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응용 신산업 스마트폰/스마트카/드론 R&D전략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응용 신산업 스마트폰/스마트카/드론 R&D전략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16-05-10 출간
  • |
  • 598페이지
  • |
  • 215 X 300 X 35 mm /1747g
  • |
  • ISBN 9791158620226
판매가

330,000원

즉시할인가

29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7,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서의 특징

최근 카메라모듈 시장은 스마트폰 듀얼 카메라 탑재와 더불어 자동차 카메라 모듈의 후방 카메라, 드론, CCTV 등으로 인해 큰 폭으로 성장하면서 출하량 증가율이 스마트폰의 4배를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율은 2016년에 처음으로 한 자리 수대(+7.4%)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카메라모듈의 출하량 연평균 증가율은 모바일 보다 4배 이상 높은 8.7%에 달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사양이 상향평준화됨에 따라 그 동안 후면에 저화소 카메라모듈만 탑재되었던 휴대폰에 전후면 모듈 탑재율이 100%에 가깝게 증가하고 전후면 듀얼 카메라모듈 채택이 보편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카메라모듈 수요 증가는 자동차에 후방카메라 장착 의무화와 전방위 감시 시스템(Around View Monitoring System) 채용 율 증가도 한 몫을 하고 있다. 이외에도 CCTV, 드론, VR 등 카메라모듈 애플리케이션이 확대되고 있다. 카메라모듈은 휴대폰에서 가장 많이 탑재되고 있으며 PC 및 태블렛, 군사?산업?항공, 일반 소비자 가전, 자동차 순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최근 들어 카메라모듈, 부품 및 센서는 통신기술과 접목하여 새로운 수요시장이 급부상 하면서 재조명되고 시장 발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카메라모듈 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응용 신산업 스마트폰/스마트카/드론 R&D전략」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카메라모듈 산업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폰/스마트카/드론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1장 카메라모듈/듀얼카메라 산업 분석
1. 카메라모듈 산업 분석 및 전망
1) 카메라모듈 부품 성장 동력 및 시장 현황
(1) 돋보이는 카메라 모듈 산업의 성장
가. 스마트폰 시장의 성숙기 진입으로 어려워진 부품 산업
나. 카메라 모듈은 지속 성장
(2) 카메라 모듈 성장 동력
가. 고화소화
나. 고기능화(OIS & AF)
다. 다기능화(듀얼카메라)
라. 다양화
⒜ 자동차
⒝ VR/AR/드론/홍채인식
(3) 카메라 모듈 시장 현황
(4) 투자전략 및 Valuation
(5) 카메라 모듈 주요 부품
가.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나. 렌즈 모듈(Lens Module)
