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 개념 서브를 출간하면서
Glasser는 훌륭한 교사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 적이 있다. “나는 우리 선생님이 아빠, 엄마 다음으로 좋아.”라고 말하는 경우, 선생님의 곁을 떠난 뒤에도 ‘선생님을 존경하고, 그리워하며 선생님과 함께 찍은 사진을 자주 보는 학생’의 선생님이 훌륭한 선생님이라고 하였다.
훌륭한 교사는 학습자들과 교실내외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수업을 하는 선생님, 학습자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학습동기를 증진시키는 교사가 좋은 수업을 하는 것이고 좋은 수업을 하는 교사가 훌륭한 교사이다.
수업(instruction 또는 teaching)은 계획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수행하는 교육의 한 과 정으로 핵심적인 요소는 ‘목적’과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사전에 계획된 ‘교육 자료’이다. 또한 수업이라는 교육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교사와 학습자 모두 동기와 열성이 유발되어야 한다. 교육 목적이나 교육 자료 등 거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업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 및 흥미 유발 등 미시적 측면도 포함하여, 단위 시간에 수행되는 모든 교육 활동이 수업이다.
Gagne는 수업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목적, 내용, 방법, 평가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수업은 이러한 요소들이 상호 조화를 이루면서 효율적으로 작용할 때 효과적이다.
최근 임용고시 문제를 보면 교과별 수업장면 분석 문항이 자주 출제되고 있다. 교사는 수업계획, 실행, 평가 전 과정에 걸쳐 국가고시 교육과정에 근거를 두고 학습자의 개인차 요인을 최대한 반영해야 한다. 시험범위에 관련해서 보면 위에서 언급한 ‘목적’이 국가고시 교육과정이고, ‘교육 자료’가 교사용 지도서 및 교과 교육론에 해당된다.
이 교재 출간 1차 목적은 수험생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교실 적용에 있다.
저자가 임용고시 강의를 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났고 매해 서브노트를 출간한 바 있다.
지금까지의 가로 편집 형식을 과감히 버리고 올해 처음으로 세로 편집 형식으로 전환하여 더 압축된 수험서로서의 성격을 강조하였다.
이 교재가 수험생 여러분들의 합격과 향후 교사 생활에 있어 든든한 이론적 토대가 될 것임을 확신합니다.
2017년 4월 1일
배재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