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들어가기 10
1. 4차 산업의 정의 10
2.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주요 기술 10
3. 4차 산업혁명의 특징 13
4. 4차 산업혁명의 목적과 기대효과 16
(1) 4차 산업혁명의 목적 16
(2) 4차 산업혁명의 기대효과 18
Ⅱ. 풀어내기 - 선진국의 지역 제조업 혁신 사례 22
1. 독일 22
1) Industry 4.0 구축의 중심 : 산업 클러스터 22
2) Industry 4.0 추진 전략 25
3) 3차 산업혁명의 한계 및 Industry 4.0 기반의 혁신 방향 26
4) Industry 4.0의 핵심 기술 구조 26
5) Industry 4.0(Platform Industry4.0)의 혁신적 산업 클러스터 사례 28
(1) 연구 중심 : 프라운 호퍼 연구기구(Fraunhofer Gasellschaft, FhG) 등
29
(2) 지역 클러스터 : It's OWL, Hoechst, MicroTEC S?dwest 등 32
6) Industry 4.0의 문제점 43
7) Industry 4.0 재부팅 : Platform Industrie 4.0으로의 전환 46
2. 영국 48
1) 지역혁신 시스템의 대처 : High Value Manufacturing(HVM, Catapult Centres) 48
2) 각 지역 캐터펄트 센터 : AMRC, NAMRC, NCC, CPI 등 50
3. 미국 60
1) 제조업혁신센터(MII)를 통한 국가제조혁신네트워크 구축 60
2) IMI의 기반이 되는 산업 클러스터 : NAMII, IACMI, MGI 등 61
3) 미국의 4차 산업정책에 대한 시사점 68
4. 일본 69
1) ‘산업재흥플랜’ 기반의 산업 구조혁신 69
2) 일본 제조업의 클러스터(직접) 구조 74
3) 일본 제조업의 혁신 클러스터 사례 : 칸사이 배터리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수와 정밀기계 클러스터 등 76
5. 국가별 제 4차 산업혁명 정책 현황 비교 80
6. 선도적 지역혁신 기능의 매개체 81
1) 선진국 : 프라운 호퍼, 캐터펄트 센터, IMI 등 81
2) 한국 : 테크노 파크, 창조경제 혁신센터 등 82
7. 4차 산업혁명의 필요 조건 88
1) 스마트 생산 88
(1) 스마트 생산방식의 보급 및 확산 88
(2) 제조의 서비스화(제품과 서비스의 결합, 제품과 S/W의 결합) 89
(3) 대표 신산업 창출 90
(4) 사업구조 개편 및 혁신기반 조성 91
(5) 스마트 생산 기업 사례 93
2) 스마트 공급사슬 94
3) 중소기업 협업 및 장비 공동 활용 97
(1) 기업 간 협업 97
(2) 이업종 교류지원 99
(3) 국내 기업 간 협업 사례 101
(4) 연구 장비 공동 활용 102
4) 중소 제조업의 IoT 적용 방향 105
(1) IoT 적용 방향 105
(2) 기술/정보 교류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123
(3) 메이커 스페이스 126
8. 한국의 산업단지 현황 131
1) 한국적 클러스터의 특성 131
2) 한국의 산업단지 현황 132
(1) 전국 산업단지 현황 132
(2) 유형별 산업단지 현황 135
(3) 종합 139
3) 제조업 현황 140
4) 산업별 생산 동향 146
Ⅲ. 맺음말 149
1. 국내 중소 제조업의 역할과 중요성 149
2. 국내 제조업의 발전 방안 151
〈 참고문헌 〉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