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승과 명찰

고승과 명찰

  • 황원갑
  • |
  • 바움
  • |
  • 2010-09-30 출간
  • |
  • 578페이지
  • |
  • 153 X 224 X 35 mm /828g
  • |
  • ISBN 9788958830870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명찰에 서린 고승대덕의 발자취

중견소설가이며 역사연구가인 황원갑 씨가 명산명찰에 서린 고승 32명의 장엄했던 일생을 그린 『고승과 명찰』을 펴냈다.
명산의 기슭마다 자리 잡은 명찰 대부분은 한국 불교사를 빛낸 고승대덕과 거사들의 파란만장하지만 장엄했던 한 삶의 자취가 서린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고승들이 한국불교의 유구한 법맥을 잇고 빛나는 종통을 수호하기 위해 피눈물로 고행 정진하던 성스러운 명산 고찰,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의 보살행을 실천하던 역사적 현장을 단순한 관광지나 유원지로 가볍게 보아 넘겨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관광객은 경치를 보지만 순례자는 역사를 읽는다’는 말도 있지 않은가. 역사는 흘러가도 후세에 교훈을 남기고 인걸은 사라져도 산하에 자취를 남기는 법이니, 이는 세상의 모든 것이 덧없이 변하더라도 선현들이 남긴 진리만은 한결 같아서 늘 변함이 없는 이치와도 같다고 하겠다.
우리나라에 불법이 전해진 지도 이미 2,000년을 헤아리기에 이르렀다. 불교는 오랜 세월을 두고 여러 경로, 여러 형태로 우리나라에 전해지고 오늘에 이르는 동안 숱한 사건과 인물을 낳았다. 시대는 인걸을 낳고 인걸은 시대를 이끌어왔듯이 온갖 영욕으로 점점이 이어진 우리나라의 불교사 역시 법력(法力) 높은 고승대덕, 신심(信心)이 투철한 거사들의 위대했던 일생의 연속이나 마찬가지였다.
불교는 삼국시대 초기 가야를 비롯해 고구려·백제·신라 등을 통해 이 땅에 전해져 발상지인 인도와 전래지인 중국의 불교와는 또 다른 ‘한국적 불교’로서 융합과 재창조의 과정을 거치며 끊임없이 현세의 불국정토(佛國淨土)를 지향해왔다. 특히 불교는 오랜 세월을 두고 우리 민족의 정신사는 물론, 문화·정치·사회·경제사적으로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나큰 영향을 미쳤다.
신라에서 시작된 한국불교의 진흥은 민족의 자주정신을 드높이고 세계적으로 빼어난 문화예술 창조에 커다란 기여를 했으니, 현존하는 국보 및 보물급 국가문화재의 약 70%가 불교문화재라는 사실이 이를 잘 증명해주고 있다. 다시 말해 한국문화사는 곧 불교문화사와 마찬가지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다.
무엇보다도 불교는 민족정신사에 큰 자취를 남겼다. 난세에 영웅이 일어나듯 불교 암흑기마다 걸출한 고승대덕이 나타나 불법을 수호하고 법맥을 이어왔으며, 외세의 침범으로 이리저리 쫓겨 다니며 간고한 삶을 이어나가던 서민대중, 왕조시대에 압제와 수탈 속에서 신음하던 중생과 고락을 함께 하며 불법을 펼쳤다.
삼국 혈전의 풍운 속에서 원효성사가 한국불교의 새벽을 열었으며, 김대성 거사는 불국사와 석굴암을 세워 신라불교의 황금시대를 이룩했다. 백제가 망한 뒤에는 진표율사가 미륵불의 현신으로서 유민들의 아픈 가슴을 어루만져주었고, 신라 말 후삼국시대에는 도선법사가 창조적 풍수비보사상(風水裨補思想)을 통해 불법을 펼치고자 애썼다.
또한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여러 종파가 난마처럼 얽혀 법맥(法脈)이 어지럽고 승려들의 타락상이 극심하던 고려시대에는 대각국사와 보조국사가 제종합일(諸宗合一)·선교회통(禪敎會通)을 위해 진력했으며, 고려 말 조선 초의 혼란기에도 나옹 혜근, 태고 보우, 무학왕사 같은 고승들이 불교중흥의 비원을 위해 헌신했다. 이어진 억불숭유의 불교암흑기에도 보우대사, 서산대사, 사명대사, 진묵대사 같은 고승이 호국의 앞장에 서거나, 전란 중의 혼란기에 방황하는 중생의 영혼을 불법의 세계로 이끌었다.
뿐만 아니다. 불법이 쇠미해져가다가 급기야는 이 땅에서 목탁과 염불 소리가 영영 사라져버릴 위기에 처한 조선왕조 말기에는 경허선사가 우뚝 일어서 꺼져가던 법등에 다시 새로운 불을 크게 밝혔으며, 그의 뒤를 이어 일제강점기에 왜색 불교와 맞서 민족 불교를 지킨 수월·혜월·용성·학명·만공·만공·한암·동산·경봉·금오선사, 그리고 상월조사 같은 숱한 거목이 자라났던 것이다. 이 책은 이처럼 우리나라 불교사를 빛낸 고승대덕과 거사 32명의 일대기와 그들이 머물던 사찰 이야기를 다양한 관련 사진과 곁들여 상세히 엮은 것이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자료를 수집하고 전국의 산사를 답사하며 나름대로는 취재에 최선을 다하고자 노력했으나 책으로 묶으면서 보니 부족한 점, 아쉬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는 오로지 나의 공부가 부족한 탓이니 미흡한 점은 뒷날의 인연으로 미룰 수밖에 없다. 모자라고 아쉬운 점이 있더라도 이 책이 말세처럼 혼탁한 오늘의 현실에서 대자대비를 가장 큰 미덕으로 삼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새기고, 고승들의 장엄했던 일생과 위대한 업적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덧붙인다.
“나는 이 책을 통해 고승의 일생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사의 흐름을 되짚어보고자 했지만, 이 책이 꼭 불자들만을 위한 책은 아니라는 점을 말하고 싶다. 이 책의 주인공들은 걸출한 불교지도자였을 뿐만 아니라 그 시대에 민족 정신사를 이끌어온 겨레의 위대한 스승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책속으로 추가]