다. AF액츄에이터(Auto Focus)+OIS(Optical Image Stabilizer)
2) 2016년 카메라시장을 주목해야 할 이유
(1) 새로운 전방시장 출현: 드론, 웨어러블 디바이스
(2) 기존 카메라시장 확대: 1)휴대폰
가. 전면카메라 고화소화
나. 듀얼카메라 채택 확대
다. 3D카메라 채택 시작
(3) 기존 카메라시장 확대: 2)자동차
가. 자동차 카메라 의무장착 확대
나. 블랙박스의 일반화 및 세계화
다. 자율주행차의 기본, 카메라
(4) 기존 카메라시장 확대: 3)CCTV
가.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으로 어린이집 CCTV 설치 의무 시행
나. 주택관리법의 개정에 다른 공동주택 CCTV 고화소화
다. 1인가구 증가에 따른 CCTV 수요 확대
(5) 신규 카메라 적용 영역 확대
3) 카메라모듈 산업 분석
(1) 카메라모듈 기술 분석
가. 주요부품 기능 및 동향
나. 이미지센서
다. 필터
라. 렌즈
마. 액츄에이터
바. 초소형 정밀모터
사. PCB/FPCB
(2) 카메라모듈 시장 분석
가. 휴대폰 시장 분석
⒜ 하이엔드 제품, 성장성 둔화
⒝ 중저가형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
⒞ 태블릿 시장
⒞ 성장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시장
나. 카메라 모듈 기술 관련 동향
⒜ 고화소 경쟁
⒝ 500만 화소 이하 카메라모듈 부문의 성장성
다. 시장 규모
라. 시장현황
(3) 카메라 모듈 업계 분석
가. 카메라 모듈 업체 구조
⒜ 국내 카메라 모듈 업체
⒝ 국내 부품 업체
나. 국내외 기업 현황
⒜ 삼성-애플-중국 생태계, 엇갈린 희비
⒝ 삼성 카메라 모듈 공급사 그룹은 이탈 중
⒞ 애플 공급사는 생산 능력 확대
⒟ 대륙의 위상, 중화권 모듈 업계의 약진
4) 카메라 관련 산업 시장 전망
(1) 카메라 시스템 시장 연평균 20% 성장 전망
(2) 카메라시장은 고성장 산업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3) 휴대폰용 카메라 시장
(4) 자동차용 카메라 시장
(5) 보안용 카메라 시장
(6) 무인항공기, 드론 시장
(7) IoT, 의료기기 등 기타 시장
2. 듀얼 카메라 특장점 및 기업 패러다임 현황
1) 듀얼 카메라 특장점 및 수혜 현황
2) 듀얼카메라 기술 및 기업 패러다임 현황
(1) 듀얼카메라가 여는 새로운 기술 패러다임
가. 3D mapping의 시작은 거리 재기
나. 3D mapping을 통해 이룩하려는 세계
다. 증강 현실의 카메라 산업 내 영향
(2) 듀얼카메라 기술의 기대와 한계
가. 듀얼카메라 도입의 필요성 증가
나. 기술 방향에 대한 의견
다. 듀얼카메라의 기술적 허들
라. DSLR 카메라와 스마트폰 카메라의 구조 특징
마. DSLR 카메라와 같을 수는 없다
(3) 듀얼카메라 시장 전망
가. 2016년 중국 메이커로 출발, 2020년 채용 비중 30%까지 확대 전망
나. 스마트폰에서 카메라 예산 비중은 더욱 확대
(4) 참가자의 전략적 고민
가. 중국 - 후보정은 제품 차별화에 도움이 되는가
나. 애플 편 - 듀얼카메라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에 관심
다. 구글 편 - 5년 뒤를 위한 연구
라. 삼성 편 - 장고 끝의 한 수에 모두가 시선 집중
마. 주요 기업들의 전략과 진행 상황 ?2016년 시장 개화를 암시
(5) 투자아이디어
가. 듀얼카메라 기술의 시작은 애플
나. 듀얼카메라로 인해 증가하는 부품
다. 부품별 장단기 수혜 전망
라. 애플과 구글, 중국 카드를 동시에 들고 있는 LG이노텍
제2장 스마트폰 카메라모듈/부품/센서 주요 산업/기업 및 기술개발 현황
1. 스마트폰 카메라모듈/부품 산업 및 사례동향
1) 스마트폰 카메라 성장 현황
(1) 스마트폰 카메라의 고사양화 경쟁 지속 예상
