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연구개발과제의개요
1절. 연구개발 목적
1. 연구 개발의 최종 목표
2. 연구 개발 목표
3. 연구 개발 성격
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1. HPAI연구의 필요성
2. 발생·전파·확산 요인별 역학조사 필요성
3. 살처분 및 이동통제 제한의 개선 필요성
4. 공간정보를 활용한 GIS 이용 분석
5. 야생조류의 분변, 폐사체 바이러스 생존기간 규명의 필요성
3절. 연구개발 범위
1. 연구 개발의 추진전략
2. 연구 개발의 추진방법
3. 연구 개발의 추진체계
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절. HPAI의 발생, 전파, 확산 요인별 위험요소 분석 및 위험순위 평가 (1세부과제)
1. HPAI의 발생·전파·확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 요인별 위험요인 대상 선정
2. 각 요인별 대상에 대한 위험성 순위 평가 및 요인별 평가 점검표 작성
3. 공간 및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한 시공간 역햑분석을 통한 전파, 확산 위험평가
4. 조류 종별 폐사체-분변 내 AI 바이러스 생존기간 및 닭-오리 간 AI 바이러스 발생 빈도 조사
5. 조류 축종별 전파 확산 요인 비교평가및 이동통제 범위 설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시
6. 시공간 결과를 바탕으로 한 발생 농장을 중심으로 한 살처분 범위 설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시
7. 종합적 위험평가 분석을 통한 과학적 근거 제시 및 결론
2절. HPAI 요인별 이동통제 범위와 살처분 범위 설정을 위한 GIS (지리정보시스템)기반의 공간분석과 결과 표현 (2협동과제)
1. AI 방역에서 GIS의 역할
2. HPAI와 관련된 공간(위치)정보의 조사 및 GIS 데이터 구축
3. 공간정보의 지도화(mapping)와 분포 특징
4. 기초 공간 분석
5. HPAI 공간 통계 분석
6. 요인간 관계 분석 및 HPAI 발생 농가간 네트워크 분석가
7. 연구의 결론을 통한 방역대책 및 정책안 제시
3절. 국내 HPAI 발생-전파-확산 요인에 대한 역학적 평가를 통한 현 방역 시스템 개선안 도출(1협동과제)
1. 현재 운영 중인 국내외 HPAI 관련 방역시스템의 현황조사 및 현지조사를 통한 비교분석
2. 이동통제 및 예방적 살처분 범위 설정에 대한 개선안 도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 마련
3. 이동통제 및 예방적 살처분 범위 설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국내 적용을 위한 개선안 도출
4. 살처분 후 사후관리 방법에 대한 관리방안 제시
5. HPAI 전파 환산 요인에 대한 종합적 역학적 평가를 위한 연구 방법
6. 국내 HPAI 이동통제 제한에 대한 종합적 역학적 평가 및 현 방역시스템 개선안 제시
7. 현 방역시스템 개선안
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1절. 목표달성도
2절. 관련분야 기여도
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6장.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7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8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9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10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1절.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제 1세부 과제 팀
2절. 농림축산검역본부 제 1협동 과제 팀
3절.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제 2협동 과제 팀
11장. 기타사항
12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