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르네상스 뒷골목을 가다

르네상스 뒷골목을 가다

  • 니콜라스 터프스트라
  • |
  • 글항아리
  • |
  • 2015-03-23 출간
  • |
  • 436페이지
  • |
  • 150 X 220 X 25 mm /722g
  • |
  • ISBN 978896735194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르네상스의 화려함에 감춰진 그늘을 추적한
미시사의 걸작

휴머니즘 시대의 자선기관을 작동시킨 죽음의 메커니즘을 파헤치다

“터프스트라는 문학적 증거, 지적 추론 그리고 생생한 역사적 상상력을 하나로 엮어 매우 읽을 만한 미시사를 서술하고 있다.”
_『미국역사학보』

“역사서술의 걸작이자, 전근대 이탈리아학에 대한 귀중한 공헌.”
_『근대사저널』


르네상스의 찬란한 문화가 꽃핀 이탈리아의 피렌체. 1544년 피렌체에서 가장 열악한 동네에 집 없는 소녀들을 위한 자선 쉼터인 ‘피에타의 집(연민의 집)’이 설립되었다. 그런데 처음 14년 동안 그곳에 수용되었던 526명의 소녀들 가운데 오직 202명만이 살아남았다. 사망률이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높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 미스터리의 이면에는 어떤 충격적 진실이 숨어 있을까? 이 책은 무엇이 이 사라진 소녀들을 죽음에 이르게 했는지를 르네상스기 피렌체의 성과 노동, 권력과
종교, 정치적 역학관계 등 복잡다기한 관점에서 추적한다. 저자는 극도로 제한된 당대의 자료에서 찾아낸 파편적인 단서들을 재구성해 피에타 소녀들을 둘러싼 운명의 실체를 하나씩 벗겨내면서, ‘문화의 황금기’라는 거대 서사의 서술에 가려졌던 어둡고 황망한 르네상스 세계를 추론해낸다.

르네상스 자선 쉼터의 모순

극심한 기아와 유행성 열병이 휩쓸고 간 르네상스기 피렌체에 한 무리의 자비로운 여성들이 부모를 잃거나 버림받은 수백 명의 10대 소녀를 돌보기 위해 1554년 크리스마스 무렵 보호시설의 문을 연다. ‘피에타의 집’의 탄생이다.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지닌 수십 명의 여성이 피에타의 집을 열기 위해 노력했다. 이 여성들의 모임을 이끌었던 마리에타 곤디는 보호소의 운영기금을 모으기 위해 끊임없이 가가호호 방문하여 후원자들을 설득했으며, 어떤 목공의 미망인이었던 모나 알레산드라는 거주 관리인으로서 거의 30년 동안 피에타의 집에 살면서 그곳을 소녀들을 위한 쉼터로 만들기 위해 많은 일을 했다. 이렇게 정성을 쏟은 보호소의 소녀들은 과연 무엇 때문에 죽어나갔을까? 저자에 따르면, 소녀들의 죽음은 단일하고 단순한 이유에서 비롯되지 않았다. 성적 경제적 종교적으로 철저히 계서화되어 있던 가부장 중심의 피렌체 사회에서 가장 열악한 지위에 놓일 수밖에 없었던 하층 소녀들의 삶을 지배했던 르네상스 특유의 ‘젠더의 정치학’이 교묘하게 작동한 결과였다.

