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18 HOT 이환쌤의 전공국어-고전운문

2018 HOT 이환쌤의 전공국어-고전운문

  • 이환
  • |
  • 북이그잼
  • |
  • 2017-03-30 출간
  • |
  • 692페이지
  • |
  • B5
  • |
  • ISBN 97911568349399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자격을 갖춘 최고의 실력자가, 최고의 합격률을 기록하는 것은 중등 임용국어의 갈래별 문학영역 중, 고전운문 편 작품별 분석의 기본 교재 때문입니다. 2009 개정 과정 내용체계와 2012개정 성취 요소 내용에 따라 서답형 1차, 2차 시험에 맞게 문학사별, 갈래별, 작가별로 구성하여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임용 문학은 단순 지식의 암기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텍스트를 토대로 지식, 기능, 태도를 측정하는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학습을 입체적으로 구조화시켜 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교재는 갈래별 작품을 분석하기 위한 문학사 & 비평론, 문학교육론 & 문학갈래론 교재를 바탕으로 고전운문 갈래의 작품을 통합적으로 학습하여 서답형 1차, 2차를 대비 할 수 있는 기본 지식을 제공합니다.

 

지금까지는 고전운문을 단순히 해석 위주의 분석 학습을 하였다면, 이 교재는 기출을 통하여 출제 방향을 분석하여, 서답형 1차, 2차 시험의 문제 유형과 방향의 차이를 알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2009 개정 과정 내용 체계와 2012 개정 성취 요소, 2015 개정 성취 요소 내용에 따라 문학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고전운문 작품을 실제 시험 유형에 맞게 분석할 수 있도록 수험자 위주로 수험서를 구현하였습니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01. 서답형 1차, 2차 고전운문 영역의 기출문제를 흐름을 파악하고, 고전운문 평가 성취요소를 제시하여 학습할 지식을 출제 경향에 맞게 체계화할 수 있게 하였으며, 통합적인 문제의 출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통시적으로 구성하여 반복학습을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02. 고전운문은 시대별․작가별․갈래별로 구성하여 각 갈래의 특성과 발생 배경, 문학사적 의의와 가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사회적 맥락을 통하여 문학사․비평론, 문학교육론․문학갈래론에서 학습한 내용을 심화시켜 실전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내용을 형성하였습니다.

03. 각 갈래별 작품 분석은 감상의 초점을 바탕으로 본문 분석, 구성요소별 분석, 관련 배경지식 및 심화학습, 실전 적용문제로 구성하여, 단순한 문학 학습을 분석하는 차원이 아닌, 작품의 기본 지식을 습득하여 실전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체계화 하였습니다.

04. 현직 교사의 경험과 교과서 집필, 시험 출제자의 노하우를 통하여 지식을 실전 문제 풀이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구성하여 자연스럽게 지식을 습득하여 문제 풀이 능력이 향상되도록 구성한 교재입니다.

 

이 책은 이환 문학 교재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문학사․비평론, 문학교육론․문학갈래론을 바탕으로 영역별 작품을 분석한 시리즈 중, 고전운문 편으로 고전운문의 기본 지식과 전체적인 흐름을 잡아 문학 학습의 가이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환과 함께 이 교재를 통하여 학습한다면, 평소에 막혔던 문학의 체증이 확 내려 갈 것이며 문학을 보는 혜안이 생겨 임용 시험 합격은 물론 현장에서 국어교사로 학생을 지도할 때 빛을 발할 수 있는 교재입니다.

이 교재로 이환과 함께 임용을 준비하면 여러분의 꿈을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화된 꿈속에서 여러분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목차

<제1편 고대문학>

 

제1장 고대가요 ··· 13

 

01 개 관 · 13

02 작품의 이해 ··· 18

• 구지가(龜旨歌) - 구간 ··· 18

• 공무도하가(공후인) - 백수광부의 처(또는 여옥) ··· 25

• 황조가(黃鳥歌) - 유리왕 ··· 29

• 해가(海歌)(별칭:해가사) - 미상 ·· 33

• 정읍사(井邑詞) - 미상 ··· 37

 

제2장 향가(鄕歌) ···· 43

 

01 개 관 ···· 43

02 작품의 이해 ··· 47

• 서동요(薯童謠) - 무왕 ··· 47

• 헌화가(獻花歌) - 견우 노옹 ··· 52

• 풍요(風謠) - 만성 남녀(미상) ··· 56

• 도솔가(兜率歌) - 월명사 ··· 58

• 처용가(處容歌) - 처용 ··· 61

• 모죽지랑가(慕竹旨郎歌) - 득오 ··· 65

• 제망매가(祭亡妹歌) - 월명사 ··· 68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충담사 ··· 73

• 안민가(安民歌) - 충담사 ··· 80

• 원왕생가(願往生歌) - 광덕 ··· 84

• 혜성가(彗星歌) - 융천사 ··· 87

• 천수대비가(千手大悲歌) - 희명 ··· 90

• 원가(怨歌) - 신충 ··· 93

• 우적가(愚賊歌) - 영재(永才) ··· 99

• <균여전>에 전하는 향가 ··· 101

 