삼보란 불교에서 보배롭고 귀중히 여기는 세 가지, 곧 불·법·승을 가리킨다. 그런데 아쉽게도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어느 곳을 찾아보아도 이 삼보를 모두 갖춘 절은 없다. 우리나라의 삼보 사찰이란 불보(佛寶) 사찰인 경남 양산의 통도사(通度寺), 법보(法寶) 사찰인 경남 합천의 해인사(海印寺), 승보 사찰인 송광사 이 세 절을 일컫는 것이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통도사는 신라시대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모셔왔다는 부처님의 정골사리(頂骨舍利)와 금란가사를 모시고 있다고 하여 불보 종찰이 되었고, 해인사는 고려시대에 만든 팔만대장경을 보존하고 있다고 하여 법보 종찰이 되었으며, 송광사는 본 편의 주인공인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을 비롯하여 16명의 국사를 배출했다고 하여 승보 종찰이 되었다. 그런데 해인사에 팔만대장경이 보관되기 시작한 것이 조선시대로 접어든 1399년(정종 1)의 일이고, 송광사의 16국사 가운데 마지막 분이며 무학대사(無學大師)의 사제인 고봉화상(高峰和尙) 법장(法藏)이 고려시대에 태어났지만 송광사 중창을 시작한 해가 정종 원년이었으니, 따라서 삼보 사찰이란 명칭은 조선시대에 들어서고 난 뒤에 생겨난 것이다. 어쨌든 송광사는 예로부터 승보 종찰로 이름난 절이니만큼 청정한 승풍(僧風)을 지켜온 것으로도 널리 이름이 났다. 언젠가는 이런 일도 있었다고 전해온다. 옛날에 어떤 스님이 송광사에 크게 깨우친 고승이 계시다는 소문을 듣고 가르침을 받으려고 찾아왔다. 조계산으로 들어서서 송광사 들머리로 향해 시냇물을 따라 걸어 올라가다 보니 냇물에 배춧잎 하나가 둥실둥실 떠내려오는 것이었다. 스님은 그것을 보더니, “뭐 이런가. 이렇게 음식물 하나 아낄 줄 모르는 절에 무슨 고승이니 대덕이 있을 턱이 있겠는가. 에이, 헛걸음만 했구나” 하고 실망하며 그 자리에서 발길을 돌리고 말았다. 그리고 한참을 오던 길을 되짚어 가는데 뒤에서 “스님, 스님” 하고 부르는 소리가 들려왔다. 걸음을 멈추고 고개를 돌려 바라보니 사미승 하나가 헐레벌떡 뒤따라오며 부르고 있었다. “왜 부르느냐” 하고 스님이 묻자 사미승이 이렇게 되묻는 것이 아닌가. “스님, 혹시 오시다가 냇물에 배춧잎 하나 떠내려가는 걸 보지 못하셨습니까?” “봤지” 그러자 사미승은 떠내려간 배춧잎을 찾으려고 부리나케 시냇물을 따라 달려 내려갔다. 그 모습을 보고서야 스님은 “그러면 그렇지! 송광사의 승풍이 준엄하다는 말이 과연 헛말은 아니었군” 하면서 다시 발길을 돌려 송광사로 올라갔다고 한다.
― 199쪽

