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본국검예 2 본국검법

본국검예 2 본국검법

  • 임성묵
  • |
  • 행복에너지
  • |
  • 2013-09-01 출간
  • |
  • 380페이지
  • |
  • 188 X 257 X 30 mm
  • |
  • ISBN 9788997580989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 소개
한·중·일 동양 삼국의 무경武經, 조선세법朝鮮勢法!
드디어 밝혀진 2000여 년 전 중원을 호령한 ‘고조선 실전검법의 비밀’
이제 대한민국은 명실상부한 ‘동양무예의 종주국’으로 우뚝 서게 되었다!


《본국검예》는 검의 기법뿐만 아니라 검결 속에 한민족의 종교와 철학 사상이 담겨 있는 이 시대의 “무경”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이 심화되고 일본의 제국주의가 부활하는 이 시점에 《조선세법》과 《본국검법》은 민족자존과 상무호국정신을 일깨워줄 것이다. 또한 《본국검예》는 오늘날 정체성을 잃고 헤매는 우리에게 “나는 누구인가?”를 묻게 하고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하는 “철학서”이자 한민족의 얼과 선조들의 그 뜨거운 발자취를 철저히 고증한 “역사서”이다.

조선세법이 경지에 오른 장군將軍들의 무예였다면, 2권 《본국검법本國劍法》은 병사兵士들의 양성을 위해 조선세법 가운데서 ‘격법’을 모아 재구성한 것이다. 또한 일본 격법에 영향을 준 소중한 자료다. 전 세계의 도장에서 수련하고 있는 무인들에게 이 책은 동양무술의 원류를 새롭게 인식하고, 대한민국은 변방의 작은 나라가 아니라 중원을 호령했던 무예의 나라임을 알릴 것이다. 또한 한민족 역사와 민족혼을 일깨워 전국의 도장에서 청소년에게 민족의 실전무술과 민족혼을 지도한다면, 대한민국에서 잃어버린 위대한 선조들의 무인의 정신을 찾게 될 것이다.

이렇듯 조선세법의 전모가 드러나면서 그동안 일제의 무예 말살로 전통무예사의 이론과 철학이 부재한 우리 체육계에 커다란 선물과 숙제가 함께 안겨졌다. 정체성을 잃고 헤매는 우리에게 『본국검예』는 대한민국이 21세기 일류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정신적 기둥이 되어주고, 미래를 밝히는 민족혼의 불길을 세울 것이다.

출판사 서평
그동안 말살당했던 한민족의 검법을 복원하여 무혼과 민족혼을 살려야 한다. 일본의 오랜 압제와 해방 후 지금까지 정부의 차별로 ‘본국검법’의 명맥은 끊겼고, 많은 단체가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이해와 검리를 터득하지 못했다. 우왕좌왕하는 사이 본국검법의 복원은 요원해 보이기만 했다.

무예도보통지의 모든 검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스승에게 수련해 온 검리 덕분에 본국검법의 동작을 하나 둘씩 어려운 부분들을 깨우쳤다. 원문을 읽고 그간 수련해 온 검리와 비교하고 문헌을 찾고 다듬으면서, 다른 단체에서 복원한 것이 잘못된 점을 찾아내고 확신하게 되었다. 이에 사명감을 가지고 각고의 노력 끝에 본국검법과 조선세법의 기법을 찾게 된 것이다.

국새 복원에 전통성 훼손으로 나라가 떠들썩한 적이 있었다. 현대기술로 만들면 더 좋을 것을 왜 전통방식으로 만들려고 하겠는가? 광화문도 다 헐고 삐뚤어진 방향을 바로잡아 일제를 청산하기 위해서 새롭게 복원했다. 전통성이란 국민과 민족의 자존심이고 정체성에 관한 문제인 것이다.
우리 민족이 수많은 외침을 극복하고 지켜온 피비린내 나는 역사의 중심에는 당연히 우리를 지켜준 검법이 있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그간 발표된 검법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느끼게 되었다. 이 문제는 국내의 문제를 벗어나 작금에는 중국에서 동북공정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하루빨리 그 원형을 찾아 발표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다행히 우리에게는 무예도보통지라는 위대한 무경이 있어, 민족의식과 사명감을 가지신 분들이 분연히 전통무예를 살리는 데 희생을 하신 것이 고맙게도 오늘날 이만큼 전통무예를 이룩한 계기가 되었다.