(2) 써브(Sub) 카메라의 진화는 이제 시작
(3)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카메라의 응용분야
(4) 휴대폰 카메라 주요 부품
가.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나. 렌즈 모듈(Lens Module)
다. AF액츄에이터(Auto Focus Actuator) + OIS(Optical Image Stabilizer)
2) 스마트폰 카메라모듈/부품 산업 현황
(1) 16M 고화소와 OIS 보급 확대
가. 14년 프리미엄 스마트폰 16M렌즈 기본 장착 전망
나. 삼성전자 ‘14년 스마트폰 25%에 16M 화소 채택 예상
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비중 확대 지속
(2) 고화소 카메라모듈에 OIS+AFA 채택 확대
(3) 주요 카메라부품 분석
가. 렌즈 모듈(Lens module)
나. OIS 기능이 내장된 AFA 부품 적용 확대
⒜ 고화소 AFA는 OIS 기능 내장
⒝ OIS AFA 개발 활발, 문제는 수율
다. 블루 IR 필터
라. 이미지센서 (Image Sensor)
(4) 매출액 현황
3) 모듈형 스마트 기기의 사례와 동향
(1) 모듈형 스마트 기기의 등장
(2) 모듈형 스마트 기기 사례
가. 프로젝트 아라(Project Ara)
나. 블락스(Blocks)
다. ZTE의 조립형 스마트폰 에코모비우스(Eco-Mobius)
다. 모듈형 사물인터넷 플랫폼 씽킹씽즈(Thinking Things)
(3) 시사점과 향후 전망
가. 모듈형 스마트 기기의 의의와 영향력
나. 모듈형 스마트 기기의 한계와 성공을 위한 선결점
다. 모듈형 스마트 기기의 향후 전망
2. CMOS Image Sensor(CIS) 시장 및 기술동향
1) 이미지 센서 시장 현황
(1) 세계 이미지 센서 시장 현황
(2) 국내 및 세계 이미지 센서와 시장 CMOS
(3) 업계 동향
가. 해외기업
⒜ Sony
⒝ Omnivision
나. 국내기업
⒜ 삼성전기
⒝ 기타업체
2) CMOS Image Sensor(CIS) 제작 기술동향
(1) 정의
(2) CMOS Image Sensor(CIS) 제작기술동향
가. 기술의 개요
나. 동작원리
다. 기술 개선방향
라. 후면 조사형 CIS(BIS CIS)
마. 나노기술을 이용한 고감도 이미지센서
바. 이미지센서의 Wafer level package
사. CMOS 이미지센서의 미래
(3) 결론
3. 스마트폰 카메라모듈 주요 기업 현황
1) 파트론
(1) 카메라모듈의 변화
(2) 전면카메라
(3) 화소수 증가는 AF/OIS 기능 탑재 유도
(4) 화소수 증가로 카메라모듈 ASP 상승 예상
(5) 카메라모듈 부품 내재화로 원가경쟁력 유지
(6) 안정적인 RF 부품, 성장하는 신규사업
가. 안정적 사업, RF 통신 부품
나. 센서모듈 기반의 액세서리 사업
다. 실적 전망 및 Valuation
⒜ 16년 수익성 개선 전망
⒝ Valuation
2) LG이노텍
(1) 카메라모듈의 우수한 거래선 믹스 및 어플리케이션 확대 가능성
(2) 고성장 아이템의 매출 비중 증가를 통한 안정적 실적 개선은 2015년에도 유효
(3) LED 사업부 턴어라운드 및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디스카운트 해소 가능할 전망
(4) 연간 실적 전망 및 Valuation 주가 추이
가. 연간 실적 전망
나. Valuation 및 주가 추이
다. Risk요인
3) 서원인텍
(1) 기업 개요
(2) 투자의견 요약
(3) 2015년 실적 전망
가. 휴대폰 부품
나. 액세서리/키패드 & 보호회로/와이브로
(4) Appendix: 서원인텍 주요제품
4) 해성옵틱스
5) 삼성전기
(1) 투자 포인트
(2) 3Q 실적 Preview
(3) 사업 동향
(4) Valuation