서산대사는 한동안 지리산에서 수행에 정진하다가 오대산ㆍ금강산 같은 명산과 대찰을 두루 돌아다니다가 30세가 되던 해에 서울로 올라가 33세에 승과(僧科)를 보아 중선과(中禪科)에 합격한 뒤에 이어 대선(大選)에도 장원으로 급제하여 36세가 되던 1555년(명종 10) 4월에는 교종판사(敎宗判事)가, 같은 해 7월에는 선종판사(禪宗判事)가 되었다. 당시 서산대사가 급제한 과거는 앞서 「태고 보우국사와 삼각산 태고사」 편에서 밝힌 것처럼 연산군 때 폐지되었다가 문정왕후에 의해 부활된 제1회 승과였다. 서산대사는 2년 뒤 판사니 주지니 하는 모든 승직을 버리고 금강산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그 이듬해에는 지리산으로 찾아갔다. 이때 금강산으로 가면서 지은 것으로 알려진 시가 바로 유명한 삼몽사(三夢詞)라고 한다.

주인은 손님에게 꿈 이야기를 하고
손님은 주인에게 꿈 이야기를 하네
지금 모두 꿈이라고 말하는 저 손님
그 또한 꿈속의 사람이려니
― 339쪽

초의선사는 무엇보다도 먼저 조선조 500년간 간신히 명맥을 이어오던 우리나라 다도(茶道)의 중흥조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동다송(東茶頌)』, 『다신전(茶神傳)』 같은 차에 관한 명저를 엮어 잊혀져가고 사라져가던 우리 고유의 차 문화의 역사와 우수성을 재조명ㆍ재정립한 큰 공로자이다. 그래서 그를 가리켜 우리나라의 ‘다성(茶聖)’이라고 일컫는 것이다. 하지만 초의선사는 단순히 차 문화에 관해서만 큰 업적을 남긴 분은 아니다. 그는 조선왕조 말기인 19세기에 한국 선종사(禪宗史)를 크게 빛낸 대선사였고, 시ㆍ서ㆍ화에도 ‘삼절(三絶)’로 불릴 만큼 뛰어난 예술가였으며, 실학을 깊이 연구하여 실사구시(實事求是)를 몸소 실천한 생활철학가이기도 했다. 특히 한국 불교사에서 ‘선문사변만어(禪門四辯漫語)’를 통한 백파선사(白坡禪師)와의 선(禪) 논쟁은 너무나도 유명한 일대 사건이었다. 그는 이를 통해 침체기에 빠져들어 있던 당시 불교계에 활기를 불어넣고 새로운 활로를 제시했다. 교(敎)보다는 선(禪)에 주력하여 선 우위설을 주장한 백파선사의 이론에 맞서 초의선사는 “모든 법이 서로 다르지 않으며(諸法不二), 평상심이 곧 도(平常心是道)”라고 강조했다. 그는 선이나 교 어느 한쪽으로만 치우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선과 교는 바로 하나라고 했으니 이는 곧 보조 지눌, 태고 보우와 서산대사의 가르침을 이은 것으로 서산종찰(西山宗刹) 두륜산 대둔사 13대 대종사(大宗師)다운 사자후라 할 만했다.
― 381쪽