오늘날에는 자기 나라의 문화가 상품이 되고 콘텐츠를 풍성하게 하여 국민에게 자긍심과 희망을 주는 시대다. 본국검법의 비밀뿐만 아니라 조선세법의 비밀까지도 해독하여 세상에 밝히는 것은, 이 두 가지가 현존하는 동양삼국의 무경을 대한민국이 확보하는 중요한 일이다. 또한 본국검법이 중국과 일본에 전수되어 오늘날 검법이 만들어졌음을 전 세계에 알리기에 충분한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바로 검법의 원조(元祖)를 알리는 증거가 조선세법과 본국검법인 것이다. 1500년 전의 기록과 문헌이 존재하고 있으니 이처럼 자랑스러운 검법이 전 세계에 어디에 있다는 말인가?

우리가 분명한 논리로 원형을 복원해야 중국의 동북공정을 막을 수 있다. 조선세법이든 본국검법이든 원문과 그림 속에 들어있는 원리를 분명히 이처럼 글로 써서 밝혀야 한다. 그것이 검법을 복원한 동작의 정당성을 담보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어떤 이유로 그렇게 했는지에 대한 질문이 나오고, 그 질문에 답을 하지 못하면 복원은 미완성인 것이다. 본국검법은 사방에서 몰려오는 적과 맞서 전장에서 전광석화처럼 혈혈단신으로 적진 속에서 싸웠던 실전기법으로,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검법임을 알려 세계에 빼앗긴 명예를 되찾아야 한다.

앞으로 국내에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전통검법을 다시금 바로 세우고, 왜곡된 검의 역사를 바로잡아 민족정신과 민족혼을 반드시 후세에 전해야 한다. 이러한 책임은 우리 전통무예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달려 있다. 아픈 상처를 가슴에 묻고 극복하고 발전하는 현재와 미래 세대에게 민족의 자존심과 자긍심을 심어줘야 한다. 그리고 뜻있는 사람들이 모여서 반드시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추천사