(5) OIS 채용 확대시 수혜 집중 예상
6) 세코닉스
(1) 기업분석
(2) 산업분석
(3) 투자포인트 - 고화소 시대, 다양한 제품 Mix로 승부
(4) 휴대폰용 렌즈시장 안정적 성장 및 전망
7) 하이비젼시스템
(1) 비젼인식 기술과 Active-Align기술의 최강자
(2) 제2의 성장 국면 돌입
(3) 카메라모듈을 넘어서 종합장비 기업으로 도약
(4) 실적 전망
8) 나무가
9) 하이소닉
(1) Capa와 거래처 확대로 실적 큰 폭 개선
(2) 액서사리 등 신규사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 모색
제3장 스마트카 카메라모듈/부품/센서 주요 산업/기업 및 기술개발 현황
1. 스마트카 전장부품 산업 분석 및 전망
1) 스마트카 전장화 동향 및 전망
(1) 자동차 전장화 배경
가. 스마트카 시대 도래
나. 인포테인먼트
다. 커넥티드 카
라. 자율주행차
마. 전기차
(2) 주요국 법제화
(3) 전장 부품 동향 및 전망
가. 주요 기술
나. 주요 부품별 동향과 전망
⒜ 센서
⒝ 반도체
⒞ 소형 모터
⒟ 카메라모듈
⒠ 통신 모듈
⒡ 디스플레이
⒢ LED 램프
⒣ MLCC
⒤ 터치패널
2) 스마트카 전장부품 산업 분석
(1) 자동차 전장의 고도화는 IT산업의 기회요인
가. IT기업, 자동차 산업으로
나. 그래픽 솔루션 기업 엔비디아(Nvidia)의 자동차 대시보드 공략기
(2) 주요 전장부품 산업분석
(3) 국내 IT기업의 동향
2. 스마트카 카메라모듈/부품 개발 및 기업 전략
1) 스마트카 카메라 부품 산업 현황
(1) 자동차용 카메라 의무장착 확대
가. 자동차용 카메라 장착 의무화
나. 자동차용 카메라 용도 확대
다. 자동차용 카메라 채택 차량 확대 추세
라. 시장 전망: 현재 시장 개화 단계
마. 미국 자동차용 카메라 시장, 법제화 추진 중
바. 국내 기업에게 기회는 있다
(2) 유망 산업
2) 스마트카 IT 부품의 첨단기술 및 경쟁력
(1) 폰’에서 ‘차’로, IT 부품사가 가야할 길
가. 자동차 부품은 신성장 동력 확보
나. 일본 IT 부품 업체에게 배우다
⒜ 일본 IT 부품 업체들의 행보
⒝ 자동차 부품에 진입한 업체 vs 진입하지 않은 업체
⒞ 일본 IT 산업의 명가, 자동차로 부활
(2) 자동차는 첨단 기술의 집합체
가. 자동차에 하이테크 기능을 추가
나. 다양한 자동차 가능성 점검
⒜ 스마트카/커넥티드카
다. 자동 주행차(Autonomous Car) 시장은 빠르게 열릴 것
라. ADAS 시장 고성장 중
마. 전기차 시장 긍정적
(3) 자동차 IT 부품의 경쟁력 및 전망
가. 국내 IT 업체들의 자동차 부품 개발 현황
나. 각 IT 산업별 시장 전망
⒜ Automotive Semiconductor
⒝ Automotive Sensor
⒞ Camera Module
⒟ Automotive LED/Lighting
⒠ Display
⒡ 2차전지
(4) IT 부품 업체 투자전략
3) ADAS(지능형운전자보조시스템)의 핵심부품 개발 전략
(1) ADAS 시장 현황 및 전망
가. ADAS 시장 확대에 대응하여 핵심부품인 센서의 경쟁력 확보 필요
나. ADAS 시장은 2020년 약 1억 8,000만 개 규모로 성장
다. 제한적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 단계에 진입
(2) 센서시장과 기술 발전 방향
가. 안전시스템 적용 확대로 외부환경 인지용 센서 수요 증가
나. 향후 센서 가격 하락으로 신흥시장으로 수요 확산
다. (카메라) 3차원 인지 및 기능을 다양화하는 방향으로 발전
라. (레이더) 기능 통합 및 소재 변경으로 원가절감에 주력
마. (라이다) 저사양의 제품개발로 양산화 시도
(3) 센서업체의 전략 비교
가. 선진업체가 핵심기술을 보유, 독과점하고 있는 시장
나. 영상처리기술이 우수한 업체가 시장 주도
다. 시스템업체들이 모듈기술 확보에 투자 확대