 

<제2편 중세문학>

 

제3장 고려속요(高麗俗謠) · 106

 

01 개 관 · 106

02 작품의 이해 ··· 114

• 정과정 - 정서 ··· 114

• 도이장가(悼二將歌) - 예종 ··· 119

• 가시리 - 작자 미상 · 122

• 서경별곡 - 작자 미상 · 127

• 동동 - 작자 미상 · 132

• 정석가(鄭石歌) - 작자 미상 ·· 138

• 청산별곡(靑山別曲) - 작자 미상 · 142

• 만전춘(滿殿春)별사 - 작자 미상 · 152

• 쌍화점(雙花店) - 작자 미상 ·· 156

• 사모곡(思母曲) - 작자 미상 ·· 160

• 이상곡(履霜曲) - 작자 미상 ·· 165

• 처용가 - 작자 미상 · 168

• 상저가(相杵歌) - 작자 미상 ·· 172

• 유구곡(維鳩曲) - 작자 미상 ·· 175

 

제4장 경기체가(景幾體歌) · 177

 

01 개 관 · 177

02 작품의 이해 ··· 181

• 한림별곡(翰林別曲) - 한림 제유 · 181

• 죽계별곡(竹溪別曲) - 안축 ··· 188

• 관동별곡(關東別曲) - 안축 ··· 198

• 상대별곡(霜臺別曲) - 권근 ··· 201

 

제5장 시조(時調) ··· 204

 

01 개 관 · 204

02 작품의 이해 ··· 221

• 하여가(何如歌) - 이방원 ··· 221

• 단심가(丹心歌) - 정몽주 ··· 223

• 탄로가(歎老歌) - 우탁 ··· 225

• 다정가(多情歌) - 이조년 ··· 226

• 평시조 - 회고가(懷古歌) ··· 227

• 평시조 – 연군가(戀君歌) ··· 229

• 평시조 - 강호가(江湖歌) ··· 233

• 평시조 - 연정가(戀情歌) ··· 238

• 평시조 – 경세가(警世歌) ··· 243

•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 맹사성 ··· 249

•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 이황 ··· 251

•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 이이 ··· 257

• 자경가(自警歌) - 박인로 ··· 262

• 훈민가(訓民歌) - 정철 ··· 264

• 오륜가(五倫歌) - 주세봉 ··· 268

• 견회요(遣懷謠) - 윤선도 ··· 271

• 몽천요(夢天謠) - 윤선도 ··· 275

• 오우가(五友歌) - 윤선도 ··· 278

• 만흥(漫興) - 윤선도  282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윤선도 ··· 285

• 어부가(漁父歌) - 이현보 ··· 288

• 농가구장(農歌九章) - 위백규 ··· 294

• 전가팔곡(田家八曲) - 이휘일 ··· 300

•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 - 권호문 ··· 304

• 장진주사(將進酒辭) - 정철 ··· 311

• 사설시조 - 연정가 ··· 313

• 사설시조 - 풍자시 ··· 320

• 사설시조 - 한정가 ··· 325

 

 

<제3편 조선 전․후기문학>

 

제6장 악장(樂章)문학 ··· 331

 

01 개 관 · 331

02 작품의 이해 ··· 335

• 감군은(感君恩) - 상진 ··· 335

• 신도가(新都歌) - 정도전 ··· 338

• 유림가(儒林歌) - 작자 미상 ·· 341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정인지 외 · 344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세종 ··· 358

 

제7장 가사(歌辭)문학 ··· 363

 

01 개 관 · 363

02 작품의 이해 ··· 380

• 상춘곡(賞春曲) - 정극인 ··· 380

• 면앙정가(俛仰亭歌) - 송순 ··· 389

• 성산별곡(星山別曲) - 정철 ··· 398

• 누항사(陋巷詞) - 박인로 ··· 405

• 만분가(萬憤歌) - 조위 ··· 411

• 사미인곡(思美人曲) - 정철 ··· 417

• 별사미인곡(別思美人曲) - 김춘택 · 427

• 속미인곡(續美人曲) - 정철 ··· 429

• 만언사(萬言辭) - 안조한 ··· 439

• 북천가(北遷歌) - 김진형 ··· 443

• 규원가(閨怨歌) - 허난설헌 ··· 447

• 상사별곡(相思別曲) - 작가 미상 · 455

• 봉선화가(鳳仙花歌) - 작자 미상 · 461

• 관등가(觀燈歌) - 작가 미상  467

• 춘면곡(春眠曲) - 작가 미상 ·· 469

• 태평사 - 박인로 ··· 474

• 선상탄(船上嘆) - 박인로 ··· 481

• 고공가(雇工歌) - 허전 ··· 493

•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 - 이원익 ··· 499

• 용부가(庸婦歌) - 작가 미상 ·· 504

• 우부가(愚夫歌) - 작가 미상 ·· 513

• 계녀가(誡女歌) - 작자 미상 ·· 520

• 관동별곡(關東別曲) - 정철 ··· 523

•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 김인겸 ··· 543

• 연행가(燕行歌) - 홍순학 ··· 553

•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 정학유 ··· 569

 

