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길을 가야 하는 한국 경제!
전작 《한ㆍ중ㆍ일 경제 삼국지》는 한ㆍ중ㆍ일이 상호보완적 협업관계를 벗어나 운명을 건 전면전을 벌일 것이라 전망하고,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경제를 먹여 살릴 영역은 무엇이며, 그 전망은 어떤지, 우리의 경쟁력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해 미래의 경쟁에서 제대로 살아가자는 취지로 쓴 책이었다. 그리고 4년 만에 다시 이어진 『한ㆍ중ㆍ일 경제 삼국지』 제2권에서는 경제 삼국지의 전황을 살피고 한국의 생존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책은 30년간 한국 경제ㆍ산업정책을 운용해 온 저자가 정부, 기업, 대학, 경제연구소의 전문가들과 함께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치열하게 토론한 결과물이다.
경제 삼국지의 전황을 살펴보면, 중국의 추격은 성공적이었으나 일본과 한국의 전진은 미미했다. 중국에 비해 절대적인 비교우위를 확보한 한국의 주력산업은 메모리반도체산업이 유일하고, 다른 산업은 점차 중국에 추월당할 것이다. 일본은 여전히 아날로그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이며, 자동차산업과 소재, 부품, 장비산업에서 비교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쇠퇴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경제ㆍ사회시스템을 제로베이스에서 새로 혁신하지 않으면 최악의 위기인 ‘블랙스완’에 빠질 수 있는 절박한 상황이다. 국가혁신시스템 구축, 혁신적 중소ㆍ중견 기업의 체계적 육성, 산업구조의 전략적 개편, 획기적 저출산 및 고령화 대책 등 하나하나가 한국 경제의 운명을 결정할 시대적 과제다. 이제 위기를 똑바로 응시하고 혁신에 성공해야만 ‘한강의 기적’ 2탄을 쏘아 올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