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부학생과 대학원생, 임상 실무를 담당하는 간호사들을 위한 책이다.
이 책이 기존의 병태생리학 책들과 다른 점은 이론적인 일반 병태생리와 주요 질환의 임상사례를 함께 엮어서 편역한 점이다. 이를 위해 Ivan Damjanov의 Pathology for the Health Professions 4판과 Valentina L. Brashers의 Clinical Applications of Pathophysiology: An Evidence-Based Approach를 통합하여 각 장 별로 두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앞 영역에서는 주요 질환의 핵심적인 정보와 개념을 설명하고 세부 질환의 발생 과정과 기전을 배치하여 질환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유사 질환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뒤 영역에서는 앞에서 배운 내용을 보강하고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주요 질환의 사례를 소개하여 실무 적용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병태생리적 과정을 적용할 뿐만 아니라 임상 증후의 예측, 진단 평가의 선택, 적절한 치료와 중재의 제공과 잠재적 합병증을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는 통합적 사고력을 기를 수있을 것이다.
이 책은 세포손상, 염증, 면역장애, 신생물, 유전과 발달장애, 수분 전해질 산-염기 불균형, 순환장애, 심장혈관계통질환, 호흡계통질환, 혈액과 림프계통질환, 소화계통질환, 비뇨계통질환, 생식계통질환, 내분비계통질환, 근골격계통질환, 신경계통질환, 감각기관질환 순으로 총 17장으로 구성되었다. 편역 과정에서 원문의 내용을 충실하게 번역하는데 중점을 두되 학부학생의 수
준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였으며, 지나치게 상세하거나 주요 질환이 아닌 것과 중복된 부분을 과감하게 삭제하였다. 용어의 통일을 위하여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 5집 수정판을 이용하였으며, 부자연스러운 용어는 편집위원들의 논의를 거쳐 결정하였다. <병태생리학과 임상적용>이 간호학과의 병태생리학 교육의 표준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이 책을
이용하는 모든 분들의 많은 의견을 기대한다.
<저자의 말>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