미래 인류문화의 종주국을 향하여


이 책에 추천의 말을 써달라는 부탁을 받고 보니, 몇 해 전에 세계일보에 연재를 마친 ‘무맥(武脈)’을 시작할 때의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친다. 당시 어디서부터 말머리를 풀어갈까를 고심하던 중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라는 인류의 ‘무경(武經)’이 우리 선조에 의해 정리되어 있음을 알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흩어진 무예의 줄기와 가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당시 연재를 시작할 때 기획의 취지를 나는 이렇게 말했다.
“문화는 언제나 문무균형을 이상적인 목표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우리민족은 무(武)를 천시하고, 무를 문화의 적으로 삼는 지경에 이르렀다. 무의 신의(信義)와 용기(勇氣)의 실천정신을 높여야 문화의 주체성과 현실성을 되찾을 수 있다. ‘문화능력=문력(文力)+무력(武力)’이기 때문이다. 상무정신을 높이기 위해 무맥(武脈) 시리즈를 기획했다. 무맥 시리즈는 우리의 무경(武經),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를 바탕으로 우리의 무술체계, 단체와 그 현황을 되돌아보면서 무문화(武文化)가 왜 중요하며, 한국문화가 어떤 허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결국 무(武)를 통해서 한국문화 전반을 재해석하는 장이 될 것이다. 무(武)가 문화(文化)의 하드웨어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한다.”
그동안 필설로는 다 말 못할 사연들이 숨어 있다. 오늘에 이르러 《본국검예》가 세상에 빛을 보게 된 것은, 선배들과 선학들의 노력과 시행착오의 끝에 도달한 것이다.
모든 문화는 시대에 따라 적응하고 진화하여야 하겠기에 무예를 닫힌 완성체계로 보아서는 안 된다. 문화의 복원에는 때로는 적으로부터 배울 수도 있고 옮겨올 수도 있다. 이 이치를 모르면 아직 무엇을 안다고 말할 수 없다. 이 말은 문화란 항상 이곳에서 저곳으로 흐르고 사람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문화도 결국 생명체처럼 생멸하는 것이고, 종국에는 적이 없다는 말을 하고자 함이다. 문화는 인류를 위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무예문화도 예외는 아니다. 인류 무예문화의 최초의 종합경전, 무경(武經)이라고 말할 수 있는 《무예도보통지》를 집대성해낸 우리 선조의 정신이 바로 이러한 정신이다.
역사는 참으로 아이러니컬하다.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민족, 남의 나라를 먼저 침략한 적이 없는 우리 민족이 수많은 외침의 역사 속에서 종국에 무경을 만들어냈다고 하는 것은 실로 ‘궁하면 통한다.’는 옛말을 떠올리게 한다.
세계일보에 무맥을 연재하던 중 어느 날 갑자기 나의 뇌리를 친 것이 바로 검결(劍訣)부분이다. 검결은 마치 무예의 화룡점정과 같은 것으로 이것만 제대로 풀면 《무예도보통지》의 무예를 자연스럽게 복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속에 숨은 우리 문화의 스토리 같은 것도 새롭게 발굴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눈 밝은 후인(後人)을 기다리기로 하고 연재를 마쳤다. 그러던 어느 날 이러저러한 인연을 거쳐 임성묵(林成默)이라는 무인을 첫 대면하게 되었다. 오늘날 《본국검예》가 된 원고의 초고(初稿)를 받아들고 무슨 말을 해줄 수가 없었다. 그러나 그의 열의와 눈빛을 바라보는 순간, ‘실로 ‘물건’이 될 수도 있겠구나!’라는 일말의 희망을 품게 됐다. 그로부터 3년여의 만남과 토론과 집필과 수정과 재수정의 수많은 반복 끝에 빛을 보게 됐다. 어느 날 임성묵과 이운성, 두 사람으로부터 조급함을 느낀 나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글도 오래 묵히다 보면 장(醬)이 된다.”
결국 오늘날 《본국검예》는 그 장이 된 것이다. 《조선세법》과 《본국검법》의 검결에서 글자와 무예의 동작이 같은 모양임을 발견하게 된 것과, 검결이 서사시로 쓰여진 것을 찾아낸 것은 실로 엄청난 성과이다. 《조선세법》이 단순한 무예서가 아니라 상고시대 한민족의 신화와 정신문화가 기록된 당시 선진문화의 결정체임이 드러난 것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그동안 알수 없었던 《조선세법》의 기법을 찾을 수 있는 발판이 된 것이다.
지금에 와서 보면 서로 불완전한 형태로 흩어진 전통무예의 전모와 동양무예의 원류의 중심에는 대체로 조선세법(朝鮮勢法)이 있다. 말하자면 조선세법이 몸통이고, 나머지는 필요에 따라 그것을 요약하거나 재구성하고, 아니면 주변에 있었던 지체였음이 드러났다. 즉 우리의 무예인들은 전통무예의 일편(一片)을 붙들고 그것이 전부인 양 씨름해왔던 셈이다. 조선세법의 전모가 드러나면서 그동안 일제의 무예 말살로 전통무예사의 이론과 철학이 부재한 우리 체육계에 《본국검예》는 커다란 선물이면서 동시에 숙제이기도 하다.