산업 전략으로서 자선사업

피에타의 소녀들은 자신들의 쉼터를 유지하기 위해 노동을 해야 했다. 세속 종교봉사단체인 피에타회의 후견인들이 매년 서약과 함께 기부한 지원금만으로는 점차 구호소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감당할 수가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피에타의 집은 저임금의 노동집약적인 견직물 제조업 공장으로 변모해갔다. 견직물 제조업에 비해 공정이 훨씬 더 복잡해 고도로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했으며 그만큼 이윤도 높았던 모직물 제조업에는 남성 노동력이 이미 특권적인 지위를 점하고 있었다. 여성들과 소녀들에게 남은 것은 보다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기초적인 섬유 산업 즉, 견직물 제조업이었고, 당시 견직물 산업은 이탈리아의 경제구조를 뒤바꿔놓을 만큼 성장세에 있었다. 소녀들은 이제 물레 앞에 앉아 하루 종일 누에고치에서 견사를 뽑는 일을 해야만 했다. 견직물 제조업은 어린 여성이 감당하기에 무척 강도 높은 노동이었다. 피에타의 집 소녀들이 한 해에 생산한 500킬로그램가량의 견사를 뽑아내려면 30만 마리의 누에를 길러야 했고, 무려 100톤의 뽕나무잎을 누에에게 공수해줘야 했다. 그리고 누에고치에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는 필라멘트 섬유를 잣는 데에는 엄청난 집중력이 요구되었다.
소녀들의 노동은 견직물 도급 임금 체계에서 가장 밑바닥에 위치하고 있었다. 견직물을 짜는 여성들은 면직물을 짜는 여성보다 3배 혹은 그 이상의 수입을 올렸으나, 사회적 계서 질서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직업의 선택권이 있을 리 만무했던 피에타의 집 소녀들은 가장 고되지만 가장 값싼 일을 하도록 암묵적으로 합의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녀들이 견직물 한 필 가격의 단 1.5퍼센트에 불과한 임금을 받을 때 모직물 산업군의 인부들은 모직물 한 필 가격의 16~20퍼센트를 받았다. 이렇게 불합리한 노동 환경은 열악한 처우로 연결되었다. 할당된 양을 채우지 못한 소녀에게는 식사가 제공되지 않았다. 공간과 시간을 빽빽하게 채우고 있던 직물 생산 노동 때문에 소녀들이 직접적으로 얻게 된 상해는 과연 무엇이었을까? 과도한 노동에 시달린 피에타의 집 소녀들은 고치에서 실을 뽑아내기 위해 따뜻한 물을 담아놓은 그릇을 향해 여러 시간 굽은 자세로 일해야 했고, 이 때문에 쉽게 호흡기 질환에 걸렸다. 영양상태가 좋지 않았을 것이며, 지쳐 쓰러지기 일쑤였다. 폐결핵이 만연했고, 비좁은 침대 생활로 인해 피부병이 전염되었다. 그리고 “처녀들의 병”이 몇몇 소녀들에게서 발견되었다.

공공연한 성 착취

과도한 인구밀집 혹은 과도한 노동으로 인해 몇몇 소녀에게서 수수께끼 같은 질병의 증상이 나타났다. 두통과 쿵쾅거리며 뛰는 가슴, 무기력감부터 우울증 그리고 분노에 이르기까지의 불안정한 감정 상태, 식욕 감소, 위험한 빈혈 그리고 무월경 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병, “처녀들의 병”이라고 불린 “위황병”이었다. 전통적인 치료법에는 피 흘리기, 빵과 물만 먹이며 소녀들을 어두운 방에 감금하기 혹은 “선한 매질” 등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보다 더 충격적인 치료법은 당시 의학 서적이 소개한 방법이었다. 바로 그 질병을 앓는 소녀에게 성관계를 맺도록 하는 것이었다. 여성의 육체와 성을 주변화하고 대상화한 당대 르네상스인의 인식은 “처녀 치료”라는 굴절된 욕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르네상스기 성병에 감염된 일부 남성들은 처녀와 성관계를 가짐으로써 성병을 치유할 수 있다고 믿었다. 소녀의 순수한 처녀성이 유독성 물질을 흡수해 건강을 되찾게 해주리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확신은 어린이 강간으로 이어졌다. 저자는 극히 제한된 사료 탓에 단언할 수는 없지만, 피에타의 집에 수용된 소녀들 가운데 처녀 치료를 찾고 있던 남성들에 의해 폭행당한 아이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피에타 소녀 줄리아의 이야기는 르네상스기 피렌체의 몰염치한 성의 정치학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메디치 가문이 맏딸 엘레오노라의 결혼 상대인 만토바의 태자 빈첸초 곤차가의 성능력을 증명해보이기를 곤차가 가문에 요청했고, 피에타의 줄리아가 그 희생양이 되었던 것이다. 줄리아는 빈첸초 곤차가에게 겁탈을 당한 뒤 그 대가를 받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줄리아의 이야기는 당시 피렌체인들에게 사회의 최하층이었던 피에타의 소녀들이 그저 재산으로 간주되었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그녀들의 성은 보호의 대상이었지만 동시에 권력자들의 편의에 따라 사용될 수 있었다. 더욱이 여성의 육체와 성은 남성성을 확인하고 교육하는 물질적 상징적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성병과 낙태에 의한 죽음이 피에타의 집 소녀들에게 일상화될 수밖에 없었다.

