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 5
역자 서문 ● 9
제 1 장 들어가기
_ 다니엘 질, 헬 V. 담, 앤 숄다거 ● 15
제 2 장 통역학 박사학위논문 주제의 선정
_ 다니엘 질 ● 27
제 3 장 (통역)연구, 비판적으로 읽기
_ 다니엘 질 ● 58
제 4 장 과학적 텍스트에 대해 보고하기
_ 이브 강비에 ● 81
제 5 장 통번역학 박사학위논문 작성하기:
맞닥뜨리는 문제, 우려, 제안
_ 하이드룬 게르지미쉬-아보가스트 ● 105
제 6 장 프라하의 석사학위논문:
지도교수의 관점에서
_ 이바나 첸꼬바 ● 123
제 7 장 트리에스테 SSLMIT의 통역연구:
과거, 현재와 미래
_ 알레산드라 리카르디, 안나 지암발리, 마리아키아라 루소 ● 144
제 8 장 소규모 통역 연구 프로젝트
Small projects in interpretation research
_ 잉그리트 쿠르츠 ● 163
제 9 장 학생의 관점에서 본 통역학 박사 연구
_ 피터 미드 ● 194
제 10 장 초보 연구자가 경험한 통역학 연구의 어려움
박사학위논문 프로젝트의 발전 과정에 대한 수기
_ 프리델 듀스라프 ● 226
제 11 장 데이터의 조작:
통역 결과물 중심의 박사연구를 통해 본 테이터 기술의 문제
_ 헬 V. 담 ● 250
제 12 장 담화분석을 통해 통역에 접근하기
_ 세실리아 바덴조 ● 279
제 13 장 이론적 틀 내에서 연구하기
_ 프란츠 푀히하커 ● 299
제 14 장 동시통역 박사학위논문에 대한 소고
_ 앤 숄다거 ● 331
제 15 장 결론: 문제 및 전망
_ 다니엘 질, 헬 V. 담, 앤 숄다거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