경허가 충남 청양 칠갑산 장곡사에 주석할 때에도 만공이 모시고 있었다. 어느 날 마을 사람들이 곡차와 파전 따위를 마련하여 경허를 대접했다. 술자리가 무르익었을 때 만공이 말했다. “스승님, 저는 술이 있으면 마시고 없으면 안 마십니다. 파전도 생기면 먹고 없으면 굳이 먹으려 하지 않습니다.” 그러자 경허가 이렇게 대꾸했다. “오호, 그래? 너는 벌써 무애의 경지에 이르렀구나. 나는 그렇지 못해서 술이 먹고 싶으면 가장 좋은 밀씨를 구해 밭을 갈고 씨를 뿌려 김매고 가꾸어 익으면 누룩을 만들어 술을 빚고 걸러 마실 것이야. 또 파전도 먹고 싶으면 파씨를 사다가 밭을 갈아 파를 심고 거름을 주어 잘 가꾸어 익으면 파전을 부쳐서 먹을 것이야.” 이 말을 듣는 순간 만공은 등줄기에 식은땀이 흐르고 등골이 오싹해지며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고 뒷날 술회했다. 또 하루는 경허가 만공을 데리고 탁발을 나갔다가 돌아오는 길이었다. 해는 기울어가고 갈 길은 먼데 시주받은 쌀은 바랑에 가득해 어린 만공은 죽을 지경이었다. 간신히 경허의 뒤를 쫓아 어느 마을을 지나게 되었다. 그런데 어느 집에서 새색시가 물동이를 이고 나오는 것이 보였다. 그러자 앞장서 가던 경허가 느닷없이 달려들어 색시의 두 귀를 잡고 번개같이 입을 쪽 맞추는 것이 아닌가. 놀란 색시는 비명을 지르며 물동이를 떨어뜨렸다. 여자의 비명과 물동이 깨어지는 소리에 동네 사람들이 이 집 저 집에서 쫓아나와 자초지종을 알고는 손에손에 몽둥이를 들고 두 중을 잡으려고 달려들었다. 경허가 먼저 걸음아 나 살려라 도망쳤고 만공도 잡히면 죽을 판이라 정신없이 뒤쫓아 달음질쳤다. 순식간에 마을을 빠져나와 멀리 도망친 뒤 한숨을 돌리고 나자 경허가 껄껄 웃으며 물었다. “어때? 죽어라 하고 뛰니까 바랑이 무거운 줄을 조금도 모르겠지?”
― 408쪽

동산이 해인사 선원의 조실로 추대된 것은 1930년 그의 나이 41세 때였다. 당시 머리를 깎지 않고 선방에 찾아온 청년 한 사람을 발견하여 선의 세계로 이끌었으니 그가 뒷날 종정을 지낸 성철(性澈) 스님이다. 그런데 동산은 그해 동안거에는 안변 석왕사의 조실로 초빙되어 갔다가, 2년 뒤인 1932년에는 다시 범어사로 돌아와 원효암에 주석하며 정진하기 시작했다. 그 이듬해 금어선원으로 옮겨 하안거 중이었다. 동산은 개울에서 목욕을 하고 돌아오는 길에 대숲을 스쳐가는 바람소리가 심상치 않음을 느꼈다. 대나무 잎들이 바람에 울리는 소리를 듣는 순간 홀연 대오했던 것이다. 동산은 이렇게 대오송을 읊었다.

