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판 머리말
2판 머리말
제1부 영재의 개념과 판별
제1장 영재교육의 역사와 최근 동향
1.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역사와 최근 동향
1)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2)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발전과정
3)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추진체계와 영재교육기관의 형태
2. 미국 영재교육의 역사와 최근 동향
1) 미국 영재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2) 미국 영재교육의 발전과정
3. 싱가포르 영재교육의 역사와 최근 동향
4. 이스라엘 영재교육의 역사와 최근 동향
제2장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1. 영재성의 연구
2. 국가별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1) 우리나라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2) 미국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3) 영국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4) 싱가포르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5) 이스라엘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6) 홍콩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3. 학자별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1) 터먼의 영재성의 개념과 정의
2) 홀링워스의 영재연구
3) 렌줄리의 세 고리 모형
4) 영재성과 창의성
5) 영재성과 재능
6) 스탠콥스키의 영재성의 다섯 가지 범주
7) 스턴버그의 오각형의 암묵적 이론
4. 다양한 영재들의 프로파일
5. 다양한 분야의 영재들의 특성
제3장 영재의 심리적 특성
1. 영재의 인지적 능력
1) 지능
2) 창의성
3) 사우이인지
4) 자아개념
5) 기타 영재의 인지적 능력
2. 영재의 정의적ㆍ사회적 특성
1) 동기
2) 리더십
3) 기타 영재의 정의적 특성
3. 영재의 심리적 특성 간의 상호관계
제4장 영재판별과 선발
1. 영재판별의 이론
1) 영재판별 개념
2) 영재판별 목적
3) 영재판별 비율
2. 영재판별의 방법
1) 교사, 학부모, 동료, 자기 지명 또는 추천
2) 행동특성 검사지
3) 표준화검사
4) 행동 및 산출물
3. 영재판별의 실제
1) 우리나라의 영재판별
2) 외국의 영재판별
3) 영재판별 동향
4. 영재판별의 검증
제2부 영재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제5장 영재교육과정의 이론과 개발
1. 영재교육과정의 역사와 접근방법
2. 영재교육과정의 기본 가정과 철학적 기반
1) 인지기술에 초점을 둔 영재교육과정
2) 공학적 접근데 초점을 둔 영재교육과정
3) 개인에 초점을 둔 영재교육과정
4) 사회개혁에 초점을 둔 영재교육과정
5) 학문적 합리주의에 초점을 둔 영재교육과정
3. 영재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준
1) 의미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2) 고차원적 사고 기술을 강조해야 한다
3) 학내ㆍ학제 간 통합을 강조해야 한다
4) 초인지 능력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5) 전문가적 기수과 태도를 갖게 해야 한다
6) 능동적 참여와 문제해결 능력을 강조해야 한다
7) 교육공학적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8) 학습결과를 미리 설정해야 한다
9) 진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4. 교육과정 차별화의 개념과 적용
1) 차별화 교육과저의 개념
2) 차별화 교육과정의 적용
5. 반타셀-바스카의 통합교육과정 모형
1) 개념모형
2) 적용절차
3) 학습자 변인
4) 상황변인
6. 언어와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1) 언어과 영재교육의 목적
2) 언어과 영재교육과정의 기준
3) 언어과 영재교육과정의 내용
4) 언어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사례
7. 수학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1) 수학과 영재교육의 목적
2) 수학과 영재교육과정의 기준
3) 수학과 영재교육과정의 운영방법
4) 수학과 영재교육과정 개발 시 유의점
5) 수학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사례
