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

  • 문만용
  • |
  • 들녘
  • |
  • 2017-04-25 출간
  • |
  • 470페이지
  • |
  • 173 X 233 X 36 mm /1043g
  • |
  • ISBN 9791159252136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1,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 과학기술의 놀라운 발전을 견인해온
한국적 연구체제의 특성이란 무엇인가


한국의 연구체제는 어떠한 역사적 궤적을 그렸으며, 그러한 진화를 이끈 요인은 무엇이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인가? 한국 역사 속에서 형성된 고유한 ‘한국적 연구체제’가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언제, 어떠한 계기를 통해 어떻게 탄생했나? 이 책은 이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 노력의 산물이다

연구소를 비롯한 모든 과학 제도들은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변화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관련 정책의 변화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 그 정책에 대응하는 행위자로서 정책 자체에도 영향을 주었다. 즉, 특정한 제도나 기관은 그를 둘러싼 환경과 정책의 변화에 맞추어나가려 노력하지만 동시에 그 조직에 맞는 합리적인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도나 기관의 진화가 이루어지며, 한국 연구체제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 책은 한국 연구체제의 다양성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연구소들이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고,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그 과정을 추동한 힘은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각 연구소들이 등장하고 진화해온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연구체제가 보여주는 특성들과 함께 장래 한국 연구소들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여러 형태의 연구소가 왜 등장했고,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었으며, 어떠한 방식으로 새로운 형태의 연구소 체제가 부상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각 시기마다 연구체제를 둘러싼 정책과 인물, 그리고 여러 연구체제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규명해보고자 한다.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장 머리말
2장 과학기술자의 공간, ‘연구소’의 탄생

1절 해방 직후 과학기술자들의 과학기술 진흥 요구
2절 국내 유일의 공업기술 시험연구기관, 중앙공업연구소
3절 우장춘과 중앙원예기술원
4절 과학기술자의 군대생활, 국방부과학연구소
1. 한 육군 대위의 과학자 되기
2. 육군병기공창과 과학기술연구소
3. 국방부과학연구소

5절 원자력 유학생과 원자력연구소
6절 국립연구소의 역할과 한계

3장 KIST의 등장과 ‘역두뇌유출’
1절 연구소 개편 방안과 한미정상회담
1. 기술관리국의 연구소 개편 노력
2. 미국의 연구소 설립 제안

2절 첫 번째 정부출연연구소의 탄생
1. “동양 최대의 연구소”
2. 안정성과 자율성의 줄타기

3절 KIST의 ‘두뇌유치’
1. 한국의 ‘두뇌유출’
2. KIST의 연구인력
3. 정부의 해외유학 정책 변화

4절 KIST의 연구활동
1. “연구를 팝니다”
2. 과학기술 분야 ‘싱크탱크’

5절 현대적 과학기술체제의 형성
1. 과학기술처의 설립
2. 한국의 ‘과학기술 붐’

6절 정부출연연구소 등장의 의미

4장 연구단지 건설과 공공연구체제 구축
1절 서울연구개발단지의 형성
1. 연구단지의 꿈
2. ‘두뇌단지’와 정부출연연구소 체제의 정착

2절 “한국 과학의 메카”, 대덕연구단지
1. 제2연구단지 구상
2. 20년의 대역사: 대덕연구단지 조성

3절 정부출연연구소의 시대
1. 국립연구소의 전환
2. KIST 조직의 독립
3. 새로운 분야의 연구소 설립

4절 정부출연연구소 확산의 의의와 문제점

5장 민간주도 연구체제의 형성
1절 기업연구소의 시대
1. 기업연구소의 등장
2. 기업연구소의 부상
3. 기업연구소 생태계

2절 1980년 정부출연연구소 통폐합
3절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등장
4절 전환기의 정부출연연구소
1. 1980년대 정부출연연구소의 다양화
2. 민주화 시대의 정부출연연구소
3. 정부출연연구소 합동평가와 기능재정립

5절 기술드라이브 시대의 연구체제

6장 한국 연구체제의 재정립
1절 대학연구소의 뒤늦은 부상
1. 대학연구소의 등장
2. 대학연구소의 확대
3. 우수연구센터와 대학연구능력 구축
4. 대학연구소의 과제

2절 기업연구소의 현황과 특성
3절 국공립연구소의 정중동
1. 국공립연구소의 공공연구
2. 새로운 국공립연구소의 등장

4절 정부출연연구소의 새로운 길 찾기
1. 연장된 구조조정
2. 연구회 체제의 도입
3. 정부출연연구소의 다양한 역할

5절 “따로 또 같이” 가는 한국 연구체제

7장 맺음말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저자소개

저자 문만용(文晩龍)은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한국과학사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의 인문한국(HK)교수를 지냈으며, KAIST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부소장이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60~7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과학기술의 압축적 성장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생물학 및 농업 등 한국 과학기술의 토착적 특성이 잘 드러나는 분야의 역사에 대해서도 연구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장기간에 걸친 현대일기를 통해 한국의 압축적 근대화를 분석하는 연구팀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현대적 연구체제의 형성: KIST의 설립과 변천, 1966~1980』, 『한국 근대과학 형성과정 자료』(공저) 등이 있으며, “Understanding Compressed Growth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Focusing on Public Research Institutes”, “Becoming a Biologist in Colonial Korea: Cultural Nationalism in a Teacher-cum-Biologist”, “The Dual Green Revolutions in South Korea: Reforestation and Agricultural Revolution under the Authoritarian Regime”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도서소개

본서는 한국 연구체제의 다양성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연구소들이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고,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그 과정을 추동한 힘은 무엇이었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각 연구소들이 등장하고 진화해온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연구체제가 보여주는 특성들과 함께 장래 한국 연구소들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