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에는 보급목표를 재설정 하고 산업목표를 새로이 설정할 예정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수단으로 ’12년 RPS시행, ’15년 RFS(수송) 시행 예정, ’16년 RHO(열공급 의무화)시행을 위한 법 개정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정책 추진에 따라 전체 신재생에너지 공급량 중 폐기물에너지(67.7%, 2012년 기준)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바이오에너지(15%)의 사용이 증가될 예정이며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바이오에너지의 안정적인 국내 중장기 원료 수급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바이오에너지 수요증가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 잠재되어 있는 미활용 바이오매스의 활용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으며, 그 중 작물 및 농업 부산물의 경우 잠재량은 높으나 에너지화 비율이 낮아 그 활용증진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농업부산물은 발생하는 시기나 장소 그리고 바이오매스 특성 자체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농업부산물 종류별로 가지고 있는 열량, 발생 시기 및 장소, 발생량, 보관방법, 생산주체 등 을 고려하여 이를 활용하기 위한 수거이용방안을 수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