그동안 《조선세법》의 세법(洗法)의 의미를 무예계는 알지 못했다. “세법”은 ‘발이 먼저 나가면서 칼이 뒤를 따른다’는 뜻이다. 발이 먼저 가고 그 뒤를 몸과 칼이 물처럼 자연스럽게 흐름을 의미한다. 그래서 세(洗)자를 쓴 것 같다. 몸이 칼의 힘을 받아 움직이는 것이다. ‘격법(擊法)’은 칼을 내려치면서 멈춘다면 ‘세법’은 칼을 빗겨 치거나 수평으로 칠 때 그 칼의 흐름을 세우지(정지시키지) 않고 흐르게 한다.
“세법은 두 손으로 칼자루를 잡고 힘껏 치면 당연히 칼의 무게와 원심력으로 몸이 팽이처럼 돌게 된다. 조선세법을 보면 이처럼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허리에서 허리로 칼을 자유자재로 사용한다.”
이때 일정한 보법(步法)과 수법(手法)과 신법(身法)을 사용하지 않으면 빗각과 수평 베기로 인하여 정확한 칼의 각이 잡히지 않아 칼 면으로 치게 되거나 몸의 균형을 잃게 된다. 이는 총체적으로 몸의 이동과 균형의 실패가 된다. 쌍수도의 어려움은 여기에 있다.
그리고 조선세법의 검결에 또 하나의 멋진 장치가 숨겨 있었다. 검결 30개가 앞뒤로 짝을 이루어 서로 공격과 방어를 주고받는 수수세(授受勢)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선세법은 무예의 경지에 오른 장군(將軍)들의 무예였다고 말할 수 있고, 본국검(本國劍)은 병사(兵士)들의 양성을 위해 조선세법 가운데서 “격법”을 모아 재구성한 것 같다. 예도(銳刀, 禮刀)는 조선세법의 파편을 모은 것이며, 조선세법은 무기를 들면 검법이었고, 맨손으로 하면 권법이었다. 맨손무예인 수벽도는 조선세법이 권법의 형태로 전승되었던 흔적이다. 그러나 63세를 소실하고 8법만이 전수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전하는 중국의 소림무술, 태극권류와 무당류도 조선세법의 일부를 편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선세법의 맨손 동작은 아리랑을 비롯해서 탈춤 등의 동작에 스며든 것 같다. 검무(劍武)는 검무(劍舞)이다. 물 흐르듯이 흐르는 무예의 동작, 힘의 강약과 호흡, 동작의 느림과 빠름 등은 무예가 한 편의 몸과 마음의 예술임을 느끼게 한다.
검을 쥐는 형태를 보면 조선세법은 쌍수검(雙手劍)이고 전후좌우(前後左右) 회전을 하는 반면, 중국은 편수검(片手劍)이다. 일본은 쌍수검이지만 회전이 없이 전후(前後)로만 이동하고 내려치는 격법(擊法)위주의 기법이다. 일본의 검도조차도 실은 본국검법에서 일본인의 왜소한 신체에 유리한 격법을 일본화한 것 같다.
조선이 세법(洗法) 위주라면 일본은 격법(擊法) 위주, 중국은 자법(刺法) 위주이다. 중국이 자법인 것은 역시 창(槍)의 나라인 까닭이다. 이처럼 한국과 일본과 중국이 각각 자기 신체와 자국의 실정에 맞게 검법을 독창적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문인은 실천을 잘하지 못하는 문약(文弱)의 약점이 있는 반면 무인은 자신의 무예만 최고 최종이라고 주장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무문겸전을 말하고 둘은 상호 보완하는 미덕을 가지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무예도 자연이 아니다. 분명 인위이다. 인위는 항상 자연스러울 때 그 절정을 맞는다. 임성묵의 무예는 이제 자연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동양무예의 무경인 조선세법에서 이처럼 감춰진 비밀을 찾게 되어 보다 원형에 가깝게 다가갔음을 알고, 감히 추천의 글을 쓰기로 하였다.
지금은 세계사적으로, 지구적으로 ‘지천(地天)의 시대’를 맞고 있다. 지천의 시대라는 것은 모든 것이 종래와는 다르게 거꾸로 돌아감을 말한다. 그런데 정작 지천(地天)이야말로 주역(周易) 태(泰)괘의 말처럼 막힘이 없이 통(通)하는 것이다. 지천의 시대를 무예에 적용하면 지금까지 상위에 있던 문(文)이 아래로 내려가고 하위에 있던 무(武)가 위로 올라가는 것이다. 이제 문의 시대가 아니라 문무의 평형시대라는 말에 다름 아니다. 이때 무(武)라는 것은 단순히 무예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정치적으로 말하면 일반 백성과 여성이 위로 올라가고, 물질문화와 함께 몸으로 하는 모든 예술이 위로 올라감을 말한다. 이를 집약하면 예술시대로 옮아감을 말한다. 그래서 무술도 무예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세계는 본래 정체성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항상 정체성을 만들면서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본래 세계가 처음일 때는 국가는 없었다. 그래서 인간은 국가를 만들었을 것이다.
본국이라는 것은 그 옛날 우리민족, 동이족이 만들었던 최초의 국가를 말한다. 흔히 고조선을 말하지만, 그보다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 문명은 원시반본(原始返本)을 한다. 지금이 바로 원시반본을 하는 때이다. 이러한 때에 발맞추어 우리의 전통무예가 제대로 복원되는 것이리라!
생각 같아서는 무예정신으로 똘똘 뭉친 우리 시대의 화랑도와 같은 것이 우리나라에도 형성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국은 미래 인류문명의 종주국이 될 것이다. 그러한 준비가 현재 곳곳에서 저마다 이루어지고 있다. 그 소리를 듣고 있다.

