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어떤 기업, 정부, 공공기관도 사고예방 기준을 100% 달성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안전을 위한 조직적 절차를 개발하고 보완할 경우 사업에 수반되는 고위험과 산업현장의 사고 건수를 선진국에서는 안전제도를 강력한 관리조치에 의한 정기적 방식을 취하고 있다.
유럽회원국은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해 왔고 안전보건실패에 의한 손실이 회사의 총매출액(TURN OVER)3~5%에 달했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기업은 반드시 망할 것이라 고용노동부장관이 강조한 사실이 있다.
이러한 손실은 오늘날 경제기후에 의하면 아주 심각하다. 우리나라도 이에 따른 방안으로 산업의 경제력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투자의 증대와 함께 산업재해 절감을 위한 선진 안전 기획단도 출범하였다.
또한 빈번한 산업재해 및 2014년 세월호 참사, 인천 인현동 화재, 용인 씨랜드 화재사건, 대구 지하철공사 폭발사고, 삼풍백화점, 성수대교의 수많은 산업재해가 발생하여 엄청난 인명이 희생되었으며 이에 따른 안전분야에서의 총체적인 안전수준 향상을 위해 기계안전기술사의 책임은 무엇보다 중요한 실정이다.
특히 재해 예방기관의 전문화로 기계안전기술사의 개업 및 CONSULTING 업무가 법적으로 확정되어 안전분야의 기술사산업안전 전문 기술자로서는 최고의 직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그러나 기술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단시간의 준비만으로 쉽게 취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어떻게 하면 짧은 시간내에 가장 효과적으로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와 고민 끝에 실제 출제가능문제를 용어정리, 논술형으로 구분 서술하여 수험생들이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작성했고 과년도 문제 및 해설을 체계적으로 심층분석하고 분야별 요점정리를 통하여 반드시 합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계속 내용을 보완하여 기계안전 기술사 산업안전 분야 합격수험서로서 대한민국 최초 저서이자 최고의 책으로 거듭나도록 독자와 함께 노력을 다할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을 펴내는데 밤낮으로 세계 최고 최상의 출판사가 되기를 노력하시는 도서출판 세화 박용 사장님께 영원히 고마움을 잊지 않을 것이며 영원히 사랑해 주시는 나의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