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 21
역자 서문 25
서론 37
제1절 삼계교연구사三階敎硏究史 39
1. 근세까지의 삼계교연구 39
2. 시취경휘矢吹慶輝의 삼계교연구 40
3. 전전戰前의 연구 43
4. 전후戰後의 연구 47
제2절 본서의 과제와 방법 51
제3절 이 책의 개요 59
제1장 삼계교의 성립 65
서序 65
제1절 신행전信行傳 연구의 자료 66
1. 신행의 저작 중 전기 자료傳記資料 66
2. 석각石刻자료 67
3. 경록經錄과 승전 자료僧傳資料 78
제2절 신행의 전기 87
1. 출생과 유년시대幼年時代 87
2. 출가出家와 사승師承 93
1) 출가 93
2) 사승師承 94
3. 신행이 목표했던 수행 98
1) 기본적 수행 98
2) 무진장행의 실천 105
3) 사계捨戒 113
4. 삼계교단三階敎團의 성립 119
5. 장안長安 입경入京 124
6. 신행의 시적示寂 127
결어結語 132
제2장 삼계교의 전개 139
서序 139
제1절 삼계교 관계자 총람總攬 140
1. 삼계교도의 판별규준 141
2. 삼계교 관계 소개되지 않은 석각자료 144
1) 대당 숭의사 사언선사 145
2) 대당 선화사 고 비구니 견행선사 147
3) 관준管俊 150
4) 도감법사道感法師 152
5) 화도사 삼계원 존승다라니경석주 152
3. 신행의 직제자直弟子 154
1) 본제[本濟, 562~대업大業 11년(615) 54세] 154
2) 승옹[僧邕, 543~정관貞觀 5년(631) 89세] 155
3) 정명[淨明, ?~무덕武德 3년(620) 이전] 156
4) 고경[高?, 555?~대업 3년(607)] 156
5) 배현증[裴玄?, ?~정관 8년(634) 이전] 157
6) 혜여[慧如, ?~무덕(618~626) 초] 157
7) 영침[靈琛, 555~정관 3년(629) 75세] 158
8) 혜료[慧了, ?~현경顯慶 원년(656)] 158
9) 선지[善智, ?~대업 3년(607)] 159
10) 도선[道善, 미상] 159
4. 삼계교도와 그 주변 160
1) 삼계교도 160
2) 삼계교 관계자 176
5. 삼계교 비판자 개종자 183
1) 선심(善諶, 51세) 184
2) 담행(曇行, 미상) 184
3) 대행(大行, 미상) 184
제2절 삼계교의 전개 185
1. 삼계교의 계보 185
2. 개조 신행의 신격화 189
3. 화도사 무진장원의 활동 193
4. 신행 묘소로의 삼계교도의 매장埋葬 201
5. 삼계교 관계 사원 204
제3절 쇠퇴에의 길 208
1. 삼계교의 금압禁壓 208
1) 문제文帝의 금압 209
2) 측천무후시대의 금압 210
3) 현종시대의 금압 214
4) 그 후의 삼계교 218
2. 정토교와의 논쟁 218
결어 227
제3장 삼계교의 제 문헌 233
서序 233
제1절 제 자료에 나타난 삼계교 문헌 236
제2절 삼계교사본寫本의 현상 250
1. 시취矢吹 발견의 삼계교사본 251
1) 대영도서관(British Library) 소장 스타인본(Stein本) 252
2) 파리국립도서관(Biblioth?que Nationale de Paris) 소장 펠리오본 255
3) 경도京都 부강가富岡家 소장 돈황본 255
2. 일본 소장의 삼계교사본 256
3. 시취矢吹 이후에 발견된 사본 258
4. 신출新出 삼계교사본 259
제3절 삼계교사본의 재검토 261
1. 『대근기행법對根起行法』 261
1) 각 사본의 특징 262
2) 『대근기행법』의 개요와 성립시기 266
2. 『삼계불법』 274
1) 돈황본 『삼계불법』 274
2) 일본본 『삼계불법』 277
3. 『제법』 288
4. 『걸식법』 296
5. 『수팔계법』 298
6. 『발보리심법」 299
1) 『발보리심법』의 문헌적 성격 300
2) 『발보리심법』의 사상적 특징 305
7. 『제삼계불법광석』 310
1) S5668에 대해서 310
2) S6344에 대해서 318
3) 북8725R에 대하여 319
8. 『삼계관법약석』 322
9. 『불성관』 326
10. 『□□관수선법』 329
11. 『궁사변혹론』 333
12. 『악관』 335
결어 336
제4장 삼계교사상의 기본구조 339
서序 339
제1절 “삼계”란 무엇인가? 340
1. 삼계교 문헌에 의한 “계階”의 용법 340
1) 일본본 『삼계불법』에 있어서 “계階”의 용법 341
2) 돈황본 『삼계불법』에 있어서 “계”의 용법 349
3) 『대근기행법』에 있어서 “계”의 용법 351
2. 3단계의 짜임새의 사상적 권위 357
1) 삼계교 문헌에 있어서의 경문經文과 인간의 말(人語) 359
2) 3단계의 근기의 짜임새와 『열반경』 361
3) 제3계불법은 세간世間의 법인가 출세간出世間의 법인가 368
3. 삼계를 규정하는 인人·시時·처處 373
1) 제3계의 중생 374
2) 제1계와 제2계의 중생 420
3) 삼계의 시時와 처處 431
제2절 삼계불법의 내용 438
1. 『대근기행』의 법 438
1) 삼계출세三階出世의 법 439
2) 삼계수행의 장소 452
3) 근기根機와 불법佛法의 대응관계 456
2. 제3계불법의 중심사상 461
1) 보경普敬의 사상 463
2) 인악(認惡: 12顚倒) 494
3. 제3계불법의 실천적 제 문제 568
1) 제1문답 570
2) 제2문답 573
3) 제3문답 575
4) 제4문답 577
5) 제5문답 580
6) 제6문답 583
결어 585
제5장 삼계교의 교단규율 593
서序 593
제1절 교단규율 『제법制法』과 삼계교의 수행생활 594
1. 『제법』의 구성 594
2. 『제법』의 기본사상 597
1) 『제법』의 실천주체 597
2) 『제법』의 의빙(依憑: 의거) 611
3) 출세에 요구된 실천 618
4) 『제법』의 선지식관과 동행 사상 630
5) 요약 639
3. 규율의 개관 641
4. 벌칙규정 668
5. 삼계교단의 수행생활 671
제2절 『수팔계법受八戒法』에 대해서 678
1. 『수팔계법』의 구성 678
2. 참회법에 대해서 683
3. 『수팔계법』의 문헌적 위치 688
결어 689
참고문헌 693
찾아보기 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