라. 레이더 칩은 진입장벽이 높아 소수 반도체 업체가 독점
마. 레이더 모듈/시스템은 대형 부품업체가 독과점
바. 일부 레이저 제품 생산업체가 라이다 센서 양산화 시도
사. 특정 대형 부품업체가 라이다 센서를 선행 개발
아. 2가지 이상의 센서를 융합한 통합센서 개발
자. 센서 및 제어시스템 융합을 위한 ECU 개발
(4) 시사점
4) 스마트카 카메라모듈 주요 기업현황
(1) 삼성전기
(2) 픽셀플러스
가. 카메라 이미지센서 제조전문업체
나. 보안감시 시장 니치마켓 진입 성공
다. 자동차용 카메라 시장 성장 전망
라.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전방시장 다각화 지속
마. 고객 다변화로 꾸준한 성장 지속 전망
(3) 에치디프로
가. CCTV 카메라 국내 선두 기업
나. 주요 고객 확보로 안정적 성장 전망
다. 보안관련 법제화 추진 가속화로 시장 확대 수혜
(4) LG이노텍
(5) 동운아나텍
(6) 세코닉스
가. 산업 분석
나. 투자포인트
다. 자동차용 렌즈 ‘15년 성장 지속가능
(7) 옵트론텍
(8) 엠씨넥스
가. 안정적 성장 기조
나. 성장기 진입을 앞둔 차량용 카메라
제4장 드론(Drone) 플랫폼/부품/센서 주요 산업/기업 및 기술개발 현황
1. 국내외 드론(Drone) 산업 현황
1) 드론(Drone)산업 현황 및 전망
(1) 정의 및 분류
가. 정의
나. 구성
다. 분류
(2) 산업 현황
가. 드론의 개발
나. 드론의 발전
다. 2016년 드론 성장 지속
(3)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글로벌 시장
나. 국내 시장
다. 국내·외 주요 업체 현황
(4)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가. 물류
나. IT
다. 농업
라. 보험
마. 기타 산업
(5) 드론 산업 생태계 구성 현황과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요건
가. 생태계 구성 현황
나. 드론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정비 동향
다. 드론 시장 활성화를 위한 규제 방향성
(6) 상업용 드론의 기회와 위험요소
2) 국내외 드론(Drone)산업 현황
(1) 해외 드론 산업
가. 중국
나. 일본
다. 미국
(2) 국내 드론 산업
가. 국내 드론 정책
나. 국내 드론산업 현황
다, 전북 도론 산업 현황
⒜ 전북에서의 드론 산업
⒝ 전북에서의 드론산업 실현 과제
3) 드론(Drone)의 응용 사례
(1) 군사용 드론
(2) 민수용 드론
2. 드론(Drone) 플랫폼/센서/부품 기술 및 특허 현황
1) 드론(Drone) 기술의 현황 및 미래
(1) 드론의 비행 원리
가. 드론의 구조
나. 비행 조정
다. 센서융합과 비행제어
라. 통신 링크
(2) 감지 및 회피
가. 감지 및 회피
나. 드론과 인공지능
(3) 드론산업 생태계
가. 드론 플랫폼
⒜ 주목할만한 드론 플랫폼들
⒝ 드론 플랫폼의 시사점
나. 드론 에코시스템
(4) 맺음말
2) 드론(Drone) 핵심 기술 및 특허 트렌드
(1) 드론 핵심 기술
가. 기술 및 향후 과제
나. 산업경쟁력을 위한 드론과의 쉬운 상호작용 기술
(2) 무인항공기 특허기술 트렌드
가. 특허기반 무인항공기 특허추이
나. 출원인별 국가별 무인항공기 특허추이
다. 충돌회피 기술 특허
통계(도표)

도서소개

『카메라모듈 부품/센서 응용 신산업 스마트폰/스마트카/드론 R&D전략』은 카메라모듈 산업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폰/스마트카/드론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에게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