그리고 그린 것이 몇 해이던가.
붓끝이 닿는 곳에 살아 있는 고양이로다.
온종일 창 앞에서 늘어지게 잠자고
밤이면 예전처럼 늙은 쥐를 잡는구나.

이 소식을 용성선사에게 아뢰었더니 스승은 동산이 한 소식했음을 알고 흔쾌히 인가해 주었다고 한다.
― 516쪽

경봉은 1927년 초겨울에 극락암에서 법주 겸 설주가 되어 화엄산림법회를 시작했는데, 은사인 해담화상과 교대로 설법을 했다. 그가 여래선(如來禪)의 깨달음을 통해 득도한 때가 바로 이 법회를 시작하며 좌선 수행하던 그 해 양력 12월 13일 오전 2시 30분이었다. 갑자기 바람도 없는데 촛불이 춤추듯 하면서 눈앞이 환하게 밝아지고 천지간의 경계조차 사라진 가운데 만물이 하나가 되는 일원상이 나타났던 것이다. 그 순간 경봉은 납덩이처럼 수십 년 동안 가슴을 짓누르던 모든 의문이 풀리고 지혜와 광명으로 충만한 큰 깨달음을 얻었던 것이다. 다음 순간, 무릎을 치며 벌떡 일어선 경봉은 문을 박차고 뛰쳐나가 이렇게 오도송을 읊었다.

내가 나를 온갖 것에서 찾았는데
눈앞에 바로 주인공이 나타났네
하하, 이제 만나 의혹이 사라졌으니
우담바라 꽃빛이 온 누리에 흐르네

16세에 출가하여 20년 동안 그토록 애타게 찾아 헤매던 ‘참된 나’를 마침내 찾아낸 것이었다. 참으로 경봉선사의 20년간의 운수행은 ‘나를 찾아다닌 길고 험한 여행’에 다름 아니었다. 경봉선사는 자신의 깨달음을 인가받기 위해 오도송을 곁들여 보임(保任), 곧 깨달은 이후의 수행 방법을 묻는 서신을 당대의 이름난 선지식인 만공·한암·용성 같은 고승들에게 보냈다. 대부분 경봉선사의 대오를 인가하고 축하하는 답신을 보냈는데, 오로지 경허선사의 법제자 만공에게서만 이렇다저렇다 하는 아무 회답이 없었다. 만공은 경봉보다 21세 연상이다. 얼마 뒤에 서울 선학원에서 만공선사를 만난 경봉선사는 인사를 드린 뒤에 자신의 오도송을 받아보았는지 물어보았다. 그러자 만공선사가 대답했다. “그처럼 막중한 일을 어찌 글로 전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지금 가르쳐주십시오.”
“스님 자신이 그 깨달음의 경지를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살펴보시오.”
그러자 경봉이 갑자기 만공의 팔을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힘껏 눌렀다. 만공이 경봉을 쳐다보며 빙그레 웃었다고 한다. 그것이야말로 두 고승의 말없는 선문답이었다.
― 540쪽

저자소개

저자 황원갑은 1945년 강원도 평창에서 출생했고, 춘천고와 서라벌예대 문창과를 졸업했다. 198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1983년 신동아 복간기념 논픽션에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한국일보와 서울경제 기자를 지냈으며, 2003년부터 소설 창작과 역사서 집필에 전념하고 있다. 현재 한국소설가협회·한국문인협회·대한언론인회·단군학회·고조선학회·고구려발해학회 회원이다.
저서로는 소설집 『비인간시대』(중편소설집) 『나를 여왕이라 부르라』(역사인물소설집) 『연수영-불멸의 전설』(장편역사소설), 역사서 『역사인물기행』 『인물로 읽는 한국 풍류사』 『부활하는 이순신』 『한국사 제왕열전』 『한국사 여걸열전』 등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