종교와 권력의 역학 관계

피에타의 집은 위험한 삶의 단계를 거쳐야 했던 청소년기의 소녀들을 보호하기 위한 임시 보호소의 형태로 문을 열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점차 폐쇄적인 수녀원이자 섬유 제조업 공장으로 변모했다. 사실 피렌체의 홍등가 한복판에 보호소를 세우고, 도시의 다른 보호소라면 수용을 꺼렸을 법한 미심쩍은 평판의 소녀들을 받아들인 파에타회의 이상은 가장 취약한 영혼을 구하려 했던 사보나롤라의 비전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사보나롤라는 교회의 부패와 메디치 가문의 전제에 반대한 급진적 종교 개혁가로 민주적 정체를 구현하려 했으나 교황과 메디치 가문의 공작에 인해 이단으로 몰려 화형에 처해진 인물이다. 그런데 사보나롤라주의적 여성들에 의해 선의에서 문을 연 구호소가 어떻게 소녀들을 착취의 대상으로 전락시켜 죽음으로 내몰게 된 것일까? 그 죽음의 메커니즘에는 앞서 언급한 보호소의 ‘공장화’뿐 아니라 ‘수녀원화’가 자리하고 있다.
초기의 피에타회는 특정 교단의 통제 아래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원자를 여럿 두고 그들의 기부금에 의존해 운영했다. 새로운 소녀의 입회 절차를 비롯한 행정 체계도 비교적 느슨하게 유지했다. 그러나 교회와 메디치 가문의 타협의 결과로 그간 피렌체 교구에 발을 들이지 못했던 근본주의적 종교 세력이 피렌체에 유입된 것을 발단으로 상황은 바뀌었다. 피렌체의 모든 병원과 교회, 구호소가 새로운 교령에 따라 개혁의 대상이 되었고, 피에타회와 같은 세속적 종교 공동체도 예외일 수 없었다. 피에타의 집은 이제 도미니코회와 같은 특정 교단의 책임 아래 흡수되었으며, 엄격한 운영 체계를 갖추게 되었고, 더 이상 예전의 개방적이고 일시적인 쉼터가 아니라 종교적 훈육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성의 정치학이 낳은 희생자들을 위한 호스피스에서, 바로 그 동일한 성의 정치학을 위한 대행업소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소녀들은 세상과의 교류가 끊어진 채 쉼 없이 노동하며 줄리아와 같은 운명을 기다려야 하는 처지가 되어버렸다.

파편화된 자료로 재구성한 르네상스의 뒷골목

저자는 피에타의 집 소녀들이 죽음에 이르게 된 정확한 원인을 해명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과도한 노동, 성병과 관련된 가설들이 추측에 의존해 있고 또 그 추측의 근거가 희박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녀들의 짧은 삶을 둘러싼 일부 상황을 재구성하고 누가 그녀들을 어떻게 도왔는지에 대해서는 살펴보는 것뿐이다. 그러나 피에타의 집은 여전히 침묵의 베일에 싸여 있는 미스터리다. 공문서나 노벨라 같은 당대의 문헌 가운데 어떤 것도 소녀들의 삶과 죽음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마나 『피에타의 집 자매들의 연대기』는 소녀들의 삶과 죽음에 대해 증언하고 있지만, 그 기록은 그곳을 ‘신의 사역’이자 ‘수도사들의 업적’으로 만들고자 했던 종교 지도자들에 의해 가공된 기록에 지나지 않는다. 『르네상스 뒷골목을 가다』는 이렇게 왜곡된 사료의 ‘행간을 읽음’으로써, 파편화된 단서들을 그러모아 재구성함으로써 ‘휴머니즘 시대를 작동시킨 죽음의 메커니즘’을 추적한다. 화려한 문화와 지성이 꽃핀 르네상스라는 거대 서사의 그늘에서 사라져간 삶들을 복원하는 미시사 연구의 결과물인 것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제1장 미스터리와 침묵
제2장 르네상스기의 성과 도시
제3장 르네상스기의 일하는 10대 소녀들
제4장 10대 소녀들과 산아제한
제5장 르네상스기의 근본주의자들과 곤경에 처한 소녀들
제6장 순결한 소녀들과 베누스의 질병
제7장 문서보관소 내의 파열음

부록 성의 정치학: 줄리아와 곤차가의 태자
연대, 통화, 척도에 관한 주해
약어 설명

참고문헌
감사의 글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니콜라스 터프스트라Nicholas Terpstra는 캐나다 토론토대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레기나대를 거쳐 현재 토론토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근대 초 유럽사와 젠더의 역사 등을 가르치고 있다. 피렌체의 빌라 이 타티Villa I Tatti에서 방문학자로 연구 활동을 수행했으며, 『계간 르네상스Renaissance Quarterly』 『16세기 연구Sixteenth Century Journal』 등 저명한 학술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르네상스기와 근대 초 이탈리아의 사회문화사 및 젠더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제도와 종교의 관계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자선의 문화: 여성, 정치 그리고 르네상스기 이탈리아의 빈민 구제 개혁Cultures of Charity: Women, Politics and the Reform of Poor Relief in Renaissance Italy』(2013), 『르네상스기 이탈리아의 유기된 아이들: 피렌체와 볼로냐의 고아 구호Abandoned Children of the Italian Renaissance: Orphan Care in Florence and Bologna』(2005), 『르네상스기 볼로냐의 세속 종교봉사단체와 시민 종교Lay Confraternities and Civic Religion in Renaissance Bologna』(1995) 등이, 편저로 『의례적 친족관계의 정치학: 근대 초 이탈리아의 세속 종교봉사단체와 사회질서The Politics of Ritual Kinship: Confraternities and Social Order in Early Modern Italy』(2000) 등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