8. 과학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1) 과학과 영재교육의 목적
2) 과학과 영재교육과정의 기준
3) 과학과 영재교육과정의 내용
4) 과학과 영재교육과정 개발 시 유의점
5) 과학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사례
9. 예술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1) 예술과 영재교육의 목적
2) 예술과 영재교육과정의 기준
3) 예술과 영재교육과정의 내용
4) 예술과 영재교육과정 개발 시 유의점
5) 예술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발 사례
제6장 영재 교수 - 학습 모형
1. 재능탐색모형
2. 렌줄리 3단계 심화학습모형
1) 초등학교 3단계 심화학습모형
2) 중등학교 3단계 심화학습모형
3. 학교전체 심화학습모형
4. 다중메뉴모형
1) 지식메뉴
2) 수업목표 메뉴
3) 수업전략 메류
4) 수업계열 메뉴
5) 예술적 수정 메뉴
5. 퍼듀 3단계 심화학습모형
1) 1단계: 수렴적ㆍ발사넉 사고력 개발
2) 2단계: 창의적 문제해결력 개발
3) 3단계: 독립 연구기술의 개발
6. 자율학습자모형
1) 오리엔테이션 차원
2) 자기개발 차원
3) 심화학습활동 차원
4) 세미나 차원
5) 심층연구 차원
7. 다중지능모형
8. 피라미드 프로젝트 모혀
9. 자기주도학습 모형
10. 이?적 - 저의적 상호작용모형
11. 무한재능모형
제7장 속진학습의 개념과 유형
1. 속진학습의 개념
2. 속진은 필요한가
3.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의 속진
1) 조기입학
2) 학년월반
3) 과목월반
4. 압축 프로그램
5. 시험을 통한 학점 부여
6. 고교-대학의 이중 등록
7. 대학 조기입학
8. 국제 고교학위 프로그램
9. 재능담색 프로그램
제8장 심화학습의 개념과 유형
1. 심화학습의 내용, 과정 및 목표
2. 학교 프로젝트
1) 도서관과 인터넷 조사
2) 창의적 글쓰기, 미술, 드라마 프로젝트
3) 과학 프로젝트
4) 독립(발명) 프로젝트
3. 학습센터
4. 현장체험 학습
5. 봉사학습과 세계인식
6. 토요 프로그램
7. 여름캠프
8. 창의적 학습을 위한 로건학교
9. 주지사학교
10. 대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11. 발명캠프
12. 해외연수
13. 멘토십
1) 중등학생을 위한 멘토십
2) 초등학생을 위한 멘토십
3) 온라인 멘토
14. 미래문제해결
15. 정신올림픽
16. 어린이 고전 읽기
17. 학업 10종 경기
18. 경시대회
19. 홈스쿨링
제3부 영재상담과 교사, 부모교육
제9장 영재의 잠재능력: 지능과 창의성
1. 지능
1) 지능연구의 역사
2) 주요 지능이론
3) 지능에 대한 유전과 환경
2. 우리나라 영재의 지능에 대한 연구
3. 창의성
1) 창의성 연구의 역사
2) 창의성의 주요 이론
3) 학교교육과 창의성
4) 우리나라 영재들의 창의성
4. 지능과 창의성과 관계
제10장 여재의 사회ㆍ정서적 문제와 상담
1. 영재의 사회저 문제
1) 스트레스
2) 자아개념과 자기통제
3) 진로지도
2. 영재의 정서적 문제
1) 과도한 완벽주의
2) 과흥분성
3) 지나친 민감성
4) 예민한 지각능력
5) 과도한 동기와 집착
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7) 우울증
8) 비동시적 발달
3. 영재상담
1) 영재상담의 역사적 배경
2) 영재상담의 필요성
3) 영재상담의 기본 원리
4) 영재상담가의 특성
5) 영재부모 상담
제11장 영재교육 담당교사와 부모교육
1. 영재교육 담당교사
1) 국내외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양성, 임용, 배치 제도
2)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과 자질
2. 영재를 자녀로 둔 부모의 교육
1) 영재와 가정환경
2) 영재를 자녀로 둔 부모에 대한 교육
제4부 영재교육의 다양한 접근
제12장 장애영재와 특수영재
1. 장애영재
1) 장애영재의 용어와 정의
2) 장애영재의 영역과 특징
2. 학습장애영재
1) 학습장애영재의 특징
2) 학습장애영재의 판별
3) 학습장애영재의 사회ㆍ정서적 특성
4) 학습장애영재의 학교학습 특성
5) 학습장애영재의 원인
3. 이디엇 서번트
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영재
1) ADHD 영재의 원인
2) ADHD 영재의 인지적ㆍ정의적 특성
3) ADHD 영재의 판별
5. 아스퍼거 영재
1) 영재성과 아스퍼거 증후군의 관련
2) 아스퍼거 영재의 판별
6. 여성 영재
1) 여성 영재의 특성
2) 여성 영재 판별
7. 소외계층 영재
1) 소외계층 영재의 정의와 특성
2) 소외계층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
제13장 예술영재
1. 예술영재의 개념과 역사
2. 예술영재의 판별과 선발
1) 예술영재의 판별
2) 예술영재의 선발
3. 예술영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1) 우리나라의 프로그램
2) 외국의 프로그램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