서 경증(痙證)으로 바뀐 경우[한다변경(汗多變痙)]
39. 산후신통(産後身痛)
40. 산후요통(産後腰痛)
41. 오로가 끊이지 않는 경우[오로부절(惡露不絶)]
42. 산후에 가슴과 배에 생기는 모든 통증[산후심복제통(産後心腹諸痛)]
43. 욕로(?勞)
44. 천촉(喘促)
45. 코가 검게 되는 것[비흑(鼻黑)]과 코피[비뉵(鼻黑)]
46. 산후 유방질환[산후유질(産後乳疾)]
47. 유옹(乳癰), 유암(乳岩), 유사(乳?)
48. 부인의 생식기질환[부인은질(婦人隱疾)]
부록(附錄)
1. 외과십법(外科十法)
2. 외과증치방약(外科症治方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