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0 1 4
이 글을 시작하며 . 0 1 6
1장 언어는 문화다
미국에서의 이름 부르기 . 0 2 2
미국은 용광로가 아닌 샐러드 볼 . 0 2 5
변화해야 하는 이민상이란 . 0 2 8
미국에 왔는데도 왜 영어가 늘지 않죠? . 0 3 0
국물이 많다고요? . 0 3 5
2장 큰일 났다! 한국영어
처음부터 A, B, C, D를 붙잡고 씨름을 시키다니 . 0 4 0
영어에 한글표기를 하지 마라 . 0 4 2
한국영어교재, 오류 너무 많다 . 0 4 5
이야기에는 전후 상황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 0 4 8
mistake와 error의 차이 . 0 5 1
‘야구를 한다‘와 ’야구시합을 한다’ . 0 5 4
접속사 사용은 쉽지 않다 . 0 5 6
어느 유학생의 체험 . 0 5 9
영어공부는 열심히 하는데 왜 늘지 않을까 . 0 6 2
회화 중심 교육의 신화를 깨자 . 0 6 6
영어문장의 전형적인 틀이 몸에 배어야 . 0 6 8
3장 영어공부, 정말 어려운 걸까?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 . 0 7 6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 함께 배워야 . 0 7 9
‘나’를 중심으로 하는 표현에 중점 . 0 8 1
영어 조기 교육 빠를수록 좋다 . 0 8 6
캐나다의 실험, 외국어 조기교육 . 0 8 9
어떤 사람이 영어를 잘할까 . 0 9 3
비디오와 오디오 학습 . 0 9 6
한국인의 영어 . 0 9 8
4장 영어, 이렇게 공부하라
뜻을 먼저 알면 외국어는 더 쉽다 . 1 0 6
영어실력은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해야 는다 . 1 0 8
모국어는 외국어를 배우는 데 방해가 되는가 . 1 1 0
파닉스의 신화를 깨자 . 1 1 2
소리부터 시작하자 . 1 1 6
영어로 생각하기 . 1 2 0
성인들의 영어발음문제 . 1 2 2
검정교과서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라 . 1 2 5
5장 영어, 이렇게 가르쳐라
우리 가족들은 이렇게 영어를 익혔다 . 1 3 0
네 살짜리 손녀이야기 . 1 3 6
아이들에게 이런 환경을 만들어 주자 . 1 3 9
미국인이라고 다 영어교사가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1 4 2
영어를 잘 가르치는 기본 원칙 여섯 가지 . 1 4 6
어린이들에게 외국어를 가르칠 때 명심할 점 . 1 5 0
6장 영어를 마스터하려는 사람들에게 주는 충고
목적을 가지고 몰입하라 . 1 5 6
성인들이 영어배우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 . 1 5 9
외국어 배우는 가장 중요한 나이 15세 . 1 6 2
아이들은 쑥쑥 느는데 어른들은 왜? . 1 6 5
무작정 외워 가지고는 안 돼 . 1 6 7
영어의 D는 한국어의 ㄷ이 아니다 . 1 7 0
왜 내 말을 못 알아듣지? . 1 7 3
친구처럼 편한 외국인에게서 배워라 . 1 7 5
7장 미국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며
미국 병아리교사들의 시험기간, 3년하고 하루 . 1 8 3
학생들마다 공부 스타일 다르다 . 1 8 7
총체적 언어교육방법의 등장 . 1 9 0
흥미를 느껴야 공부가 잘 된다 . 1 9 8
교사는 학생들의 관심을 끌게 가르쳐야 . 2 0 0
내가 대학에서 가르치는 과목들 . 2 0 3
정확한 독해는 지식과 추리능력 필요 . 2 0 6
영어에는 표준어가 없다 . 2 1 4
에필로그 1 나의 인생을 바꾼 영어
오늘은 눈이 오는 군요 . 2 2 0
진흙탕에 빠진 미군 지프 차 . 2 2 4
나의 영어공부방법 . 2 2 7
첫 직장을 영어학습장으로 . 2 2 9
미국고문단의 통역 일을 하면서 . 2 3 1
고문단교수들의 눈에 띄어 . 2 3 6
고교영어교사로 특채되고 . 2 3 8
영어공부하려고 성당에 나가 . 2 4 0
에필로그 2 영어의 바다를 건너다
어떻게 그렇게 영어를 잘 합니까? . 2 4 4
유학 2년 만에 미국중학교 영어교사가 되다 . 2 4 9
한국인이 영어교사라면 아무도 안 믿어 . 2 5 4
교실에서의 큰 고민 . 2 5 7
영어교사로 만족하지 못하고 . 2 6 0
대학교수가 되려고 다시 도전 . 2 6 3
영어교육학 박사가 되다 . 2 6 5
뉴욕주립대학교 영어교육학과 교수가 되다 . 2 6 8
이 글을 마치며 . 2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