제8장 잡가(雜歌) ··· 578

 

01 개 관 · 578

02 작품의 이해 ··· 582

• 유산가(遊山歌) - 작자 미상 ·· 582

 

제9장 민요(民謠)···  586

 

01 개 관 · 586

02 작품의 이해 ··· 592

• 시집살이 노래 - 작자 미상 ··· 592

• 베틀노래 - 작자 미상 · 595

• 논매기 노래 - 작자 미상 ··· 598

• 잠노래 - 작자 미상 · 601

• 이어도 타령 - 작자 미상 ··· 604

• 밀양 아리랑 - 작자 미상 ··· 606

• 아리랑 타령 - 작자 미상 ··· 609

 

제10장 한문학(한시) · 612

 

01 개 관 · 612

02 작품의 이해 ··· 616

•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 을지문덕 ·· 616

•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 최치원 ·· 618

• 추야우중(秋夜雨中) - 최치원 ··· 622

• 야청도의성(夜聽擣衣聲) - 양태사 ··· 625

• 부벽루(浮碧樓) - 이색 ··· 627

• 송인(送人) - 정지상  630

• 절화행(折花行) - 이규보 ··· 634

• 동명왕편(東明王篇) - 이규보 ··· 637

• 사리화(沙里花) - 이제현 ·· 644

• 도중(途中) - 김시습 · 646

• 빈녀음(貧女吟) - 허난설헌 ··· 648

• 곡자(哭子) - 허난설헌 ··· 650

• 봄비 - 허난설헌 ··· 652

• 보천탄에서(寶泉灘卽事) - 김종직 ··· 654

• 독좌(獨坐) - 서거정 ··· 656

• 독서유감(讀書有感) - 서경덕 ·· 659

• 불일암 인운스님(佛日庵贈因雲釋) - 이달 · 661

• 안락성을 지나며<過安樂見(과안락견)> - 김병연 ··· 663

• 보리타작(打麥行) - 정약용 ··· 665

• 구우(久雨) - 정약용 ··· 669

• 탐진촌요(耽津村謠) - 정약용 ··· 671

• 시벽(詩癖) - 이규보  673

• 만보(晩步, 저녁에 산보하며) - 이황 ·· 676

• 절구(絶句) - 두보 ···  678

• 귀안(歸雁) - 두보 ··· 680

• 등악양루(登岳陽樓) - 두보 ··· 682

•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 두보 ··· 684

• 강촌(江村) - 두보 ··· 686

• 춘망(春望) - 두보 ··· 688

저자소개

이환

• 1급 정교사(서울사대 중1정 제90-101209호), 연세대 대학원 졸업

• 동덕여고 현직교사(15년)로 실전 강의와 연구수업 및 교사 연수 담당 부장

• (전) EBS언어, 논술강사 및 출제 위원

• (전) 수능언어 모의 평가 및 출제, 검토 위원

• (전) EBS임용국어(문학)강사

• (전) 공무원 국어시험 출제 위원

• 교학사, 두산동아, 미래엔 교과서, 지도서 해설 저자.

• 15년 간 모의고사 및 교과서 문제집 출제 경력

• (현)유네드 논술, 국어 세상 원장(강남) 

• (현)아모르이그잼 임용고시 국어과 교수

 

저서

• 두산, 교학사, 한샘, 대한교과서, 비상 고등부 수능언어, 논술교재 등 다수 집필

• 전국 언어모의고사 및 수시논술, 심층면접 출제 및 지도위원

• 2012대입 수시적성 대학별 교재(넥젠북스)저자

• 이환 전공국어 문학총론(북이그잼)

• 이환 전공국어 고전운문(북이그잼)

• 이환 전공국어 고전산문(북이그잼)

• 이환 전공국어 기출문제분석(북이그잼챔)

• 이환 전공국어 현대소설(북이그잼)

• 이환 전공국어 현대시(북이그잼)

• 이환 전공국어 문학사·비평론(북이그잼)

• 이환 전공국어 국어교육론(북이그잼)

• 이한정집 문학(북이그잼)

• 이한정집 문법(북이그잼)

• 이한정집 교과(북이그잼)

• 이한정집 문법(북이그잼)

• 전공국어 기출정해-문학(북이그잼)

• 전공국어 기출정해-문법(북이그잼)

도서소개

최신개정판. 임용국어의 지존 이환 쌤의 전공국어

중등 국어 교원 임용 대비 

 

고대문학 • 중세문학 • 조선 전,후기 문학

 

-전공국어 고전운문파트에 대한 핵심이론 총망라

-풍부한 심화자료를 통한 고전문학이론의 완벽한 이해

-갈래별 작품의 본문 분석, 배경지식과 심화학습으로 살아있는 고전학습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