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 전체 구성에 대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는 기본편, 설계편(강도설계법), 설계편(한계상태설계법) 그리고 예제편 등 4권의 별책으로 계획되어 집필을 시작하였으나 아직 집필이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 그래서 제1권과 제2권을 합본으로 먼저 출판하고, 이후 제3권과 제4권이 완성되면 모두 별책으로 출판할 계획이다.
제1권 기본편에서는 구조설계기준과는 큰 관계가 없는 콘크리트 재료 자체의 재료역학적 특성과 각 단면력에 대한 부재 단면의 거동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과 내구성에 대한 기본적 사항을 다루고자 하였다. 그러나 각 사항에 대하여 다룬 깊이의 차이가 있고, 혹시 빠진 부분도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추후 별책으로 출판할 때는 수정, 보완하고자 한다.
제2권 설계편(강도설계법)에서는 원칙적으로 우리나라 콘크리트구조기준(2012년 판)에 근거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설계 방법을 다루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설계법의 변천사와 해석 방법 등을 다루었으며, 각 부재의 설계는 단면 설계뿐만 아니라 가능한 부재 전체의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집필하는 데 노력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콘크리트구조기준에 따랐으나, 우리나라 기준의 모델기준 역할을 하고 있는 ACI 설계기준 내용도 우리 기준과 상이한 경우 일부 포함하였다.
이 책의 구성에 대하여
이 책의 체계와 사용된 용어 등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갖고 집필하였다.
∙체계: 각 페이지의 측면 부분에 여백을 두고 사용된 용어의 설명, 인용된 콘크리트구조기준의 항목 등을 표시하여 독자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예제 및 문제: 본문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한 예제를 두었으며, 더 종합적 사고가 필요한 문제들을 본문 끝에 두었다. 앞으로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개정할 때는 더 많은 예제와 문제를 추가할 예정이다.
∙기호 및 단위: 기호는 콘크리트구조기준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없는 경우에는 구조기준에서 사용한 기호 표기 원칙을 따랐다.
∙용어 및 띄어쓰기: 가능한 콘크리트구조기준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그 외 필요한 용어는 한국콘크리트학회에서 발간한 용어사전의 용어들을 따랐다. 다만 몇 가지 예외적으로 사용한 것은 그 이유를 설명하였고, 하나의 전문용어는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부록: 설계를 할 때 필요한 도표는 부록으로 하여 책의 뒤쪽에 구성하였다.
∙찾아보기: 독자들이 주제별 또는 용어에 따라 본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책의 마지막 부분에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