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목차
이 책의 구성과 활용법
일러두기
1 중국어 문법
중국어의 문법 단위 | 중국어의 문장성분 | 중국어의 문법 특징
2 체언 [명사 / 대명사 / 수사 / 양사]
명사의 특징과 쓰임 | 방위명사, 장소명사 | 시간명사 |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 의문대명
사 | 정수, 분수, 소수 | 서수, 어림수, 배수 | 명량사 | 동량사 및 양사의 중첩
3 용언 [동사 / 조동사 / 형용사]
동사의 특징과 쓰임 | 동사의 분류 | 동사의 중첩 | 조동사의 분류와 특징 | 조동사의 비교 ⑴
‘?’ ‘能’ ‘可以’ | 조동사의 비교 ⑵ ‘??’ ‘?’ ‘得’ | 조동사의 비교 ⑶ ‘要’ ‘想’ ‘愿意’ | 형용
사의 특징과 쓰임 | 형용사의 분류와 중첩
4 허사(1) [부사 / 전치사]
부사의 특징과 쓰임 | 시간부사 | 빈도부사 | 정도부사 | 부정부사 | 범위부사 | 상태부사,
어기부사 | 부사의 위치 | 전치사의 특징과 쓰임 | 전치사의 분류 | 전치사의 비교
5 허사(2) [접속사 / 조사 / 감탄사 / 의성사]
접속사의 특징과 쓰임 | 접속사의 분류 | 조사의 분류와 쓰임 | 동태조사 ‘了’의 분류와 특징 |
동태조사 ‘了’의 쓰임 | 동태조사 ‘着’의 분류와 특징 | 동태조사 ‘着’의 쓰임 | 동태조사 ‘?’ 의
분류와 특징 | 동태조사 ‘?’의 쓰임 | 감탄사, 의성사
6 문장의 주요성분 [주어 / 술어 / 목적어]
주어의 구조와 특징 | 술어의 구조와 특징 | 목적어의 구조와 특징 | 체언성 목적어 | 용언성
목적어
7 문장의 보조성분 [관형어 / 부사어 / 보어]
관형어의 구조와 특징 | 관형어와 구조조사 ‘的’ | 부사어의 구조 | 부사어와 구조조사 ‘地’ |
결과보어 | 방향보어 | 시량보어 | 동량보어 | 정도보어, 가능보어
8 문장의 구조 [단문 / 복문]
단문의 유형 | 동사술어문, 형용사술어문 | 명사술어문, 주술술어문 | 복문의 분류와 특징 |
단순복문 | 다중복문, 축약복문
9 문장의 기능 [평서문 / 의문문 / 명령문 / 감탄문]
평서문 | 의문문 ⑴ | 의문문 ⑵ | 의문문 ⑶ | 명령문, 감탄문 | 부정문
10 관계표현구문 [‘是’자 구문 / ‘有’자 구문 / ‘在’자 구문 / 존현구문]
‘是’자 구문 | ‘有’자 구문 | ‘在’자 구문 | 존현구문 ⑴ | 존현구문 ⑵ | 기타 관계표현구문
11 연동구문과 겸어구문
연동구문의 구조와 특징 | 연동구문의 분류 | 겸어구문의 구조와 특징 | 겸어구문의 분류
12 능동구문과 피동구문 [‘把’자 구문 / ‘被’자 구문]
‘把’자 구문의 구조와 특징 | ‘把’자 구문의 분류 | ‘把’자 구문 사용 시 주의점 | ‘被’자 구문의
구조와 특징 | ‘被’자 구문의 분류 | ‘被’자 구문 사용 시 주의점
13 비교표현구문 [‘比’자 구문 / ‘?有’구문 / ‘不如’구문]
‘A+?[和]+B+一?/不一?’ 구문 | ‘A+?[和]+B+一?/不一?’ 구문의 분류 | ‘比’자 구문 |
‘比’자 구문의 분류 | ‘A+有/?有+B+??/那?+형용사/동사’ 구문 | ‘A+不如+B’ 구문 | ‘最’와
‘更’ 구문 | 기타 비교구문
모범답안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