2013년 7월 17일 제헌절에
도농(道農) 박 정진 씀

목차

추천의 말 07
머리말 12

Ⅰ 본국검법의 여명

1. 본국검법의 부활 30

2. 본국검법 복원의 필요성 32
본국검법의 창제와 황창랑 | 본국검법의 상징과 서사시

3. 어제무예도보통지서(御製武藝圖譜通志序) 40

4. 무예도보통지의 탄생 42
무예제보 | 무예신보와 본국검법 | 무예도보통지

5. 기예질의(技藝質疑)의 중요성 46

Ⅱ 동양무예의 특성과 역사적 교훈

1. 동양 삼국 검법의 시대적 배경과 특성 53
중국검법의 특성 | 중국의 조선세법과 본국검법 | 일본의 민족성과 검법 | 사무라이의 근본과 어원 | 일본검도의 유입 | 일본의 야욕 | 본국검법의 특성 | 전쟁의 교훈 | 도검(刀劍)의 의미 | 검도(劍刀)·검도(劍道) | 승단과 승품

Ⅲ 본국검법 왜곡

1. 본국검법의 여명 83

2. 대한검도회의 본국검법 84

3. 대한검도회의 본국검법 순서 86

4. 대한검도회와 본국검법의 논문 87


Ⅳ 본국검법의 분석과 복원

1. 본국검법의 기법 93
격법(擊法) | 자법(刺法) | 세법(洗法) | 검세(劍勢) | 내략(內掠)·외략(外掠) | 본국검법의 방향성 | 방향성과 회전 법칙

2. 본국검법의 구성 108
원문의 구성형식과 해석 | 본국검법 해석을 위한 원칙 | 본국검법의 원문과 그림의 선택 | 본국검보(本國劍譜)와 본국검총도(本國劍總圖)

Ⅴ 본국검보와 본국검총도 해설

1. 본국검보의 해설 131
지검대적세 | 내략 | 진전격적세 | 금계독립세 | 후일격세 | 금계독립세 | 진전격적세 | 일자세 | 맹호은림세 | 안자세 | 직부송서세 | 발초심사세 | 표두압정세 | 조천세 | 좌협수두세 | 향우방적세 | 후일격세 | 전기세 | 진전살적세 | 금계독립세 | 좌요격세 | 우요격세 | 후일자세 | 장교분수세 | 백원출동세 | 우찬격세 | 용약일자세 | 후일격세 | 후일자세 | 향우방적세 | 향전살적세 | 향전살적세 | 시우상전세 | 본국검보와 세의 일치

2. 본국검총도 해설 251
본국검총도의 행의 원칙 | 좌요격세와 우요격세

Ⅵ 검결 속에 감춰진 비밀

1. 본국검법의 검세와 검결 281
검결은 암호다 | 검결의 중요성 | 검결은 그림이며 행위예술이다 | 본국검법의 서사시와 동작의 의미

2. 검결(劍訣) 288
지검대적세(持劍對賊勢) (1) | 내략과 그림 (2) | 진전격적세(進前擊賊勢) (3)(7) | 금계독립세(金鷄獨立勢) (4)(6)(20) | 후일격세(後一擊勢) (5)(17)(28) | 일자세(一刺勢)와 후일자세(後一刺勢) (8)(23)(29) | 맹호은림세(猛虎隱林勢) (9) | 안자세(雁字勢) (10) | 직부송서세(直符送書勢) (11) | 발초심사세(撥艸尋蛇勢) (12) | 표두압정세(豹頭壓頂勢) (13) | 조천세(朝天勢) (14) | 좌협수두세(左挾獸頭勢) (15) | 향우방적세(向右防賊勢) (16) | 전기세(展旗勢) (18) | 진전살적세·향전살적세 (19)(31)(32) | 좌요격세(左腰擊勢) (21) | 우요격세(右腰擊勢) (22) | 장교분수세(長蛟噴水勢) (24) | 백원출동세(白猿出洞勢) (25) | 우찬격세(右鑽擊勢) (26) | 용약일자세(勇躍一刺勢) (27) | 외략(향우방적세) (30) | 시우상전세(?牛相戰勢) (33)

Ⅶ 결어 335

편집후기 342

부록 (본국검보, 본국검총도, 쌍수도 해설) 345

저자소개

저자 임성묵林成默은
충남 공주 출생(1961)
공주고등학교(53회)
단국대학교
해병대 1사단
(현)대한검법 총재
본국검예 《1편 조선세법》
본국검예 《2편 본국검법》

도서소개

일본의 격검술에 절대적 영향을 준 문예서 『본국검예』 제2권. 《조선세법》과 《본구검법》을 바탕으로 하여 기술했다. 한중일 동양 삼국의 무경, 실전검법의 비밀을 파헤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